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전지역 병원 중심으로
The Effect of Hospital Employees' Job Stress Factors on the Turnover Intention : Focused o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37 no.2, 2014년, pp.35 - 42  

김수정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박수용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이동형 (한밭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ob stress factors of hospital workers, which has an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For identifying the influences on turnover intention, types of hospitals (university hospital, general hospital, private hospital) and types of workers(office workers, t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병원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유형별, 직군별, 개인 특성별로 조사하여 그 차이를 연구해 봄으로써 현행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력관리 문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어느 의료기관이 비교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떤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그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선진화된 병원인적자원 관리 및 보건의료서비스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근무하는 병원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직군별, 병원유형별, 개인특성 요인별로 분석하고 병원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직무스트레스 변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Figure 1]과 같은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병원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유형별, 직군별, 개인 특성별로 조사하여 그 차이를 연구해 봄으로써 현행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력관리 문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어느 의료기관이 비교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떤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그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선진화된 병원인적자원 관리 및 보건의료서비스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원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규명함으로써 효과적인 병원 근로자의 인적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이러한 선행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그 유의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셋째, 설문지의 양이 적다. 향후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을 다양화하고 타 지역을 포함한 표본을 확대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차이가 있는지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 연구가설 1 : 병원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
  • 연구가설 2 :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주요 변인은 직군별, 병원유형별, 개인특성별 차이가 있을 것이다.
  • 하지만 의료기관의 유형별 조직화 및 전문화 정도가 다르고, 직원들에 대한 복지와 근무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병원 근로자들이 받는 직무스트레스 요인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즉, 병원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는 병원 유형별, 직군별, 개인 특성별에 따라서 스트레스의 강도가 서로 다를 것이다. 특히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은 유형별, 직군별, 개인 특성별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 종사자의 높은 이직률은,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가? 병원 종사자들의 높은 이직률은 병원 서비스의 질적 하향과 병원 경영자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재직직원들의 업무량 및 근로시간 증가 등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온다. 이직은 사회이동의 동태적인 모습으로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는 긍정적인 견해도 있으나 적정 이직 수준을 벗어났을 때는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에 역효과를 줌으로써 질적으로 우수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3]
기업경영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배경은? 최근 급격한 기술혁신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기업경영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기업들은 기술을 고도화하고 직무내용을 다양화하며 구성원들의 새로운 분야에 대한 빠른 적응을 요구하고 있다.
타 기관 직원들에 비하여, 주로 건강을 잃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병원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비교적 높은 이유는? 주로 건강을 잃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병원 종사자들의 직업은 타 기관 직원들에 비하여 직무스트레스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대부분 위계질서와 명령체계가 강조되고 있는데다 다양한 욕구를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 등 전문적이고 다양한 직종들이 모여 협동 작업을 해 나가는 조직이기 때문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ang, S.J.,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 Vol. 17, No. 4, p 297-317. 

  2. Go, J.W.,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Employe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1996, Vol. 29, p 295-308. 

  3. Kang, D.M.,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Korea : Korea Medicine, 2005. 

  4. Kim, G.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Intension to Leave the Job(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04. 

  5. Kim, H.S.,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Job Stress, Kun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ial Development Institute, 1991. 

  6. Lee, H.J., Organizational Behavior : Theory and Case Studies, Korea, Sekungsa, 1985. 

  7. Lee, K.Y., Job Stress and Serve Spontaneity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07. 

  8. Park, H.S.,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Determinant Factors of Nursing Home Worker's Turnover. Seonam University, 2011. 

  9. Yang, E.K.,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and Turnover Intention Study(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10. 

  10. Youn, J.Y., Study for the Effect on How Mentoring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e Employees. Sejong University, 2009. 

  11. Lee, Y.H., Yun, J.H., and Lee, Y.H., A Study on the Coincidences between Group Traits and Personal Traits upon the Job Stress.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2, Vol. 35, No. 2, p 21-29. 

  12. Park, J.O. and Chung, Y.B., Effects of Decision Making Style and Working Condi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R&D Employee of Small Business.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3, Vol. 36, No. 2, p 63-73. 

  13. Park, D.J., Lee, K.H., Jung, J.Y., and Moon, J.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Locus of Control,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2, Vol. 35, No. 3, p 87-94. 

  14. Jung, M.S., Lee, B.H., and Choi, M.K., The Structural Relations of Leadership Typ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ealthcare Organizations.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09, Vol. 32, No. 3, p 4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