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부설 비행훈련원의 효율적인 조종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효과성 측정 연구
A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to Train Pilots Efficiently at the Flight Training Academy in a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22 no.3, 2014년, pp.24 - 32  

방장규 (한국교통대학교 항공운항학과) ,  김기웅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rapid growth of domestic and overseas airline markets, the demand for airline pilots has also been growing fast. Meeting such a market needs, central government,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has set up civil airline pilot training center at Ulgin airport to train and provide the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대학부설 비행훈련원의 교육효과성을 측정하고 조종사로 성정하기 희망하는 학생들의 교육과정에서의 니즈를 파악하여 대학 비행훈련원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효과성 측정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Kirk-Patrick 모형을 비행훈련원 교과과정에 적용하여 교육효과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비행훈련원의 교육효과성을 측정하고 효율적인 조종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Kirk-Patrick 모형에 기반을 둔 연구모형을 다음의 Fig.
  •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측정하는 목적은 설문지의 설계가 신뢰할만한가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신뢰성의 의의는 어떤 조사결과에 대해서 이 조사결과가 부정확한 측정 자료에서 우연히 발견된 것이 아니라는 결과에 대한 확신을 줄 수 있으나 연구결과와 그 해석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가설 설정

  • H1 : 비행훈련원 교육과정에 있어 비행교수의 적정성은 조종훈련생의 학습내용 인식에 정(+)의 영향력을 미친다.
  • H2 : 비행훈련원 교육과정에 있어 비행훈련원의 교육환경은 조종훈련생의 학습내용 인식에 정(+)의 영향력을 미친다.
  • H3 : 비행훈련원 교육과정에 있어 비행 및 지상학술 시간은 조종훈련생의 학습내용 인식에 정(+)의 영향력을 미친다.
  • H4 : 비행훈련원의 학습내용은 조종훈련생의 비행기술 활용도에 정(+)의 영향력을 미친다.
  • H5 : 비행훈련원 교육과정에 있어 비행교수의 적정성은 조종훈련생의 비행기술 활용도에 정(+)의 영향력을 미친다.
  • H6 : 비행훈련원 교육과정에 있어 비행훈련원의 교육환경은 조종훈련생의 비행기술 활용도에 정(+)의 영향력을 미친다.
  • H7 : 비행훈련원 교육과정에 있어 비행 및 지상학술 시간은 조종훈련생의 비행기술 활용도에 정(+)의 영향력을 미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훈련이란 무엇인가? 교육훈련에 대한 개념정의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Noe(1986)는 교육훈련이란 개인의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영구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설계되고 계획된 학습경험이라고 정의하였으며 Beach(1980)는 교육훈련을 정해진 목적을 위해서 지식 혹은 기술을 학습하는 조직화된 절차라고 정의하였다[11-12].
국내에서 가장 큰 민간 조종인력을 양성하는 비행교육 훈련기관은 무엇인가? 또한 훈련생을 위한 기숙사가 2010년 12월에 완공되었으며 체력단련실 등도 신설되어 조종인력들이 비행교육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평가이다. 울진비행훈련원은 현재 국내에서 가장 큰 민간 조종인력을 양성하는 비행교육 훈련기관으로써 민간 조종사 수급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재윤(2001)은 교육 서비스를 어떠한 활동으로 정의하였는가? 김재윤(2001)은 교육 공급자와 교육 수요자의 관점에서 교육부, 교육청, 학교 및 교수·교직원 등의 교육공급자가 학생, 학부모 등의 교육수요자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이들에게 제공하는 모든 활동이라고 정의하기도 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최덕철, 이경오 (2000), "대학교육서비스 마케팅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마케팅 과학연구, 6, pp. 339-366. 

  2. 김재윤 (2001), "상업계 교육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최규환 (2005), "관광교육 서비스 평가, 만족,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8(1), pp. 135-152. 

  4. 정유리, 차석빈 (2008), "교육서비스품질, 학생만족 및 학교충성도간 관계연구: 관광관련학과 특수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3(2), pp. 139-155. 

  5. 원석희 (2010), 서비스 운영관리: 고객만족(CS)을 통한 가치창출, 형설출판사. 

  6. Schmenner, W. (2012), Getting and Staying Produ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Lovelock, C. (1991), Services Marketing,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8. Bitner, M. (1992),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rketing, 56, pp. 57-71. 

  9. 이상환, 이재철 (2008), 서비스마케팅, 삼영사. 

  10. 고정민, 김정우 (2008), "특성에 따른 서비스 산업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산업조직연구, 16(2), pp. 95-130. 

  11. Noe, R. A (1986), "Trainees's attributes and attitudes: Neglected influences on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pp. 736-749. 

  12. Beach, D. A (1980), Personnel : The management of people at work, London : Macmillan. 

  13. Nadler, L. I. (1986), Designing training programs: the critical events model, Addison-Wesley publishing Inc, pp. 7-11. 

  14. 김진모(1997) "교육훈련의 유효성과 그 영향 요인", 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15. Gomez-Mejia, D. B. Balkin, R. K. Cardy (1995), Managing Human Resources, Practice-Hall. 

  16. 윤종록, 강성배, 김형철 (2002), "교육훈련 참가자의 정의적 특성이 교육훈련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9, pp. 3-44. 

  17. Kirk-Patrick, D. L. (1998),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2nd ed.). San Francisco, CA: Berrett -Koehler Publishers. 

  18. Phillips, J. J. (1983), "Training programs: A results-based model for managing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Personnel, May /June, pp. 11-18. 

  19. 정재삼 (1996), 수행공학(HTP)이란 무엇인가? 산업 교육, 85, pp. 82-85. 

  20. O'driscoll, T. (2003), "Proposing an optimal learning architecture for the digital enterprise", Educational Technology, 43(1), pp. 12-19. 

  21. 이종성, 김기웅, 박성식, 강우정 (2014), "상업항공기 조종사의 리더십 및 자기효능감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운항학회지 22(1), pp.114-1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