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력분과 혼합 프로바이오틱스를 사용한 사워도우 만쥬개발
Development of the sourdough Manju production with cake flour and mixed probiotic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9, 2014년, pp.5693 - 5699  

채동진 (경동대학교 호텔조리학부) ,  장기효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용 밀가루의 종류(강력분과 박력분) 차이가 사워도우(sourdough) 제조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종균으로는, Bifidobacterium longum KCTC 5734, Enterococcus faecium KCTC 13410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925을 사용하였고 효모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e 였다. 혼합 프로바이오틱스와 효모균에 각각 강력분 또는 박력분 밀가루를 첨가하여 $30^{\circ}C$에서 15시간 발효 후 반죽을 합하여 이를 $30^{\circ}C$에서 다시 10시간 발효하였다. 박력분을 사용한 사워도우에서는 발효전과 비교할 때 수소이온농도는 100배, 산도는 2배 증가하였다. 병행하여 생균수와 유산 생성량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기존에 알려진 강력분과 더불어 박력분 또한 발효 사워도우 제조에 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luence of the flour types, including bread flour and cake flour on sourdough preparation was investigated. As starters, mixed probiotic microorganisms, including Bifidobacterium longum KCTC 5734, Enterococcus faecium KCTC 13410,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925, or Saccharomyces cere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밀가루는 단백질 함량에 따라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으로 구분되며, 강력분은 발효빵 박력분은 무발효빵 제조에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발효빵 제조에 사용되는 박력분을 발효하여 사워도우제조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 밀가루의 종류(강력분과 박력분) 차이가 사워도우제조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종균으로는, B.
  • 여기에, 반죽의 팽창을 위하여 가스생산력이 있는 Saccharomyces cerevisiae을 사용하여 사워도우 발효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효반죽을 사용하여 만쥬를 제조함으로써 발효 박력분을 사용한 발효 만쥬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빵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종류에 따라 다른 대사산물을 생산하는데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과 비피더스균(bifidobacteria)은 일반적으로 유산(lactic acid)와 초산(acetic acid) 등의 유기산을 생성하여 빵의 맛과 저장성을 변화시키며[7,8] 사용하는 각각의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생산하는 대사산물 또한 달라진다. 정상발효유산균은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발효하여 유산만을 생성하며 Streptococcus 속, Pediococcus 속, Lactobacillus acidophilus, Enterococcus facium 등이 포함되며, 이상 발효유산균에는 동일한 탄소원에서 유산을 포함하여 에 탄올(ethanol), 이산화탄소(CO2) 등을 함께 생산하며 Leuconostoc 속, L. brevis 등이 포함된다[9,10]. 한편, 비피더스균들은 그램양성의 편성혐기성균으로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유산과 초산을 1:1.
발효 사워도우는 어떻게 만드는가? 생활수준의 향상과 건강을 중시하는 웰빙식생활 추구경향 등으로 밀가루에 물을 첨가하고 여기에 밀에 자연 적으로 존재하는 천연미생물이나 종균(starter)을 사용하여 만든 발효 사워도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기존의 빵 제품은 유사한 맛과 풍미를 가지는 반면에 사워도우로 만든 빵은 독특한 맛과 개성있는 향을 갖는다[1-3].
미생물을 활용하여 만드는 사워도우 빵의 단점은? 기존의 빵 제품은 유사한 맛과 풍미를 가지는 반면에 사워도우로 만든 빵은 독특한 맛과 개성있는 향을 갖는다[1-3]. 자연적으로 밀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전통적인 사워도우 빵은 다양한 종류의 효모와세균으로 혼합되어 있어 만들어지는 각각의 빵 제품의 다양성에서 장점이 있으나, 자칫 적절치 못한 작업환경에서는 다른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나 일정한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문제가 있다[4]. 반면에, Lactobacillus sanfrancisco,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eptococcus faecium 등의 균을 사워도우에서 분리되어 제빵에서 단독 또는 혼합된 상태로 종균으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1,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 Katina, E Arendt, KH Liukkonen, K Autio, L Fleunder, K Poutanen. Potential of sourdough for healthier cereal products. Trends Food Sci Technol 16:104-112, 2005. DOI: http://dx.doi.org/10.1016/j.tifs.2004.03.008 

  2. JY Lee, SK Lee, NJ Cho, WJ Park. Development of the formula for natural bread-making star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245-1252, 2003. DOI: http://dx.doi.org/10.3746/jkfn.2003.32.8.1245 

  3. L Seppo, E Jorma. Formation of ethyl acetate in Hansenula anomala. Acta Chem Scand 22:1482-1486, 1968. DOI: http://dx.doi.org/10.3891/acta.chem.scand.22-1482 

  4. C Ingram, J Shapter. The world encyclopedia of bread and bread making. Hermes House, London, UK. p 23, 1999. 

  5. B Meignen, B Onno, P Gelinas, M Infantes, S Guilois. Optimization of sourdough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brevis and baker's yeast. Food Microbiol 18:239-245, 2001. DOI: http://dx.doi.org/10.1006/fmic.2000.0395 

  6. DJ Chae, KS Lee, KH Jang.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flour sourdough using mixed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um longum as start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743-750, 2010. 

  7. AM Galal, JA Johnson, ME Vamiano. Lactic acid volatile(C2-C5) organic acids of Sanfrancisco sourdough french bread. Cereal Chem 55:461-468, 1977. 

  8. OS Nachf. Sourdough or Sour dough? Baking & Snack 17(8):86, 1995. 

  9. L Axelsson. Lactic acid bacteria: Classification and physiology. In: Lactic acid bacteria, microbiology and functional aspects. S Salminen and A von Wright, eds, 2nd ed. Marcel Decker Inc, pp.1-72, 1998. 

  10. W Seibel, JM Brummer. The sourdough process for bread in Germany. Cereal Food World 36:299-302, 1991. 

  11.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9th ed. Method 02-25 : pH and TTA determination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1995. 

  12. SC Albright, WL Winston, C Zappe. Data analysis and decision making with Microsoft Excel. Pacific Grove, Califonia, Brooks/Cole Publishing Co. California, USA. pp. 945-999, 1999. 

  13. JH Lee, KI Kwon, JH Ba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jujub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90-596, 2005. 

  14. YH Kim, NJ Cho, MH Im.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silkworm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7:377-388, 2005. 

  15.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Food Composition Tabl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16, 2001 

  16. KH Jang, WC Han, SH Ji, SA Kang, NP Shah. Effect of glycine o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in kimchi fermentation. Food Sci Biotechnol 18:1180-1185, 2009. 

  17. LH Jung, ER Je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bachu kimchi during long-term fermentation at refrigerated temperatures. Food Sci Biotechnol 16:924-927, 2007. 

  18. M Gobbetti. The sourdough microflora: Inte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Trends Food Sci Technol 9:267-274, 1988. DOI: http://dx.doi.org/10.1016/S0924-2244(98)00053-3 

  19. M Wick, P Stolz, G Bocker, JM Lebeault. Influence of several process parameters on sourdough fermentation. Acta Biotechnol 23:51-61, 2003. DOI: http://dx.doi.org/10.1002/abio.200390008 

  20. JH Chang, JB Ann.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qualities of white pan bread. Korean J Food Nutr 9:509-515,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