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대응조직 연령 구성비 변화 추이분석 및 구성원의 현장활동 한계연령 도출 -서울지역 현장활동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Trend Analysis of Age Structure Ratio Change in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 and Presenting the Criteria of Age Limit of Fire-fighting Field Activities -Focused on Firefighters in Seoul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0 no.3 = no.25, 2014년, pp.466 - 480  

Park, Chanseok (Department of Fire Safety Management, Woosong Colleg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한민국은 사회적 고령화 문제와 더불어 재난현장 대응활동의 주역인 소방공무원 조직의 연령 구성비의 고연령화 문제 또한 심각한 상황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적인 재난대응조직인 서울소방의 경우 향후 10년~15년 사이에 50대 이상의 비율이 31%에서 4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재난 현장에서 강인한 체력과 건강한 신체를 필수 요소로 하는 소방공무원에 있어서는 일반직 공무원과는 달리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서울 소방공무원의 연령현황과 추이를 분석하고 국내 최초로 현장활동 소방공무원의 현장활동 한계의 기준 연령을 정의하고 3가지 분석기준을 통해 개괄적이나마 현장활동 한계기준을 도출하고, 이 기준을 통해 추이분석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ddition to aging social problem, the problem of older age structure ratio in the fire service organization playing the leading role of the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is also expected to be this serious situation. In the case of Seoul fire fighting organ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atio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NPA를 판단하기 위해 소방관들의 체력상태 및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그 한계연령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보고서에서는 최종적 NPA는 최소 체력 기준(minimum fitness standards)에 관한 연구가 종료되고서야 도출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 03%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018년 이후부터는 3교대 인력증원 요소를 배제한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평균 증가율(0.81%)을 가중치로 설정 하여 향후 추이를 예상하고자 한다.
  • 소방관의 연령증가가 소방업무에서 요구되는 체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소방관보다 더 높은 수준의 체력이 요구되는 운동선수와 일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존재하고 있어 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김상철(2011)에 따르면 공무원 정년제도는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강제퇴직을 시키는 방식으로, 정년제도가 존재하는 목적은 첫째, 고 연령화가 진행되면 공무원 개인의 능력이 자연스럽게 저하된다는 가정 하에 장기간 근속되거나 노령이 되어 업무처리능력이 사회통념상 급격히 저하된다고 여겨지는 연령에 자동적으로 퇴직하게 함으로써 조직의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정년을 통하여 강제적인 인력조정을 함으로써 조직의 신진대사를 도모하고 행정의 능률성확보를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셋째, 공무원이 소정의 연령에 도달할 때까지는 안심하고 직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신분보장 기능을 가지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8년까지의 연령대별 구성비 추이분석에서는 3교대 근무체계 전환에 필요한 증원 예상인력을 고려하여 증가율을 2018년까지 추가적인 필요 예상인원인 980명이 신규 임용됨을 가정하여 가중치를 도출하고자 한다. 2013년 정원이 6,501명이고 2018년 예상 인원은 7,443명임을 가정하면, 연평균 증가율은 3.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기준으로 이러한 체력검정 기준을 활용하여 현장 활동 소방공무원이 체력적 한계를 갖고 오는 기준 연령을 산정하고자 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주관적 기준으로 실제 현장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소방공무원들로부터 실제 현장에서 업무수행에 한계를 느끼는 연령을 어느 정도로 체감하고 있는지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고, 더불어 비교행정측면에서 다른 유사직군의 현장 활동을 하며 체력을 요하는 공무원 조직에서는 정년을 몇 세로 차별화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간접적으로나마 현장 활동 수행 공무원의 한계 기준 연령을 산정해 보고자 한다.
  • 서울 소방조직의 경우 향후 10년~15년 사이에 50대 이상의 비율이 31%에서 4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재난 현장에서 강인한 체력과 건강한 신체를 필수 요소로 하는 재난현장의 소방공무원에 있어서는 일반직 공무원과는 달리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소방공무원의 연령과 현장 활동 수행능력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국내 최초로 현장 활동 소방공무원의 현장 활동 한계의 기준 연령을 제시하고, 이 기준에 따른 향후 서울소방조직의 연령구성비 변화의 추이분석을 하였다.
  • 그러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대응방안 또한 모색되어진 적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상기 제시된 검증상의 한계가 남아있지만, 현장 활동의 특수성을 지닌 소방공무원에 대한 구체적인 한계 연령을 산정하고 향후추이분석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이며, 소방조직과 비슷한 현장 활동 위주의 공무원 조직에게 관련분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시켜 주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람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매년 소방공무원이 체력검정을 받아 이를 승진 등에의 자료로 활용하고 있음을 반영하여 현장 활동 소방업무의 한계연령을 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판단하고자 한다. 소방공무원 체력검정은 소방공무원을 신규 채용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시험과목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소방공무원이 된 후에는 매년 체력검정을 받아 이를 인사고과에 반영하게 되어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기준으로 이러한 체력검정 기준을 활용하여 현장 활동 소방공무원이 체력적 한계를 갖고 오는 기준 연령을 산정하고자 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주관적 기준으로 실제 현장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소방공무원들로부터 실제 현장에서 업무수행에 한계를 느끼는 연령을 어느 정도로 체감하고 있는지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고, 더불어 비교행정측면에서 다른 유사직군의 현장 활동을 하며 체력을 요하는 공무원 조직에서는 정년을 몇 세로 차별화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간접적으로나마 현장 활동 수행 공무원의 한계 기준 연령을 산정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3가지 기준을 활용하여 서울소방공무원의 현장 활동 한계 연령을 산정하고자 한다.
  • 따라서, 각종 재난을 상대로 싸우면서 일사 분란한 지휘체계와 체력이 업무수행의 기본요건이 되는 소방조직과 유사한 조직인 경호직 공무원과 군조직의 정년 제도를 살펴보는 것은 소방공무원 고 연령 화 연령을 산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조직에서 규정해 놓은 계급별 정년제도 중에서 소방조직에서 현장 활동을 하는 주요계급인 소방경(6급) 이하 계급과의 비교를 통해 고 연령화 연령산정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 여기에 추가적으로 주관적 기준으로 실제 현장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소방공무원들로부터 실제 현장에서 업무수행에 한계를 느끼는 연령을 어느 정도로 체감하고 있는지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고, 더불어 비교행정측면에서 다른 유사직군의 현장 활동을 하며 체력을 요하는 공무원 조직에서는 정년을 몇 세로 차별화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간접적으로나마 현장 활동 수행 공무원의 한계 기준 연령을 산정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3가지 기준을 활용하여 서울소방공무원의 현장 활동 한계 연령을 산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고 추이를 분석하는 경우에는 퇴직자는 정년퇴직 자연감소분외의 경우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를27세의 신규채용자가 모두 충원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서울소방공무원의 연령대별 구성비를 5년 단위로 분석하면 Table 6 과 같은데, 60세로 연령정년에 도달하여 퇴직한 경우 신규채용자가 대체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신규채용자의 연령은 채용자의 평균 연령인 27세로 가정하였다. 이 경우추이 분석은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 소방조직의 향후 10~15년 사이에 예상되는 50대 이상의 비율은? 2%를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는데, 이러한 사회적 고령화 문제와 더불어 재난현장 대응활동의 주역인 소방공무원 조직의 연령 구성비의 고 연령화 문제 또한 심각한 상황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소방조직의 경우 향후 10년~15년 사이에 50대 이상의 비율이 31%에서 4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재난 현장에서 강인한 체력과 건강한 신체를 필수 요소로 하는 재난현장의 소방공무원에 있어서는 일반직 공무원과는 달리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소방공무원의 연령과 현장 활동 수행능력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국내 최초로 현장 활동 소방공무원의 현장 활동 한계의 기준 연령을 제시하고, 이 기준에 따른 향후 서울소방조직의 연령구성비 변화의 추이분석을 하였다.
국내 2000년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율은? 대한민국은 2000년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7.2%를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는데, 이러한 사회적 고령화 문제와 더불어 재난현장 대응활동의 주역인 소방공무원 조직의 연령 구성비의 고 연령화 문제 또한 심각한 상황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소방조직의 경우 향후 10년~15년 사이에 50대 이상의 비율이 31%에서 4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재난 현장에서 강인한 체력과 건강한 신체를 필수 요소로 하는 재난현장의 소방공무원에 있어서는 일반직 공무원과는 달리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2014년 소방행정자료 및 통계 내용은? 소방인력은 39,229명이며, 2004년과는 달리 근속승진제도의 도입에 따른 계급인플레이션 현상에 의해 주 현장 활동 계급은 소방 위 및 소방 경 이하로 볼 수 있는데, 이 중 소방 경 이하 계급은 37,982명(97%)이며, 소방 위 이하 계급은 35,632명(92%)으로 나타났고 소방장 이하 계급은 28,447명(85%)이었다. 소방 위 이하 계급 35,632명 중 40세 이상은 17,439명으로 48.9%를 차지하며, 50세 이상은 4,050명(11%)로 고 연령화가 2004년에 비해 심각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nthony N.Williams, et al. (2013). "Normal Pension Age for Firefighters", A review for the Firefighters'Pension Committee, pp11-146 

  2. Bongseok Oh (2003). "Age and exercise performance in elite athletes", Jounal of coaching skills development, Vol. 5, No. 2, pp77-88 

  3. Chanbae Hong.Gijin Kim (2003). "Comparison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Following to Obesity and Body Fat Distribution in Adult ", Korean Sports Research, Vol. 14, No. 6, pp1599-1610 

  4. Davis PO, Dotson CO, Santa Maria DL, (1982). "Relationship between simulation fire fighting tasks and physical performance measur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 pp55-68 

  5.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and autonomy (2004). "2004 Fire Administration statistics", pp106-107 

  6. Hongseop Kim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retirement system of public officials", Korean public administrative studies review, Vol. 3, No. 2, pp33-97 

  7. Hyeon Jeong (2010). Relationship of age to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male and female adult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8. Jiyeon Jeong.Jiyeon Hwang (2008). "A study on first aid service activation in the aging society : measures to improve the initial response system for the senio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Vol. 22, No. 5, pp99-104 

  9. Keunhee Joh, Byeonguhn Lee, Sangho Lee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mission capability of firefighters", Disaster Research, Vol. 6, No. 3, pp139-149 

  10. Lemon P, Hermiston R (1977). "Physiological profile of professional fire fightert",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pp337-340 

  11. Louhevaara V, Lusa S (1994), "Are the job demands on physical work capacity equal for young and aging fire fighter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pp70-74 

  12. Sangcheol Kim (2011). A Study on the retirement system of professional soldiers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viewpoint,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mater's thesis, Ajou university 

  13. Uipyeong Yi (2004). "A study on Fire Prevention policies against the aging socie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14. Williford HN, Duey WJ, Olson MS, Howrad R, Wang N (1999), "Relationship between fire fighting suppression tasks and physical fitness", Ergonomics, pp1179-11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