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커트 길이와 주가 지수 상관 이론인 헴라인 지수(Hemline index) 이론을 중심으로 한 패션 이론 검증 연구 -1980~2013년을 중심으로-
A Study of Verification on Fashion Theory around Relation Theory of Skirt Length and Stock Index, Hemline Index -Focus on 1980 to 2013 year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8 no.4, 2014년, pp.584 - 597  

김선숙 (대전대학교 패션 디자인 비즈니스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verified the 'Hemline Index' theory by George (1926) and established a new fashion theory frame to forecast future fashion cycles of skirts by analyzing the past fashion cycle of skirts through a diachronic method. Skirt pictures from 1980-2013 (the post-industrialized period of Korea)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명의 전문 코더들은 실제 분석에 앞서 분석유목 및 방법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받은 뒤 수집된 사진들을 판단분석 기준표에 의해 코딩하였다. 각자 사전분석을 해본 후 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사진자료에 대해 분류기준을 논의를 하여 3명의 코더 간의 해석에 다른 차이를 줄이고자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패션 주기를 시각적으로 가장 잘 나타내주는 스커트 길이를 중심으로 패션 주기를 알아보고 경제 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패션 기업의 상품 기획을 위해 미래 패션 주기를 예측함으로써 적중률 높은 상품 기획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자 진행하였다.
  • Kim(2013)은 팬츠 스타일 주기는 50년의 패션 주기를 보고했던 Kroeber(1919)의 연구, 1990년대 제시된 각각 20년 주기 이론과 25년 주기 이론을 제시한 이론인 Rhee(1997)와 Sproles and Burns(1994)의 연구, 본인의 Kim(2013)의 연구결과 등을 종합하여 1900년대 초반까지 50년 주기로 변화하던 패션 주기가 1950년대 이후 점차 짧아져 1990년대까지는 25년 주기로 반감되었다가 인터넷 정보화 혁명기 이후인 1990년 들어 다시 10여 년으로 반감되어 가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패션 주기가 10여 년으로 감소 경향을 보임을 스커트 패션 주기에도 적용가능한지 가설을 구성하고 검증하도록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Young(1937)이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여성복의 스타일 변화를 수학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처럼 각각의 시대별 스커트 길이 및 폭을 수치화하고 거시적 사회 환경 중 경제요인인 종합 주가 지수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20세기 초에 제시된 George(1926) 이론이 21세기인 현재에도 적용가능한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한국종합주가지수는 주식시장에 거래되는 모든 상장주식의 시가총액을 기준시점의 시가총액과 대비하여 계산한 지수로 기준시점인 1980년 1월 4일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하여 매일의 상장주식의 시가총액을 이와 비교하여 상대적 가치를 구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와 관련된 주기 이론으로써 스커트 길이와 경제변동의 상관관계를 제시한 George(1926)의 헴라인 지수 이론(불황기-긴 스커트, 호황기-미니 스커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패션 주기를 시각적으로 가장 잘 나타내주는 스커트 길이를 중심으로 스커트 길이와 경제요인과의 관련성을 검증함으로써 패션 주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 미래 패션 주기 예측을 수월하게 하여 패션 기업의 적중률 높은 상품 기획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 현재 21세기에 들어 정보 통신의 발달과 국민 소득의 증대, 세계 시장의 글로벌화의 진전 등 많은 영향요인이 존재하는데 이들 요인 모두 경제적 요인임을 고려할 때 경제적 요인의 영향력은 증대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요인 중 경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종합 주가 지수와 패션 주기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 한국종합주가지수는 주식시장에 거래되는 모든 상장주식의 시가총액을 기준시점의 시가총액과 대비하여 계산한 지수로 기준시점인 1980년 1월 4일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하여 매일의 상장주식의 시가총액을 이와 비교하여 상대적 가치를 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가시도가 높은 여성의 스커트라는 아이템에 국한해서 주기를 파악해보고, 거시적 사회 환경요인 중 경기의 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종합 주가 지수와의 관련성을 통해 경기지표로써 패션의 변화방향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 경제지표 중 경기를 대표하는 종합 주가 지수는 우리 사회 내의 다양한 현상들을 설명해내는데 가장 적합한 지표가 아닌가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 주가 지수와 패션 주기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종합 주가 지수에 대해 살펴보면,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움직임을 대표하기 위하여 한국증권선물거래소는 매 거래일마다 한국종합주가지수(KOSPI)를 발표하고 있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H1: 1980년대 이후 스커트 길이의 패션 주기는 10여 년으로 감소 경향을 보일 것이다.
  • 연구가설 H2: 스커트 길이는 종합 주가 지수와 부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H3: 스커트의 폭과 길이는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 이러한 결과는 이전 연구자들(Kim, 2013; Rhee, 1997; Sproles & Burns, 1994)의 결과와 통합하여 대략 패션 주기가 점차 10여 년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했던 Kim(20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여 연구가설 H1(1980년대 이후 스커트 길이의 패션 주기는 10여 년으로 감소 경향을 보일 것이다)이 지지되었다.
  •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보았을 때 연구가설 H1(1980년대 이후 스커트 길이의 패션 주기는 10여 년으로 감소 경향을 보일 것이다)는 지지된다.
  • 전반적으로 미니 스커트의 경우 폭이 좁고 롱 스커트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말할 수 있으며 연구가설 H3(스커트의 폭과 길이는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가 지지되었다(Table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이란? 패션이란 어느 특정한 감각이나 스타일이 일정한 기간 동안 대중에 의해 공유되는 것으로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여 변화하며 일정한 주기성과 반복성을 지닌다 (Yu, 2004). 지금까지 많은 패션 연구자들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조금이나마 감소시키기 위해 장기간 패션 트렌드예측이가능한트렌드 주기연구들을해오고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활성화로 인한 빠른 패션 사이클을 확인할 수 있는 패션 브랜드 두 가지는? , 2008; Solomon & Rabolt, 2004). 특히, H&M, Zara 와 같은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브랜드들은 10번 미만으로 입혀질 옷들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며 끊임없이 신상품을 공급하여 소비자들의 관심과 소비를 창출하려 노력하고 있는데, 빠른 패션 사이클을 확인할 수 있는 단적인 예이다(Birtwistle & Moore, 2007).
헴라인 지수(Hemline index) 이론은 무엇인가? 경기와 관련된 패션 주기 이론으로써는 George(1926) 는 헴라인 지수(Hemline index) 이론을 제시하여 불황기-긴 스커트, 호황기-미니 스커트의 주기 유행 이론을 경제변동 상관관계로 설명하였다. 경기가 좋을 때는 여성들이 실크 스타킹을 보여주려고 스커트를 짧게 입지만 경기가 나쁘면 스타킹을 살 돈이 부족해 긴 치마가 유행 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nes, L., & Lea-Greenwood, G. (2010). Fast fashion in the retail store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8(10), 760-772. 

  2. Behling, D. (1985). Fashion change and demographics: A mod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4(1), 18-14. 

  3. Birtwistle, G., & Moore, C. M. (2007). Fashion clothing-where does it all end up?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5(3), 210-216. 

  4. Choi, J. Y., Leem, S. M., & Kim, M. S. (2008). A study on consumption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the acceleration of fashion cy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7), 1137-1148. 

  5. Damhorst, M. L., Miller-Spillman, K. A., & Michlman, S. O. (2006). The meanings of dress (2nd ed.).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 

  6. Future & Management. (2006). NEW 경제용어사전 [New economic term dictionary]. Seoul: Future & Management Institute. 

  7. George, W. T. (1926). Hemline index. Wikipedia. Retrieved May 28, 2013, from http://en.wikipedia.org/wiki/Hemline_index 

  8. Greenwood, K. M., & Murphy, M. F. (1978). Fashion innovation and marketing.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9. Hamilton, J. A. (1997). The macro-micro interface in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fashion forms and meaning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5(3), 164-171. 

  10. Hemline theory. (2014, March 30). NASDAQ. Retrieved March 30, 2014, from http://www.nasdaq.com/investing/glossary/h/hemline-theory#ixzz2waoRweXI 

  11.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12. Kim, S. S. (2013). The analysis of pant style trend to establish a fashion cycle theory: Focus on 1967 to 201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6), 786-798. doi:10.5850/JKSCT.2013.37.6.786 

  13. Ko, E., & Kim, S. (2009). The analysis of products characteristics on hit brands for fashion trend forecasting-Focused on 1996-200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9(3), 67-79. 

  14. Kroeber, A. A. (1919). On the principle of order in civilization as exemplified by change of fashion. American Anthropologist, 21, 235-263. 

  15. Malm, S. (2012, August 12). The hemline economy: Maxi length skirts are a sure sign of bad times, and now they are as long as the 1929 Great Depression. Daily Mail. Retrieved April 9, 2014, from 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2187272/1929-depression-Skirts-long-past-recession-indication-bad-times.html 

  16. Menkes, S. (2008, July 17). Bulls, Bears and the Bellwether Hemline. New York Times. Retrieved April 9, 2014, from http://www.nytimes.com/2008/07/17/fashion/15jolie.html?_r0 

  17. Rhee, E. Y. (1997). Fashion marketing (2nd ed.). Paju: Kyomunsa. 

  18. Solomon, M. R., & Rabolt, N. J. (2004). Consumer behavior in fashion. New Jersey: Prentice Hall. 

  19. Sproles, G. B., & Burns, L. D. (1994). Changing appearance.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 

  20. Young, A. B. (1937). Recurring cycles of fashion: 1760-1937. New York: Harper & Brothers. 

  21. Yu, J. H. (2004). A analysis of turning point of fashion cycle -Compare 1997 and 2002-.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3), 327-338. 

  22. 여성동아 [Women's dongA]. (1980-2013). doopedia. Retrieved October 30, 2013, from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2038 

  23. 여성동아 [Women's dongA]. (1980-2013). 여성동아 [Women's dongA]. Retrieved October 30, 2013, from http://woman.donga.com/ 

  24. 여성중앙 [Women's Joongang]. (1980-2013). doopedia. Retrieved November 25, 2013, from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 _methodview&MAS_IDX101013000702652 

  25. 여성중앙 [Women's Joongang]. (1997-2013). 여성중앙 [Women's Joongang]. Retrieved November 25, 2013, from http://mnbmagazine.joins.com 

  26. 트렌드 [Trend]. (2013, May 25). doopedia. Retrieved May 25, 2013, from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37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