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침에 대한 비내시경을 이용한 한열변증(寒熱辨證)의 임상적 가치평가
Clinical Values of Cold-Heat Pattern Diagnosis by the Nasal Endoscopy for Patients with Cough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5 no.3, 2014년, pp.274 - 287  

이희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박의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백현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이범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정승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정희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figure out an agreement between the diagnosis of nasal endoscopy and a preexisting questionnaire focusing on Cold-Heat pattern. Methods: 52 patients with cough who met the criteria filled out a pattern questionnaire and the examiner looked at their nasal cavi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기침 辨證9을 중심으로 寒熱을 판정하고 이 寒熱 구분을 비내시경 소견으로 판별한 寒熱 辨證과 비교하여 일치율을 살펴 보았고, 상기도 질환과 하기도 질환에 따른 일치율 및 각 辨證別 일치율을 비교 분석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기침 ⋅ 가래 한의학적 진단 설문지’9를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는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더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침은 무엇인가? 기침은 정상인에게서도 나타나는 중요한 생리적 방어기전으로 기도내로 흡인된 이물질이나 과도한 기도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한 갑작스럽고 폭발적인 호기운동이다1. 서양의학적으로는 기침의 원인을 다양한 질환에서 찾고 있으며 해당질환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크게 상기도 질환과 하기도 및 폐실질 질환으로 구분을 할 수 있다.
비내시경을 이용하여 관찰 및 검사할 수 있는 비강 내의 부위는 어디인가? 처음에는 上顎洞 내부진단을 위하여 도입되었으나 현재 비강내의 모든 부위를 관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비강의 틈새와 오목들을 관찰할 수 있으며, 중비도를 통해 주입할수 있어 전사골동까지 검사할 수 있다. 모니터에 연결하여 사진이나 비디오 등의 자료를 쉽게 얻을수 있고 영구 보관이 가능하므로, 전통적인 후비경검사 대신 내시경이 주로 사용된다24.
최근 비내시경이 개발되면서 가져온 변화는 무엇인가? 최근 비내시경이 개발되면서 비강 및 구인두 내부의 형태나 색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비내시경은 비강 또는 구인두 안으로 넣어 비강의구조, 점막의 색, 모양, 鼻漏, 구인두의 색 등을 살필 수 있고 침습적이지 않아서 환자에게 주는 부담은 거의 없는 편이며, 질병을 진단할 때5, 수술적 처치6, 수술 후의 확인7, 약물적 처치시8 많이 사용하였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비강 및 구인두 내부의 상태를 기초로 한 한의학적 진단 방법론은 개발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호흡기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4, p. 77-83. 

  2. 전국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편저. 폐계내과학. 서울: 나도; 2011, p. 38-43, 207-49. 

  3. 許浚. 東醫寶鑑. 서울: 남산당; 2004, p. 239, 244, 298, 418, 467. 

  4. 허준영, 강정수. 鼻의 生理機能에 대한 硏究.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0;9(1):121-34. 

  5. 최웅철, 김규식, 박태경. 선천성 비루관 폐쇄증에서 비내시경적 진단과 치료. 대한안과학회지 2001;42(1):7-12. 

  6. 조은영, 최연경, 최웅철. 안와첨 증후군을 동반한 부비강 점액낭종의 비내시경적 치료 1례. 대한안과학회지 2004;45(8):1386-92. 

  7. 최병호, 정상훈. 구개인두형성술후 비내시경 검사. 대학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1995;17(2):159-62. 

  8. 장한성, 김민식, 위성준, 이남수. 비 내시경을 이용한 경비강 접근법 및 항진균제 병합요법으로 치유한 비 대뇌성 국균증 1예.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2002;45:182-6. 

  9. 장승엽, 조정희, 오미현, 김고은, 백주현, 이종필, 등. 생약(한약)제제의 임상시험 지침-진해거담제. 서울: 식품의약품안전청 생약평가부; 2007, p. 9-11, 12. 

  10. 대한내과학회 편. 제17판 해리슨 내과학. 서울: MIP; 2010, p. 270-2. 

  11. 홍원식. 교정황제내경영추.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5, p. 215. 

  12. 김광호, 강정수. 時間性과 空間性을 중심으로 살펴본 顔面望診의 原理. 대전대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8;7(1):387-409. 

  13. 김달호, 이종형 공편역. 注解補注 黃帝內經 素問 上. 서울: 의성당; 2001, p. 704. 

  14. 한지영, 조정훈, 김용석, 장준복, 이경섭. 적외선 체열진단기를 이용한 월경통 환자의 血海穴과 梁丘穴의 온도 비교.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40-5. 

  15. 김경철, 이정원, 김훈, 신순식, 이해웅, 이용태, 등. 얼굴스캐너를 활용한 안면형상 영상진단기의 기초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2):497-501. 

  16. 은영준, 송윤경, 임형호. 척추의 만곡과 족저부압력 분포 및 발각도의 상관성 연구.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7;2(2):1-16. 

  17. 손지희, 김진성, 박재우, 류봉하. 설진의 표준화를 위한 제언 : 설태 후박의 진단기준을 중심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33(1):1-13. 

  18. 최선미, 양기상.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소 1995;1(1):101-25. 

  19. 하성룡, 김민용, 박영재, 박영배. 한열성향에 따른 위전도 특성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8;12(1):131-41. 

  20. 김숙경, 박영배. 寒熱辨證 說問紙 開發.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3;7(1):64-75. 

  21. 최규희. 脈診機를 통한 多汗症 환자의 특성 분석 및 診斷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22. 이선령, 김진성, 김소연, 허원영, 엄국현, 김현경, 등. 구취의 한열변증 분석: 구취는 위열증으로 발생하는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500-9. 

  23. 김숙경, 임재중, 박영재, 박영배. 寒熱이 心機圖의 測定指標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4;8(2):135-53. 

  24. 이호기. 사진으로 보는 이비인후과학. 서울: 정담; 2002, p. 80. 

  25. 임제민, 남우진, 윤용재, 이상민, 강유경, 김원일. 설색의 분포 및 설색과 임상병리검사 결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3;34(1):71-83. 

  26. 김보연, 박경모. 디지털 설진 획득 및 관리 시스템의 개발.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2;6(1):65-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