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마을축제 실태 및 활성화 방안
Actual Condition and Vitalization Plan of Rural Village Festival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0 no.3, 2014년, pp.1 - 9  

윤상헌 (한국농어촌공사) ,  이한성 (부산대학교 농업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find out vitalization plan of rural village festival through fiel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Festival vitalization plans were suggested for each of four ste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reparing stage : disambiguation of supporting festival, adjustment of selecting tim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그간 연구되지 않았던 농촌 마을축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책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중앙 및 지방정부의 축제 담당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판단된다. 그러나 축제의 핵심 주체로서의 마을 주민들에 대한 관점보다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축제활성화를 위한 마을 주민의 역할에 대한 부분은 다루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 본 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문제점을 바탕으로 축제의 프로세스(축제 준비단계, 기획단계, 운영단계, 종료단계)를 구분하여 각 단계별 정책적 측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농촌 마을축제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현장조사 및 심층 면접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촌 마을축제의 활성화를 위해 축제의 각 단계별로 추진되어야 할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농촌지역에서 개최되고 있는 소규모축제 즉, 농촌 마을축제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현장조사 및 심층 면접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농촌 마을축제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축제는 몇 개인가?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축제는 약 1,200개로 추정되고 있으며(곽용환 외, 2012), 이중 농촌지역에서 개최되는 축제는 2012년 12월 말 현재 506개로 파악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 2013).
현대적 의미의 농촌 마을축제는 무엇인가? 마을축제는 원래 ‘마을 굿’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나(오순환 외, 2004), 그 전통은 사라지고 오늘날에 와서는 서양의 ‘카니발’ 이나 일본의 ‘마쯔리’ 그리고 ‘지역축제’와 같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현대적 의미의 농촌 마을축제라하면 ‘농촌지역의 마을단위에서 주민이 주체가 되어 주민의 화합, 마을 홍보 및 마을 소득 창출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최되는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농촌 축제가 당초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일부 축제를 제외하고는 관광객을 맞이하는 젊은 서비스 인력 부족, 축제경험이 없는 마을 리더,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특산품 부족뿐만 아니라 실적 위주의 전시행정, 축제지원 대상마을 선정·평가 및 보조금의 비효율성 등으로 인하여 당초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김태수,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J., H., 2008, Rural Tourism Village Building through Village Festival-Focusing on Ugly-looking Pumpkin Festival Visitors-. Journal of Culture & Tourism Research 10(2): 127-140 

  2. An, D., C. Shin, H., J. and Kim, Y., G., 2010, Rural-Tourism Village Festival Through The Place-Assets Strategy-Focused on the Case of Wonpyeong-ri Sabuk-myun Chuncheon si-. Journal of Rural Tourism 17(1): 67-89. 

  3. Choi, J., U. Kim, E., J. and Kim, S., B., 2011, Characteristics of Village Festival and Its Development Strategies-Case Study on Hanmadang Festival, Icheon City-.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8(2): 239-262. 

  4. Gwak, Y., H. Seo, C., H. and Kim, B., G., 2012, The Effect of Local Festival Contents on Local Community Residents' Quality of Life through the Residents' Perception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8): 3127-3144. 

  5. Jang, Y., L. Yoon, Y., S. and Lee, G., J., 2009, A Study on the Visitor Satisfaction, Behavior Intention, and Festival Effects of Regional Festival i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Focused on Junnam Guraegun Bangkwangkwonyeok Rural Village-. Journal of Rural Tourism 16(4): 63-80. 

  6. Ju, H., J. Shim, J., S. Lee, B., O. and Shin, H., J., 2010, Identifying the Proximity Effects on Willingness to Purchas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By Rural Tourists. Journal of Rural Tourism 17(1): 1-14. 

  7. Kim, S., H., 2005, The Impact of Local Festivals on Local Econom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9(4): 153-178. 

  8. Kim, T., S., 2011, Diagnosis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 Festival & Its Revitalization Plan-Centering on the Case of Samcheok District-. Journal of Practice Folkloristics Research 17: 53-88. 

  9. KTO. http://korean.visitkorea.or.kr 

  10. Lee, S. Go, J., Y. and Shin, H., J., 2007, An Analysis of Purchasing Pattern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es by Truncating the WTP-Focusing on Tourists in Cherry Salmon Festival-. Journal of Rural Tourism 14(1): 183-196 

  11. MAFRA. KRCC. http://www.welchon.com 

  12. MAFRA. KRCC., 2011, 2010 year Rural Festival Evaluation Report. 

  13. MAFRA. KRCC., 2012, 2011 year Rural Festival Evaluation Report. 

  14. MAFRA. KRCC., 2013, 2012 year Rural Festival Evaluation Report. 

  15. MAFRA., 2013, 2012 year National Festival Present Condition Data. 

  16. MAFRA., 2014, Rural Festival Supporting Project Guideline. 

  17. Oh, S., H. and Kim, D., W., 2004,, Village Festival as a Method of rural vitalization. Journal of Rural Tourism 11(1): 141-154. 

  18. Ryu, S., W. and Park, K., C., 2005,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Festivals in Korea. Journal of Rural Tourism 12(1): 73-95. 

  19. Sim, K., W. and Cho, D., H., 2009, Analysis on Influence of Local Festival Satisfaction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1(4): 249-264. 

  20. Son, S., M., 2010, Differences on the Satisfaction of Rural Festival Service Quality-By 2009 Nonsan Strawberry Festival Visitors-. Journal of Rural Tourism 17(3): 1-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