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문화성향에 따른 정보 인식과 태도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and Attitude by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3, 2014년, pp.59 - 76  

김지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개인의 다양한 문화성향이 맥락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인지와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정보전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인 문화성향의 파악을 위해 개인주의/집단주의에 수직적/수평적 차원을 첨가하여 네 그룹으로 분류하는 Triandis(1988)의 척도를 적용하였으며 실험 연구방법을 통해 결과를 얻었다. 실험결과 수평적 집단주의의 성향을 가진 학생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반면에 수직적 개인주의의 성향은 한국 학생들에게 드물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한 맥락적 정보인지에 대한 조사에서 수직적 집단주의 성향의 개인들이 더 많은 맥락적 정보인지를 하였다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on the percep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and attitude toward contextual material, and to provide the effective ways of delivering information. To investigate individual cultural disposition, this study emp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 연구문제는 개인 문화성향의 맥락적 정보인지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개인 문화성향의 맥락적 정보인지에 대한 영향을 관찰할 수 있는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국내외에서 이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개인 문화성향의 맥락적 정보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라는 것이다. 또한 문헌정보학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외적 정보행동보다는 개인의 정보인지에 중점을 두었다는 점도 의의가 있겠다.
  • 본 연구는 개인의 다양한 문화성향이 맥락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인지와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정보전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 문화성향의 파악을 위해 개인주의/집단주의 이론에서 수직적/수평적 차원을 첨가한 Triandis(1988)의 척도를 적용하였다.
  • Triandis(1988)는 개인차원의 문화성향을 개인주의나 집단주의의 두 가지로 단순화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수직적/수평적으로 한 차원 더 세분화하여 개인의 문화적 성향을 나타내주는 틀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도 Triandis(1988)의 척도를 적용하여 다른 개인 문화성향을 가진 학생들이 어떻게 인지적인 측면에서 주변관계를 중시하는 맥락적 정보를 이해하고 어떠한 태도를 갖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개인 문화성향의 정보인지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아직 활발하지 않지만 점차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분야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개인 문화성향의 맥락적 정보인지/태도에 대한 영향 조사를 위해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성향에 수직적/수평적 차원을 적용하여 더 정교한 분석과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세 번째 연구문제는 개인 문화성향의 맥락적 정보물 태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개인 문화성향의 맥락적 정보물 태도에 대한 영향을 관찰할 수 있는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첫 번째 연구문제는 한국 대학생들은 주도적인 개인 문화성향에 관한 것이다. 개인 문화성향에 대한 분석에 앞서 네 가지 성향에 대한 실험참가자들의 전체 평균을 분석해보니 수직적 집단주의의 성향이 수평적/수직적 개인주의나 수평적 집단주의의 성향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나, 수직적 개인주의의 성향을 제외하고는 그 평균점수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표 1>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란? 문화란 이렇듯 사회를 이루는 개인들의 특성과 행동양식이 모여서 이루어지며, 구성원들의 사상, 행동, 가치에 영향을 준다(Geertz 1973). 문화는 넓은 의미로는 사회구성원들에게 공통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생각과 느낌의 패턴이며, 좁은 의미로는 예술, 문학, 그리고 교육 등에서 나타나는 인간 창작활동물과 상호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Hofstede 2001).
문화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문화적 틀의 이론은? 학자들은 문화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문화적 틀을 제시하였다. 그중 가장 빈번하게 인용되는 이론이 Hofstede의 개인주의 이론이다. 이 이론은 지나치게 산만해 질 수 있는 국가문화를 통합하여 명확히 두가지 이분법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는 실용성에서 여전히 학자들에게 인정받고 있는 이론이다.
문화의 특징은? 이러한 다양성안에서도 사회 구성원들이 보이는 특징적인 행동양식이 있으며 이러한 행동양식들이 모여서 그 사회의 특징을 이루어간다. 문화란 이렇듯 사회를 이루는 개인들의 특성과 행동양식이 모여서 이루어지며, 구성원들의 사상, 행동, 가치에 영향을 준다(Geertz 1973). 문화는 넓은 의미로는 사회구성원들에게 공통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생각과 느낌의 패턴이며, 좁은 의미로는 예술, 문학, 그리고 교육 등에서 나타나는 인간 창작활동물과 상호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Hofstede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류승아. 2010. 자아존중감과 문화적 성향과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2): 169-183. (Ryu, Seungah. 2010. "Correlational Structure of Self-esteem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4(2): 169-183.) 

  2. 박현경, 이영희. 2004. 집단상담 참가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상담자 역할기대 및 치료적 요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571-596. (Park, Hyun-Kyung and Young-Hee Lee.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ism- Collectivism, Client's Expectations of the Counselor's Role, and Therapeutic Factor with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6(4): 571-596.) 

  3. 안신호. 1999. 한국의 집단주의에 관한 동기-자아개념-행동 모형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1): 121-164. (Ahn, Shin Ho. 1999. "A Test of Motivation-Self-Expansion-Behavior Model: Collectivism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1): 121-164.) 

  4. 우영지, 이기학. 2011. 여대생의 문화성향 군집에 따른 다중역할계획태도, 성취동기, 자기효능감의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405-425. (Woo, Young Jee and Ki-Hak Lee. 2011. "Comparative Study of ATMRP,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mong Cluster Types of Cultural Orienta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3(2): 405-425.) 

  5. 장성숙. 2004. 한국문화에서 상담자의 초점: 개인중심 또는 역할중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15-27. (Chang, Sung-Sook. 2004. "The Counselor's Focus in Korean Culture: Individual-Focused or Role-Focused."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8(3): 15-27.) 

  6. 주미정, 이재식. 2012. 문화성향과 분석적-종합적 사고유형의 조합에 따른 전역/국소처리에서의 차이. 인지과학, 23(2): 269-293. (Joo, Mijung and Jaesik Lee. 2012. "Differences in Global/Local Processing of Combined Groups of Cultural Dispositions and Analytic-Holistic Thinking Styles."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23(2): 269-293.) 

  7. 한규석, 신수진. 1999.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93-310.(Han, Gyuseog and Soo-Jin Shin. 1999. "A Cultural Profile of Korean Society: From VerticalCollectivism to Horizontal Individualism."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13(2): 293-310.) 

  8. 한성열, 안창일. 1990. 집단주의와 나이, 교육, 결혼 및 주거 형태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5(1): 116-128. (Han, Seong-Yeul and Chang-Yil Ahn. 1990. "Collectivism and Its Relationships to Age, Education,Mode of Marriage and Living in Koreans." Kor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1):116-128.) 

  9. Chiou, Jyh-Shen. 2001.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Taiwan, and Argentina."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 667-678. 

  10. Cho, Young-Ju, Brent Mallinckrodt, and Sook-Kyeong Yune. 2010.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as Bicultural Values: South Korean Undergraduates' Adjustment to College." Asian Journal of Counseling, 17(1&2): 81-104. 

  11. Dervin, Brenda. 1996. Given a Context by Any Other Name: Methodological Tools for Taming the Unruly Beast. In P. Vakkari, R. Savolainen, & B. Dervin (Eds.), Information Seeking in Context. London, England: Taylor Graham. 

  12. Geertz, Clifford. 197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New York: Basic Books. 

  13. Gudykunst, William B., Young-Chul Yoon, and Tsukasa Nishadsa. 1987. "The Influence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on Perceptions of Ingroup and Outgroup Relationships." Communication Monographs, 54(3): 295-306. 

  14. Hall, Edward T. 1976. Beyond Culture. New York: Anchor Press/Doubleday. 

  15. Hofstede, Geert. 1980.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Beverly Hills, CA: Sage. 

  16. Hofstede, Geert. 2001.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7. Holmes, John H. and Kenneth E. Crocker. 1987. "Predisposition in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Rational, Functional and Discrepant Appeals for Both."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5(1): 11-18. 

  18. Kim, Ji-Hyun. 2013. "Information and Culture: Cultur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Recall of the Inform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5(3): 241-250. 

  19. Kitayama, Shinobu, Sean Duffy, Tahashi Kawamura, and Jeff T. Larsen. 2003. "Perceiving an Object and its Context in Different Cultures: A Cultural Look at the New Look." Psychological Science, 14: 201-206. 

  20. Machlup, Fritz and Una Mansfiled. 1983. The Study of Information: Interdisciplinary Messages. New York: John Wiley & Son. 

  21. Masuda, Takahiko and Richard E. Nisbett. 2001. "Attending Holistically versus Analytically: Comparing the Context Sensitivity of Japanese and America."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5): 922-929. 

  22. Menou, Michel J. 1983. "Cultural Barriers to the International Transfer of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19(3): 121-129. 

  23. Nakane, Chie. 1974. "Cultural Anthropology in Japan."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3: 57-72. 

  24. Nicovich, Stef and Bettina T. Cornwell. 1998. "An Internet Culture?: Implications for Marketing."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2(4): 22-33. 

  25. Nisbett, Richard E. and Takahiko Masuda. 2003. "Culture and Point of View." PNAS, 100(19): 1163-1170. 

  26. Park, Young-Shin and Uichol Kim. 2006. Family,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Indigenous, Cultur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In U. Kim, K. Yang, & K. Hwang (Eds.),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Understanding People in Context. New York, NY: Spring Science + Business Media. 

  27. Resnik, Alan and Bruce L. Stern. 1977. "An Analysis of Information Content in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41(1): 50-53. 

  28. Rettie, Ruth. 2002. "Net Generation Culture."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3:4 [online]. [cited 2014.8.15]. . 

  29. Singelis, Theodore M., Harry C. Triandis, Dharm P. Bhawuk, and Michele J. Gelfand. 1995.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Cultural Research, 29(3): 240-275. 

  30. Taylor, Charles R., Gordon E. Miracle, and R. Dale Wilson. 1997. "The Impact of Information Level on the Effectiveness of U.S. and Korea Television Commercials." Journal of Advertising, 26(1): 1-18. 

  31. Triandis, Harry. C. 1988. Collectivism vs. Individualism: A Reconceptualization of a Basic Concept in Cross-Cultural Psychology. In G. Verma & C. Bagley (Eds.), Cross-Cultural Studies of Personality, Attitudes and Cognition. London, England: Macmillan. 

  32. Usunier, Jean Claude and Roulin Nicolas. 2010. "The Influence of High-And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s on the Design, Content, and Language of Business-To-Business Web Sites."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47(2): 189-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