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시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Bike-sharing Demand focused on Daejeon City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5, 2014년, pp.1517 - 1524  

도명식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노윤승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휘발유 가격 폭등,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사회 환경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교통수단 중 하나로 유럽에서는 일찍이 공유자전거(Bike sharing)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대전시 또한 "타슈"라는 이름으로 2009년부터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공유자전거를 대상으로 이용효율을 높이고 최적의 공유자전거 정거장 위치결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공유자전거 이용 특성을 알아보고 이용수요에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공원 인근에서 공유자전거 정거장의 설치 비율에 비해 이용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주중보다 주말 이용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전의 경우 레저를 주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유자전거를 빌린 장소로 다시 회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절대적 근접 중심성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공유자전거 정거장의 분포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 특정 지역(둔산, 유성 등)에 이용패턴이 치우쳐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버스승하차 인원, 자전거도로 연장, 공원여부, 수변공간까지의 거리, 젊은층 비율 등이며, 선정된 변수의 신뢰도(R-Square)는 0.74 수준으로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of environmental-friendly transportation modes has been growing. This is because of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increasing gas price and climate change. In Europe, bike-sharing service, one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transportation modes, has been al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공유자전거를 대상으로 공유자전거 이용 패턴을 알아보고 이용수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공유자전거 서비스의 확대를 위한 이용수요 예측을 위한 기초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대전시를 대상으로 공유자전거 이용 특성을 살펴보고 이용 활성화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용수요 예측모형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여기서 절대적 근접 중심성이 높은 노드가 실제로 인접 노드와 이용률도 높은지 살펴보기로 한다. 107개 공유자전거 정거장 간의 이용횟수 O/D 자료를 기반으로 노드 간 O/D와 자기 반환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노드 i의 자기 반환수요 RDi(trip)와 노드 i의 인근 노드와의 이용수요 Dij(trip)을 나타내면 Eq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전에서 공유자전거 사업을 뭐라고 지칭하는가? 최근 휘발유 가격 폭등,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사회 환경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교통수단 중 하나로 유럽에서는 일찍이 공유자전거(Bike sharing)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대전시 또한 "타슈"라는 이름으로 2009년부터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공유자전거를 대상으로 이용효율을 높이고 최적의 공유자전거 정거장 위치결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공유자전거 이용 특성을 알아보고 이용수요에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유자전거 정류장의 상대적인 위치도 특정 정거장의 이용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근거는? 공유자전거 정거장의 위치 선정과 정거장 간의 연계 여부는 자전거 이용에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현재 대전시 공유자전거의 경우 한 시간 이내 환승 즉, 인근 정거장에 도착하는 경우 무료로 재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자전거 정류장의 상대적인 위치도 특정 정거장의 이용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휘발유 가격 폭등,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사회 환경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교통수단 중 하나로 유럽에서는 일찍이 공유자전거(Bike sharing)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대전시 또한 "타슈"라는 이름으로 2009년부터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Efthymiou, D., Antoniou, C. and Waddell, P. (2013).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of vehicle sharing systems by young drivers." J. of Transport Policy, Vol. 29, pp. 64-73. 

  2. Garcia-Palomares, J. C., Gutierrez, J. and Latorre, M. (2012). "Optimizing the location of stations in bike-sharing programs: A GIS Approach." J. of Applied Geography, Vol. 32, pp. 235-246. 

  3. Hong, D. H., Kil, E. J., Kim, S. J., Joo, S. H. and Oh, C. (2012). "Methodology for evaluating cycling environment using gps-based probe bicycle speed data." International J. of Highway Engineering, Vol. 14, No. 2, pp. 73-81. 

  4. Jappinen, S., Toivonen, T. and Salonen, M. (2013). "Modelling the potential effect of shared bicycles on public transport travel times in greater helsinki : An Open Data Approach." J. of Applied Geography, Vol. 43, pp. 13-24. 

  5. Jung, G. S. and Lee, Y. I. (2010). "A study on the proper position of guide sign for bikeway in Korea." J.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6, pp. 99-108. 

  6. Kim, S. S., Song, G. U. and Jung, H. Y. (2009). "A study on the promotion plan and effect factors of riding a bicycl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J.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7, No. 4, pp. 17-29. 

  7. Kim, S. S., Song, G. U. and Jung, H. Y. (2010). "A study on the conscious evaluation of bicycle user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cused on Changwon-si and Masan-si in Korea)." J.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2, pp. 87-97. 

  8. Lee, G. R., Rho, J. K. and Kang, K. Y. (2009). "Development of bicycle level of service model from the user's perspective using ordered probit model." J.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8, No. 2, pp. 108-117. 

  9. Lee, J. Y., Leem, Y. T. and Lee, S. H. (2010). "Conceptualization of u-Bike services and its priorities." J.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3, pp. 7-17. 

  10. Nankervis, M. (1999). "The effect of weather and climate on bicycle commuting." J. of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 Policy and Practice, Vol. 33, pp. 417-431. 

  11. O'Brien, O., Cheshire, J. and Batty, M. (2014). "Mining bicycle sharing data for generating insights into sustainable transport systems." J. of Transport Geography, Vol. 34, pp. 262-273. 

  12. Parkes, S. D., Marsden, G., Shaheen, S. A. and Cohen, A. P. (2013). "Understanding the diffusion of public bikesharing systems:Evidence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J. of Transport Geography, Vol. 31, pp. 94-103. 

  13. Pucher, J., Buehler, R. and Seinen, M. (2011). "Bicycling renaissance in North America? An update and re-appraisal of cycling trends and policies." J. of Transport Research part A, Vol. 45, pp. 451-475. 

  14. Shin, H. C., Kim, D. J., Jeong, S. Y. and Moon, J. W. (2011). "An assessment on the possibilities to promote bicycle use and a research on its determining factors." LHI J.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 2, No. 2, pp. 125-135. 

  15. Won, D. H. and Lee, K. H. (2012). "Analysis for impact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on resident's satisfaction of bicycle use."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0, pp. 4877-48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