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도 관제권 운영주체 선정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Factors for Selecting Operator of Rail Traffic-Control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4, 2014년, pp.327 - 335  

오재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  정성봉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  김지연 (서울도시철도공사 기술계획팀) ,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부에서는 철도경쟁체제 도입에 따른 관제권 이관을 추진함에 따라 관련 기관간 첨예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관제권 운영주체 선정에 대한 합리적 객관적 평가항목과 기준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 관제권 운영주체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항목으로 안전성, 보안성, 효율성, 공정성 등 5가지 항목을 도출하고, AHP분석을 위해 각 항목에 대해 3가지 수준으로 위계를 설정한 후, 각 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관련 분야별 비교를 위해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철도운영자, 시설관리자 그리고 관련 학연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설문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제권을 담당하는 기관을 선정할 때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으며, 이해관계에 따라 공정성 또는 보안성, 그리고 효율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제업무에 대한 적정 운영주체를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철도운영자가 2.75점, 그리고 철도시설관리자가 3.83점으로 향후 철도시장 다변화에 따른 관제권의 운영주체는 철도시설관리자가 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철도 관제권 운영주체에 대한 선정 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항목 및 기준을 활용한다면 좀 더 합리적 객관적 운영주체 선정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government, as of last year, is attempting to introduce a competitive system in the rail-market. However there are some pertinent issues which need to be addressed in order to select the best possible organization for optimum railway traffic control. As there are no standard guidelin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철도관제권 운영주체의 합리적 선정을 위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AHP기법을 활용하여 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우선, 철도관제권 운영주체의 합리적 선정을 위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검토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 본 절에서는 제3절에서 도출한 평가항목과 항목별 가중치를 토대로 향후 철도시장의 다변화를 전제로 적정 운영주체선정을 위해 2가지 대안을 설정하여 평가를 수행하도록 한다.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관제업무와 관계 있는 기관(철도운영사 및 철도시설관리자)의 종사자를 제외하고, 철도 관련 학계 및 연구계 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관제업무에 대한 적정 운영주체를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제의 핵심 업무를 수행하는 중앙관제 업무를 중심으로 향후 철도 관제권 운영주체 선정 시 고려되어야 할 평가항목을 전문가 설문 등을 통해 도출하고, 도출된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AHP기법을 활용하여 산정한 후, 운영주체 선정 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철도운영에 대한 기본적인 방침은 대부분 정책적 측면에서 결정되었지만, 향후 민간부문의 역할이 증가하고 다양한 외부요인을 감안할 때, 관제권에 대한 객관적인 운영주체 선정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철도관제권 운영주체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제시하였다. 우선 관제권 운영주체 선정 시 고려해야할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문헌검토와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안전성, 보안성, 효율성, 그리고 공정성 등 4가지 평가항목으로 도출되었다.
  • 철도관제권의 경우 보안과 안전의 이유로 많은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되지 못하였다. 특히, 운영 주체 선정 및 평가항목 관련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본 절에서는 선행연구동향을 관제업무, 관제조직, 관제 업무수행기관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도 관제권 운영주체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항목으로 도출된 항목들은? 최근 정부에서는 철도경쟁체제 도입에 따른 관제권 이관을 추진함에 따라 관련 기관간 첨예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관제권 운영주체 선정에 대한 합리적 객관적 평가항목과 기준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 관제권 운영주체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항목으로 안전성, 보안성, 효율성, 공정성 등 5가지 항목을 도출하고, AHP분석을 위해 각 항목에 대해 3가지 수준으로 위계를 설정한 후, 각 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관련 분야별 비교를 위해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철도운영자, 시설관리자 그리고 관련 학연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설문 및 분석하였다.
철도 관제업무란? 철도 관제업무는 철도 이용객의 안전과 편의성을 위한 열차의 안전운행, 정시운행을 통제하는 것으로 철도 운행이 시작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철도 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담당해 왔다. 친환경 녹색교통수단으로 철도 이용객이 증가하고 철도운영 및 관리시스템이 첨단화됨에 따라 철도관제 업무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철도경쟁체제 관점에서 어떤 절차를 거쳐 관제권 운영주체 선정 관련 항목을 도출하였는가? 하지만, 철도경쟁체제는 철도시설은 국가가 소유하고 운영에 대한 면허를 취득한 민간운영자가 일정기간 동안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관제권 운영주체 선정 시 고려해야 하는 항목을 관련문헌과 전문가 면접 등의 절차를 통해 제시하였으며, 평가항목이 가지는 중요도를 객관성 및 합리성 제고를 위해 철도운영사, 철도관리자 그리고 철도관련 학계 전문가 등 3가지 그룹의 관점에서 분석․비교를 하였다. 물론 본 연구에서 수행한 관제권 운영주체 평가결과는 학계 및 연구계 일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평가결과를 보여준다고는 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runs R. D. (1989), Safety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of Railroad Operations by Advanced Train Control System, Proceedings, Railroad Conference of IEEE/ASME. 

  2. Hong S. H., Kim Y. H., Oh S. M. (2012),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Railway Traffic Management Rules of Korea, 2012 Autumn Conference &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679-681. 

  3. Sahin I. (1999), Railway Traffic Control and Train Scheduling Based Oninter-train Conflict Managemen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3(7), 511-534. 

  4. Pachl J. (2002), Railway Operation and Control (Second Edition), VTD Rail Publishing. 

  5. Kong H. k., et al. (2008), A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5(1), 139-152. 

  6. Korea Railroad Corporation (2013), Railway Traffic Control Center Business Management Regulations 철도교통관제센터 업무내규. 

  7.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04), Rail Traffic Control Productivity Study 철도교통 관제업무 효율화 방안 연구. 

  8.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2006) Railway Traffic Control Service Costing Study on Charge 철도교통 관제업무 위탁비용 산정에 관한 연구.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2007), Efficiency Delegated Management of Railway Traffic Control Business 철도교통관제업무의 효율적 위탁관리 방안 연구. 

  10. Saaty T. L. (1990), How to Make a Decision: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 Research, 48(1), 9-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