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젊은 성인에서 일주기유형과 기질 및 성격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Chronotypes and Temperament and Character Dimensions in Healthy Young Adults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1 no.3, 2014년, pp.93 - 98  

박천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강지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남궁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세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Circadian rhythms have been known to have associations with psychiatric disorders and personality trai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ircadian typology and temperaments/characters in a non-clinical Korean population. Methods Two hundred six healthy Korean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주기 유형에 따라 어떤 기질특성이 연관되어 있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인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일주기유형과 Cloninger 모델의 4가지 기질 및 3가지 성격 차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젊은 한국 성인에서 일주기유형에 따른 기질 및 성격특성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아침형은 낮은 위험회피 기질과 높은 인내력 및 자율성 성향과 관련되어 있었다.

가설 설정

  • A : Temperament subdimensions of TCI-RS by chronotypes. B : Character subdimensions of TCI-RS by chronotypes. Post-hoc tests in MANCOVA, * : p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주기유형의 차이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1) 아침형 인간은 일찍 일어나고 오전에 업무의 효율성이 높으며 저녁보다는 낮 시간 활동을 선호하나, 저녁형 인간은 이와 반대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일주기유형의 차이는 호르몬 분비와 같이 체내에서 발생하는 생리적인 일주기리듬을 기본으로 하여, 태양광의 변화 및 사회적인 활동 시간표와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조절되어 결정된다.2-4) 일주기유형은 정신병리, 기분장애, 학업성취도 등 인간의 행동과 정신건강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현재까지 다방면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간은 하루 중 활동 또는 취침 시각에 대한 선호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인간은 하루 중 활동 또는 취침 시각에 대한 선호에 따라 크게 아침형과 저녁형의 일주기유형으로 분류된다.1) 아침형 인간은 일찍 일어나고 오전에 업무의 효율성이 높으며 저녁보다는 낮 시간 활동을 선호하나, 저녁형 인간은 이와 반대의 특징을 보인다.
일주기유형과 성격특성과의 관련성을 나타낸 연구결과들은? 일주기유형은 하나의 특성(trait)으로,8) 일주기유형과 성격특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또한 이루어져 왔다. Eysenck9)의 성격모델을 사용한 한 선행연구에서는 아침형에서 내향성(introversion)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10) 다른 연구에서도 유의하지 않으나 같은 경향성이 확인되었다.11) 성격 5요인(Bigfive personality model)과 일주기유형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한 문헌들에서는 아침형이 저녁형에 비해 성실성(conscientiousness)이 높은 데 반해 저녁형이 신경증(neuroticism)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2)13)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일주기유형이 성격특성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Horne JA, Ostberg O.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o determine morningness-eveningness in human circadian rhythms. Int J Chronobiol 1976;4:97-110. 

  2. Jewett ME, Kronauer RE, Czeisler CA. Light-induced suppression of endogenous circadian amplitude in humans. Nature 1991;350:59-62. 

  3. Wehr TA. The durations of human melatonin secretion and sleep respond to changes in daylength (photoperiod). J Clin Endocrinol Metab 1991;73:1276-1280. 

  4. Liu X, Uchiyama M, Shibui K, Kim K, Kudo Y, Tagaya H, et al. Diurnal preference, sleep habits, circadian sleep propensity and melatonin rhythm in healthy human subjects. Neurosci Lett 2000;280:199-202. 

  5. Merikanto I, Lahti T, Kronholm E, Peltonen M, Laatikainen T, Vartiainen E, et al. Evening types are prone to depression. Chronobiol Int 2013;30:719-725. 

  6. Prat G, Adan A. Relationships among circadian typology, psychological symptoms, and sensation seeking. Chronobiol Int 2013;30:942-949. 

  7. Preckel F, Lipnevich AA, Boehme K, Brandner L, Georgi K, Konen T, et al. Morningness-eveningness and educational outcomes: the lark has an advantage over the owl at high school. Br J Educ Psychol 2013;83(Pt 1):114-134. 

  8. Paine SJ, Gander PH, Travier N. The epidemiology of morningness/ eveningness: influence of age, gender, ethnicity,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adults (30-49 years). J Biol Rhythms 2006;21:68-76. 

  9. Eysenck HJ. Assessment of personality. Br Med Bull 1949;6:16-20. 

  10. Blake MJ. Relationship between circadian rhythm of body temperature and introversion-extraversion. Nature 1967;215:896-897. 

  11. Horne JA, Ostberg O. Individual differences in human circadian rhythms. Biol Psychol 1977;5:179-190. 

  12. Hogben AL, Ellis J, Archer SN, von Schantz M. Conscientiousness is a predictor of diurnal preference. Chronobiol Int 2007;24:1249-1254. 

  13. Tonetti L, Fabbri M, Natale V. Relationship between circadian typology and big five personality domains. Chronobiol Int 2009;26:337-347. 

  14. Cloninger CR, Svrakic DM, Przybeck TR. A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 Gen Psychiatry 1993;50:975-990. 

  15. Suhara T, Yasuno F, Sudo Y, Yamamoto M, Inoue M, Okubo Y, et al. Dopamine D2 receptors in the insular cortex and the personality trait of novelty seeking. Neuroimage 2001;13:891-895. 

  16. Peirson AR, Heuchert JW, Thomala L, Berk M, Plein H, Cloninger CR. Relationship between serotonin and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Psychiatry Res 1999;89:29-37. 

  17. Youn T, Lyoo IK, Kim JK, Park HJ, Ha KS, Lee DS, et 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 and regional cerebral glucose metabolism assessed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Biol Psychol 2002;60:109-120. 

  18. Cloninger CR. Temperament and personality. Curr Opin Neurobiol 1994;4:266-273. 

  19. Loftus ST, Garno JL, Jaeger J, Malhotra AK. Temperament and character dimensions in bipolar I disorder: a comparison to healthy controls. J Psychiatr Res 2008;42:1131-1136. 

  20. Gurpegui M, Jurado D, Fernandez-Molina MC, Moreno-Abril O, Luna JD, Alarcon RD. Personality profiles and minor affective psychopathology in a non-clinical sample: an empirical verification of Cloninger's theoretical model. J Affect Disord 2009;119:34-42. 

  21. Wilson S, van Loo S, Geuens T, Claes SJ. [Personality traits of patients who have recovered completely from depression]. Tijdschr Psychiatr 2010;52:9-16. 

  22. Jankowski KS. The role of tempera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ningness-eveningness and mood. Chronobiol Int 2014;31:114-122. 

  23. Caci H, Robert P, Boyer P. Novelty seekers and impulsive subjects are low in morningness. Eur Psychiatry 2004;19:79-84. 

  24. Adan A, Lachica J, Caci H, Natale V. Circadian typology and temperament and character personality dimensions. Chronobiol Int 2010; 27:181-193. 

  25. Kim S, Duekera GL, Hasher L, Goldstein D. Children's time of day preference: age, gender and ethnic differences. Pers Individ Dif 2002; 33:1083-1090. 

  26. Miettunen J, Lauronen E, Kantojarvi L, Veijola J, Joukamaa M. Intercorrelations between Cloninger's temperament dimensions-- a metaanalysis. Psychiatry Res 2008;160:106-114. 

  27. Smith CS, Reilly C, Midkiff K. Evaluation of thre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s with suggestions for an improved measure of morningness. J Appl Psychol 1989;74:728-738. 

  28. Yoon JS, Shin SM, Kook SH, Lee HY. A preliminary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Composite Scale (KtCS) to measure morningness: eveningnes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7;36:122-134. 

  29. Goth K, Cloninger CR, Schmeck K. Das Temperament und Charakter Inventar Kurzversion fur Erwachsene - TCI R Kurz. Frankfurt: Klinik fur Psychiatrie und Psychotherapie des Kindes- und Jugendalters der J.W. Goethe-Universitat Frankfurt;2003. 

  30. Min BB, Oh HS, Lee JY.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Seoul: Maumsarang;2007. 

  31. Hansenne M, Ansseau M. Harm avoidance and serotonin. Biol Psychol 1999;51:77-81. 

  32. Mandelli L, Mazza M, Di Nicola M, Zaninotto L, Harnic D, Catalano V, et al. Role of substance abuse comorbidity and personality on the outcome of depression in bipolar disorder: harm avoidance influences medium-term treatment outcome. Psychopathology 2012;45:174-178. 

  33. Phan KL, Lee R, Coccaro EF. Personality predictors of antiaggressive response to fluoxetine: inverse association with neuroticism and harm avoidance. Int Clin Psychopharmacol 2011;26:278-283. 

  34. Smith DJ, Duffy L, Stewart ME, Muir WJ, Blackwood DH. High harm avoidance and low self-directedness in euthymic young adults with recurrent, early-onset depression. J Affect Disord 2005;87:83-89. 

  35. Diaz-Morales JF, Sanchez-Lopez P. Morningness-eveningness and anxiety among adults: a matter of sex/gender? Pers Individ Dif 2008;44:1391-1401. 

  36. Lemoine P, Zawieja P, Ohayon MM. Associations between morningness/ eveningness and psychopathology: an epidemiological survey in three in-patient psychiatric clinics. J Psychiatr Res 2013;47:1095-1098. 

  37. Lee S, Park JE, Cho SJ, Cho IH, Lee YJ, Kim SJ. Association between morningness-eveningness and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community-dwelling Korean adults. Asia Pac Psychiatry 2014;6:77-82. 

  38. Kim JW, Lee HK, Lee K. Influence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on resilience. Compr Psychiatry 2013;54:1105-1110. 

  39. Marchesi C, Cantoni A, Fonto S, Giannelli MR, Maggini C. The effect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on response to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in panic disorder. Acta Psychiatr Scand 2006;114: 203-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