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들의 체중에 대한 인식과 신체 부위별 만족도
Recognition of Body Weight and Body Part Satisfac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2 no.2, 2009년, pp.205 - 214  

김미옥 (대구보건대학 건강다이어트과) ,  은종극 (대구보건대학 건강다이어트과) ,  장은재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et is an important focus in solidifying the fundamentals of health; thus, it is necessary to offer and manage accurate and correct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ody part satisfaction and attitude on diet, i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known to be very interested in thei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다면 실제 비만이라고 답한 여대생들의 비만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 그러나 여대생들의 체중에 대한 인식 및 그 인식에 따른 신체 부위별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체로 신체 만족도가 낮다고 보고되어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비만에 대한 인식을 바로잡고 올바른 체중 조절을 위한 방안 제시에 도움이 되고자 체중에 대한 인식 정도와 신체 부위별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여대생 101 명을 대상으로 정상 체중과 과체중 이상으로 구분하여 각각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여 체중에 대한 인식과 신체 부위별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대생들의 외모지향주의 선호 및 취업을 위한 외모관리 또는 정상 체중 임에도 불구하고 더욱 날씬한 외모를 유지하기 위해 저체중을 선호하는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체중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대생들은 어떤 경향이 강한가? 여대생들은 소비성향이 강하고 외모지향적인 사고가 두드러져 자신의 가치를 신체 만족도를 통하여 이루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여대생의 체중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 가운데 실제 체중을 그대로 인정하기보다 이상적으로 희망하는 몸매를 유지하기 위하여 신체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인식이 강한 편이다(Nam & Lee 2001).
자신의 신체에 대한 가치는 무엇을 내포하는가? 여대생의 체중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 가운데 실제 체중을 그대로 인정하기보다 이상적으로 희망하는 몸매를 유지하기 위하여 신체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인식이 강한 편이다(Nam & Lee 2001). 일반적으로 자신의 신체에 대한 가치는 자신감으로 설명되어 건강, 외모, 재능, 성적 매력 등의 신체적 유능성에 대한 전반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것으로 신체적 가치가 낮으면 사회적 불안, 성 기능 장애, 우울증, 신경증, 무기력, 자살 경향성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신체적 가치가 높으면 부정적 영향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울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호성 & 소영호 2005). 개인이 지각하는 신체적 자기가치에 따라 관련된 여러 요인들에 의해 다양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자기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외모관리를 위해 체중 감량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대구시 여대생을 대상으로 체중에 대한 인식과 신체 부위별 만족도를 살펴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1. 여대생의 비만 정도를 살펴보면 정상 체중 56.4%, 저체중 27.7%, 과체중 9.9% 순으로 나타났다. 체중에 대한 만족 정도로는 정상 체중인 여대생이라도 자신의 체중에 만족하는 경우는 10% 수준에 불과하며 대부분이 매우 불만족하다고 답하였다. 체중이 변화하는 이유로는 스트레스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또한, 비만이라고 답한 사람들의 실제 비만도에서는 정상 체중과 저체중인 여대생도 각각 10.4%와 2.1%를 차지하였다. 즉, 여대생은 실제 체중보다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체중에 대한 불만족이 큰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2. 여대생의 신체 부위별 만족도에서 정상 체중과 과체중 이상의 그룹 모두에서 허벅지, 다리, 엉덩이 순으로 불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만이라고 답한 여대생들의 비만에 대한 태도에서 비만의 원인으로 체중과 상관없이 잘못된 식습관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체중과 상관없이 체중 조절에 대한 희망뿐만 아니라 창피함에 대한 인식도 높게 나타나 자신의 실제 체중보다 인식하고 있는 체중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대부분은 비만교실의 참여 의사가 강하게 나타났다. 3. 체중 조절의 동기 유발 요소로는 체중과 상관없이 모든 그룹에서 거울을 볼 때와 의복 사이즈 때문이라는 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체중 감량에 대한 관심도에서 정상 체중의 그룹에서도 매우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체중 감량의 직접적인 동기로는 정상 체중 그룹에서는 친구들과의 대화에서 가장 큰 동기 부여를 받는데 비해서 과체중 이상의 여대생들은 매스컴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중과 상관없이 모든 그룹에서 여대생들은 외모를 체중 감량의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 HR, Choi J. 2007. Relationship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825-835 

  2. Cho SJ, Kim CK. 1997. The effect of female students' obese level and weight control behavior and attitudes on stres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14:1-16 

  3. Kern LS, Friedman KE, Reichmann SK, Costanzo PR, Musante GJ. 2002. Changing eating behavior a preliminary study to consider broader measures of weight control treatment success. Eating Beh 3:113-121 

  4. Kim KH, Kim OR, Chung KO, Jeong KS, Lee EJ. 2004. Weight control experience, body image and stress coping according to obesity in college female student. A collection of learned papers of Kimcheon Science College. 30:63-76 

  5. Kim KW, Lee MJ, Kim JH, Shim YH. 1998.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empt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 Nutr 3:21-33 

  6. Kim MO, Chang UJ.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besity by age and the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Korean J. Food & Nutr 22:110-122 

  7. Kim OS. 2002. BMI, body attitude and dieting among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256-264 

  8. Lee JH, Kim MS, O JH. 2007.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s of body image, body satisfaction, and dietary habits of beauty art major and non-major female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463-473 

  9. Lee KH, Hwang KJ, Her ES. 2001.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4. Changwon. Korean J Comm Nutr 6:577-591 

  10. Lee MY, Kim SK, Chang KJ. 2002. Diet behaviors,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blood lipid profile of obese children in Incheon. Korean J Comm Nutr 7:803-813 

  11. Lim JY, RHa HB. 2007. Weight control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health-related maj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 Nutr 12:247-258 

  12. Nam YJ, Lee SH. 2001. Comparison of perceived body size and actual body siz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25:764-772 

  13. Rhee JH. 2007. A study on effects of somatotypes and stress on body cargexisand preferences of clothing imag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1084-1099 

  14. Ross EC. 1994. Overweight and depress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5:63-78 

  15. Ryu HK, Yoon JS, Park DY. 1999.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weight control behavior in adolescent females. Korean J Comm Nutr 4:561-567 

  16. Seymour M, Hoerr SL, Huang YL. 1997. Inappropriate dieting behaviors and related lifestyle factors in young adults : are college students different? J Nutr Educ 29:21-26 

  17. Wardle J, Haase AM. 2006. Steptoe a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er J Obesity 30:644-651 

  18. Yang MO. 2004. The effect of recreation and dietary habits on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S. Thesis,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inju, Korea 

  19. Yang MO, Kim MO, Kim HJ. 2008. A study on leisure activities effects on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4:133-152 

  20. 이호성, 소영호. 2005.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가치 인식이 다이어트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5:715-7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