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계측 유역의 수문학적 가뭄 평가 및 감시를 위한 원격탐사의 활용
Hydrological Drought Assessment and Monitoring Based on Remote Sensing for Ungauged Area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0 no.4, 2014년, pp.525 - 536  

이진영 (APEC 기후센터 연구본부 기후변화연구팀) ,  임정호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도시환경공학부) ,  김종필 (APEC 기후센터 연구본부 기후변화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주요 수문 변수인 유출량, 저수위, 유량 등의 관측 자료가 부재한 미계측 유역에 대한 수문학적 가뭄 평가 및 감시를 위해 원격 탐사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최근 심각한 가뭄 피해를 입은 지역인 남한강상류 유역에 적용하였다. 수문 변수의 관측 자료가 부재한 지역에 대해서는 원격 탐사를 이용하여 수문 변수보다 추정이 용이한 강수량, 증발산량 등 기상 변수의 추정을 통해 물 수지에 기초하여 가뭄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2-2013년의 기간에 대하여 원격 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기의 온도를 추정하고, 이로부터 증발산량을 도출하여 강수량과 증발산량 차의 백분위가 유량 백분위와 가지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Aqua위성에 탑재된 MODIS 센서의 $1{\times}1km$ 공간 해상도의 지표면 온도와 $5{\times}5km$ 공간해상도의 대기 연직 온도 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최고 및 최저 대기 온도를 추정하였으며, Hargreaves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미국몬태나주립대학교에서 Penman-Monteith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기존 자료(MOD16)의 잠재 증발산량과 비교한 결과 상대적으로 결정계수는 더 작았으나 상당히 작은 오차를 보였다. 남한강상류 유역에 대하여 TRMM 위성으로부터 도출한 강수량과 함께 1, 3, 6, 12개월 시간 척도의 P-PET(강수량 증발산량) 백분위를 구해 유량 백분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남한강상류 유역은 여름철(r = 0.89, tau = 0.71)과 가뭄 평가에 중요한 가을철(r = 0.63, tau = 0.47)에 1개월 P-PET 백분위가 유량 백분위와 95% 신뢰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 유역은 강수의 영향이 특히 크게 나타나는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건조한 지역과는 달리 증발산량이 유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원격 탐사 자료가 미계측 유역에서 수문학적 가뭄 평가 및 감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으며 특히 공간적으로 분포된 높은 해상도의 추정 자료는 지역별로 차별화된 가뭄 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method to assess and monitor hydrological drought using remote sensing was investigated for use in regions with limited observation data, and was applied to the Upper Namhangang basin in South Korea, which was seriously affected by the 2008-2009 drought. Drought information may b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관측 값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의 수문학적 가뭄 평가 및 감시를 목적으로 하므로 원격 탐사를 통해 강수량과 증발산량을 추정하여 수문학적 가뭄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Vicente-Serrano et al.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지역으로 설정하였으나 관측 자료가 없어 매개변수 지역화를 수행할 수 없는 지역의 가뭄 평가가 내재할 수 있는 불확실성도 포함하여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매개변수와 대기 온도의 관계식도 지역 및 기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에 맞춰 지역화된 매개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 공식의 매개변수를 그대로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원격 탐사 자료를 활용하여 관측 값이 부재한 지역에 대하여 대기 온도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증발산량을 산정하여 강수량과 함께 수문학적 가뭄을 평가하고 감시하는 방법을 검증하였다. 증발산량 산정방법에 있어 물리적으로 확고하기는 하지만 많은 변수 값을 필요로 하는 Penman-Monteith 방법보다는 최고 및 최저 온도만을 이용하는 Hargreaves 방법을 이용하여 습도의 영향을 반영하면서도 많은 변수가 제기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피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이나 우리나라의 상류 지역과 같이 수문 변수의 관측 자료가 부재한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원격 탐사를 이용하여 강수 및 증발산량을 추정한 후 이를 통한 수문학적 가뭄의 평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원격 탐사 자료를 통해 대기 온도를 추정하고 (2) 이를 기반으로 증발산량을 도출한 뒤 (3) 원격 탐사 강수량과 도출된 증발산량의 차가 유량과 가지는 상관성을 분석하여 수문학적 가뭄 평가 및 감시에 대한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월별 자료로 전환 시 각 8일 자료의 메타데이터(metadata)를 통해 실제 사용된 날짜를 이용하여 환산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사용되지 않은 날이 몰려 있을 경우 해당 월의 어느 구간에 의도치 않은 가중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8일 자료의 값이 그 구간의 대푯값이라고 가정하여 각 구간의 길이로 가중치를 주어 월별 자료로 전환하였다.
  • , 2010). 따라서 증발산량이 토양 수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며 PET가 AET에 가깝다는 가정을 수립하였다. 단,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지역에 대해 적용할 경우 토지 피복과 식생 활력도 등을 고려하여 수분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계수를 곱하여 AET를 추정하여야 한다(Seney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수의 부족이 지속되는 기간에 따라 가뭄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국내 법적으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에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주요 자연 재난의 하나로 태풍, 홍수, 대설 등과 함께 지정되어 있다. 강수의 부족이 지속되는 기간에 따라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meteorological drought)으로 시작하여 토양 수분가뭄(soil moisture drought)이나 농업적 가뭄(agricultural drought), 수문학적 가뭄(hydrological drought)으로 발달하는데, 심각한 사회 · 경제적인 피해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회·경제학적인 가뭄(socioeconomic drought)으로 정의하기도 한다(Wilhite and Buchanan, 2005).
증발산량은 어떻게 구분되며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수문기후학에서 증발산량은 실제 증발산량(Actual Evapotranspiration, AET)과 잠 재 증 발 산 량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AET는 말 그대로 실제로 일어나는 증발산량이며 PET는 충분한 수분이 공급된다면 일어날 수 있는 잠재적인 증발산량이다. 대륙 규모의 연구에서 AET는 강수량과 유출량의 관계식을 사용하여 추정하기도 하며(Hare, 1980), 최근 상세한 지역 규모의 연구에서는 토양 수분의 정도를 이용하여 토양 수분 스트레스 계수 등을 활용하여 추정하기도 하였다(Seney et al.
잠재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방법 중 평균 온도를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 이 보고서에서는 또한 여러 변수의 관측 및 추정 값이 부재할 경우 Hargreaves 방정식(Hargreaves, 1985)을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이 밖에도 물 수지, 에너지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방법이 존재하며 전통적으로 평균 온도를 사용한 Thornthwaite방법도 많이 사용된다(Thornthwaite and Mather, 19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len, R.G., L.S. Pereira, D. Raes, and M. Smith,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Rome, Italy. 

  2. Borbas, E.E., S.W. Seemann, A. Kern, L. Moy, J. Li, L. Gumley, and W. P. Menzel, 2011. MODIS Atmospheric Profile retrieval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Collection 6, Cooperative Institute for Meteorological Satellite Studie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WI, USA. 

  3. Cancelliere, A., and J.D. Salsas, 2010. Drought probabilities and return period for annual streamflow series, Journal of Hydrology, 391: 77-89. 

  4. Dezman, L.E., B.A. Shafer, H.D. Simpson, and J.A. Danielson, 1982. Development of a surface water supply index-A drought severity indicator for Colorado, Proc. of International Symposium of Hydrometeorology, Bethesda, MD,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337-397. 

  5. Ellis, A.W., G.B. Goodrich, and G.M. Garfin, 2009. A hydroclimatic index for examining patterns of drought in the Colorado River Basi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0: 236-255. 

  6. Hare, F.K., 1980. Long-term annual surface heat and water balances over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south of $60^{\circ}$ N: Reconciliation of precipitation, runoff, and temperature fields, Atmosphere-Ocean, 18: 127-153. 

  7. Hargreaves, G.L., G.H. Hargreaves, and J.P. Riley, 1985. Agricultural benefits for Senegal River basin,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11: 113-124. 

  8. Hayes, M.J., M.D. Svoboda, B.D. Wardlow, M.C. Anderson, and F. Kogan, 2012. Drought monitoring: Historical and current perspectives, In B.D. Wardlow, M.C. Anderson, and J.P. Verdin (Eds), Remote Sensing of Drought: Innovative Monitoring Approaches, CRC Press, pp. 1-19. 

  9. Kim, 2012. Evaluation of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with TRMM 3B42 and its application in the Nakdong-River basin, South Korea, APCC Technical Report 2012-02, pp.141-179. 

  10. Kingston, D.G., M.D. Todd, R.G. Taylor, J.R. Thompson, and N. W. Arnell, 2009. Uncertainty in the estimation of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under climate chang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6: L20403, doi:10.1029/2009GL040267. 

  11. Mendez Jocik, A.A., 2004. Estimate ambient air temperature at regional level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M. S. thesis, Sustainable Agriculture Specialization, International Institute for Geo-information Science and Earth Observation, Enschede, Netherlands. 

  12. Mishra, A.K., and V.P. Singh, 2010: A review of drought concepts, Journal of Hydrology, 391: 202-216. 

  13. Moon, J.W., C.G. Jung, and D.R. Lee, 2013. Parameter Regionalization of Hargreaves Equation Based on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J. Korea Water ResroucesAssosication, 46: 933-9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Mu, Q., M. Zhao, and S.W. Running, 2013: MODIS global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ET) product (NASA MOD16A2/A3)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Collection 5, College of Forestry and Conservation, University of Montana, Missoula, MT. USA. 

  15. Rhee, J. and J. Im, 2014. Estimating high spatial resolution air temperature for regions with limited in situ data using MODIS products, Remote Sensing, 6, 7360-7378. doi: 10.3390/rs6087360. 

  16. Seneviratne, S.I., T. Corti, E.L. Davin, M. Hirschi, E. B. Jaeger, I. Lehner, B. Orlowsky, and A. J. Teuling, 2010. Investigating soil moistureclimate interactions in a changing climate: A review, Earth-Science Reviews, 99: 125-161. 

  17. Seney G.B., S. Bohms, and J.P. Verdin, 2012. Remote sensing of evapotranspiration for operational drought monitoring using principles of water and energy balance, In B.D. Wardlow, M.C. Anderson, and J.P. Verdin (Eds), Remote Sensing of Drought: Innovative Monitoring Approaches, CRC Press, pp.123-144. 

  18. Shafer, B.A., and L.E. Dezman. 1982. Development of a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to asses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s in snowpack runoff areas, Proc. of 50th Annual Western Snow Conference, Reno, NV, Western Snow Conference, USA. 

  19. Shahid S., and H. Behrawan, 2008. Drought risk assessment in the western part of Bangladesh. Natural Hazards, 46: 391-413. 

  20. Sim G.O., 2009. A study on the extreme drought countermeasures by climate change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Seoul, South Korea.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21. Sonmez, F.K., A.U. Komuscu, A. Erkan, and E. Turgu, 2005. An analysis of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 of drought vulnerability in Turkey us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Natural Hazards, 35: 243-264. 

  22. Thornthwaite, C.W., and J.R. Mather, 1957. Instructions and tables for compu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nd the water balance. Drexel Institute of Technology, Laboratory of Climatology, Philadelphia, PA, USA. 

  23. Tsakiris, G., D. Pangalou, and H. Vangelis, 2007. Regional drought assessment based on the Reconnaissance Drought Index (RDI), Water Resources Management, 21: 821-833. 

  24. Vanderlinden, K., J.V. Giraldez, and M.V. Meirvenne, 2004. Spatial estim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n Andalusia, Spain, Journal of Hydrometeorology, 9: 242-255. 

  25. Vicente-Serrano, S.M., S. Begueria, and J.I. Lopez-Moreno, 2010. A multiscalar drought index sensitive to global warm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Journal of Climate, 23: 1696-1718. 

  26. Wilhite, D.A., and M. Buchanan-Smith, 2005. Drought as hazard: understanding the natural and social context, In D.A. Wilhite (Ed.) Drought and Water Crises: Science, Technology, and Management Issues, CRC Press, pp.3-29. Boca Raton, FL, USA.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