$\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 여대생의 의복 선호도에 따른 인지 체형 및 신체 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of Satisfaction for Body and Perceived Body Types in Accordance with Clothes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5, 2014년, pp.108 - 124  

남영란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전공) ,  김예진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전공) ,  최혜선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cloth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who share similar ethnic traits despite having different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environment, and see the differences in their body image and body satisfac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 패션 기업들은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성장수단으로 중국시장에 적극적인 진출을 모색하고 있으며, 중국 내 한류열풍은 이들 기업에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어 중국 시장에 대한 소비자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의복 선호도의 차이를 밝히고, 그에 따른 인지 체형과 신체만족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같은 동양권이지만 다른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지닌19) 한국과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의복 선호도의 차이를 밝히고, 그에 따른 인지 체형과 신체 만족도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하며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신체에 대한 의식구조와 착의 행동은 사회 문화적 환경에 따라 달라지므로10), 한국과 중국 여대생의 의복 선호도, 인지 체형, 신체 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개인의 신체 만족도 및 인지 체형은 의복의 구매 및 착용에 있어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한국과 중국 여대생의 의복 선호도에 따른 인지 체형과 신체 만족도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의복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소비자 개개인이 자신의 체형을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 차이가있으므로4), 의류 업체에서는 소비자들의 체형 인지와 신체 만족도에 따른 의복 선호도를 정확히 분석 하여 의복의 소재, 디자인, 디테일, 패턴에 반영한다면 판매촉진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의복은 유행과 체형과의 관계 속에서 디자인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소비자들의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생각과 이에 따른 착의행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E-land 그룹의 대표적인 SPA브랜드는? A.U 등의 브랜드가 해당되며 최근에는 E-land 그룹의 대표적인 SPA브랜드인 Mixxo, SPAO가 중국과 일본에 진출 하였다.3) 국내 패션기업은 더 이상 국내 시장만을 목표로 하지 않고, 국외 시장 진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국외 진출의 시작으로 많은 기업들이 중국 시장을 선택하고 있다.
한국 여대생과 중국 여대생이 선호하는 스커트의 길이 차이는 구매 선호도에서 어떤 양상을 나타내는가? 9%로 과반수를 넘어 대부분의 한국과 중국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스커트 길이로 나타났다. 한국 여대생은 중국 여대생에 비해 더 높은 비율로 ‘미니스커트’를 착용하고 구입하는 반면, 중국 여대생은 한국 여대생에 비해 더 높은 비율로 ‘내츄럴/니랭스라인’, ‘미디스커트’, ‘맥시/앵클스커트’를 착용하고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한명숙 (2009), 의복 구매 행동의 비교 문화적 연구, 복식문화연구, 17(1), pp. 162-176. 

  2. 박혜선, 해비 (2012), 20대 중국 여성들의 패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과 한류 및 한국 패션에 대한 태도, 한국의류학회지, 36(7), pp. 690-702. 

  3. 신수아, "이랜드, '공격적 확장전략'언제까지? SPA브랜드 글로벌화...신규 출점, 개발 사업에도 적극적", 자료검색일 2014. 3. 23, http://www.mt.co.kr/view/mtvie w.php?type1&no2013042210339645835&outlink1 

  4. 강소영, "현명한 패션기업은 중국시장에 간다", 자료검색일 2014. 3. 23, 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30620000226 

  5. 조윤주 (2005), 성인여성의 체형인식에 따른 의복 선호도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10), pp. 155-165. 

  6. 박우미 (1999),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의복스타일에 대한 한국과 미국 여대생과 비교, 복식, 48, pp. 25-36. 

  7. 신주동, 최종명 (2008), 여대생의 신체 만족도와 이미지에 따른 외모관리행동과 장신구 착용, 복식문화연구, 16(2), pp. 305-318. 

  8. 박재경 외 (2010), 한국과 몽골 여대생의 실제체형과 인지체형 및 신체만족도에 관한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34(9), pp. 1558-1566. 

  9. 김희정, "정상체중 여대생 내몸매 불만족", 자료검색일 2014. 3. 23, http://www.dailian.co.kr/news/view/169433 

  10. 박재경, 남윤자, 최경미 (2004), 한국과 일본여대생의 실제체형과 인지체형 및 신체만족도에 관한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8(6), pp. 758-766. 

  11. 남윤자, 이승희 (2001), 한, 미 여대생의 실제체형과 인지체형의 만족도에 관한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5 (4), pp. 764-772. 

  12. 박우미 (2000), 신체에 대한 의식과 만족도에 대한 한국과 미국여대생의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5), pp. 736-747. 

  13. 손희순 외 (2000), 한국과 중국여대생의 의복 맞음새 선호도 및 의복행동 비교 연구, 패션비지니스, 4(1), pp. 59-72. 

  14. 임순 외 (1999), 한국과 중국조선족 여대생의 체형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8), pp. 1228-1239. 

  15. 장희경, 손희순 (2009), 중국과 한국 20대 여성의 체간부 신체치수와 체형 비교 분석, 패션비지니스, 13 (2), pp. 17-29. 

  16. 박숙현, 권미정, 이경림 (2004),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별 신체인지도와 만족도 차이 비교(제2보), 복식문화연구, 12(4), pp. 511-528 

  17. 이경숙 (2004), 대학생의 실제 체형과 인지 체형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9-120 

  18. 이경림 (2004), 신체인지도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 비교,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1-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