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증진행위 및 한국어 능력과 건강상태 간의 관계
Study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immigrant women by marri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and health statu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9, 2014년, pp.5683 - 5692  

이경순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전미양 (경상대학교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강말순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채경숙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  황정희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유미영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정현철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건강증진행위, 건강상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결혼이주여성 148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12월까지 4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 한국어 능력, 건강증진행위(흡연, 음주, 운동, 영양), 정서적 건강상태(스트레스, 결혼생활만족도)는 구조화된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신체 건강상태(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색소농도, 헤마토크릿, 체질량지수)는 건강검진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질환자와 무질환자 간에 한국어 능력 중 읽기능력, 음주습관, 총콜레스테롤,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건강상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간에 정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헤모글로빈 농도와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체질량지수와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한국어 능력과 스트레스 간에도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결혼이주여성의 질병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음주율, 총콜레스테롤과 체질량 지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함께 한국어로 된 건강정보 이해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among the Korean language ability,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immigrant women by marriage. Data on the subjects of 148 immigrant women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3. Construc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 건강증진행위,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결혼이주여성의 질병과 관련된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최근 농촌에는 결혼이주여성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경제적 또는 사회·환경적 요인에 의해 의료 취약인구로 적절한 관리를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결혼이주여성의 질병발생에 따른 한국어 능력, 건강증진행위, 건강상태의 차이와 한국어 능력, 건강상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질병을 예방하는데 근거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질병발생과 관련되는 요인을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질병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3개 지역 다문화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결혼이주여성 148명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Ahn[6]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를 조사한 연구에서, 50%이상의 대상자에게서 고혈압이 발견되었으나 그 치료적 접근은 미비하였으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이 질병을 관리 할 수 있도록 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건강 취약계층인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스로의 건강상태를 인지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으며 건강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결혼이주여성들의 건강 상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들의 대다수는 가임기 여성으로 상당수가 체류 초기나 국적취득 이전에 임신과 출산을 경험하며[2] 이 과정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미숙아 및 저체중아 출산률이 높다[3].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은 빈혈유병률, B형 간염 보균율, 자궁경부암 바이러스 감염률[4]과 영양부족 비율이 높아[2] 건강수준이 취약하기 때문에 질병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식습관 조절, 운동, 건강검진 등의 건강증진행위 실천률도 낮아, 향후 만성질환 이환 가능성 역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5]. 이런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는 다문화가족의 건강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여성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결혼이민자의 대다수는 무엇인가? 8% 증가하였으며, 이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86%로 매우높은 실정이다[1]. 이들의 대다수는 가임기 여성으로 상당수가 체류 초기나 국적취득 이전에 임신과 출산을 경험하며[2] 이 과정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미숙아 및 저체중아 출산률이 높다[3].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은 빈혈유병률, B형 간염 보균율, 자궁경부암 바이러스 감염률[4]과 영양부족 비율이 높아[2] 건강수준이 취약하기 때문에 질병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The multicultural family related statistics,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policy02_05a.jsp?funcview¤tPage0&key_type&key&search_start_date&search_end_date &class_id0&idx691668, 2014. 

  2. H. R. Kim, N. M. Hwang, L. S. Chang, K. L. Yoon, B. J. Kang, The reproductive health and policy subject in the international foreign wive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3. E. S. Song, Y. R. Choi, Maternal and perinatal problems and prognosis of newborns in marriage immigrant wome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Seoul, 2008. 

  4. D. H. Seol, Y. T. Kim, H. M. Kim, H. S. Yoon, H. K. Lee, K. T. Lee, et al., Survey on international marriage female migrants and policies measures for health welfare sup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of Korean Government Foreign wives' life in Korea, 2005. 

  5. H. R. Kim, J. Y. Yeo, J. J. Jung, S. H. Baik,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Seoul, Korea Institution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6. Y. H. Ahn,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 1, pp. 18-26, 2008. 

  7. S. S. Kim, S. H. Kim, S. Y. Lee,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Promotion, 22, 4. pp. 215-227, 2005. 

  8. M. J. Ickes, R. Cottrell, Healthy literac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8, 5, pp. 491-498, 2010. DOI: http://dx.doi.org/10.1080/07448481003599104 

  9. Institute of Medicine.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p. 41, 2004. 

  10. J. Lee, G. H. Chung, J. P. Yoo, Predictors of Acculturation Types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 3, pp. 1-15. 2014. DOI: http://dx.doi.org/10.6107/JKHA.2014.25.2.001 

  11. H. R. Lee, Y. H. Kwon,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participa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foreign wives in rural community,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26, 1, pp. 151-170, 2014. 

  12. J. Y. Oh, K. R. Kim, M. W. Nam,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Life quality, and acculturation stress of foreign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children`s institutional adjustment, Journal of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13, 1, pp. 293-319, 2014. 

  13. S. W. Byun, Difficulties of Health Behavior of the Migrant Inter-marriage Wome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1, 12, pp. 631-637, 2013. DOI: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631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Health Survey Questionnaire(Adult), http://knhanes.cdc.go.kr/, 2012. 

  15. H. D. Lee, A study on home violence and mental distress suffered by the women immigrated to Korea for marriage-focused on their stress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2008. 

  16. A. J. Roach, S. Fraizer, and S. R. Bowden,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3, 1, pp. 537-546, 1981. DOI: http://dx.doi.org/10.2307/351755 

  17. E. H. Yoo,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attachment and autonomy as related to young adult's marital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Seoul, 1991. 

  18. D. H. Seol, Y. T. Kim, H. M. Kim, H. S. Yoon, H. K. Lee, K. T. Lee, et al., Survey on international marriage female migrants and policies measures for health welfare sup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of Korean Government Foreign wives' life in Korea, 2005. 

  19. D. H. Kim, H. S. Park, K. E. Bae, Obstetrical & Gynecological Health Status and Body Composi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Busan, Journal of Life Science, 20, 6, pp. 894-901, 2010. DOI: http://dx.doi.org/10.5352/JLS.2010.20.6.894 

  20. H. J. Kim, A Study of Spousal Support, the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ans Health Nursing, 14, 1, pp. 5-11, 2008. 

  21. H. S. Park, K. E. Bae, D. H. Kim, A. R. Yoon, Health statu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Bus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Nursing, 15, 1, pp. 80-88, 2008. 

  22. S. A. Kim, Health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Migr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of Korea, 2009. 

  2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Survey of measure the minimum cost of living, http://stat.mw.go.kr/front/notice/statPressReleaseView.jsp?bsSeq4&nttSeq20914 &menuId31, 2014. 

  24. J. H. Lee, J. S. Jin, J. H. Jeong, Y. S. Cho. The Impa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Ability, Self-esteem,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Family Health: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4, 1, pp. 87-98, 2013.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87 

  25. J. A. Kim, S. J. Yang, K. J. Kwon, J. H. Kim, Predictive factors of depression among Asia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3, 3, pp. 275-281, 2011. 

  26. S. L. Lee, H. J. Kim, Awareness of Health Impairment Factor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Social Work spring scholarship conference,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