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산중합에 의한 폴리스티렌-폴리에테르이미드 코어-셀 입자의 합성
Preparation of Polystyrene-Polyetherimide Core-Shell Particles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5 no.5, 2014년, pp.526 - 530  

안병현 (부경대학교 재료공학과)

초록

2,2'-Bis[4-(3,4-dicarboxyphenoxy) phenyl]propane dianhydride와 3,5-diamniobenzoic acid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테르아미드산을 안정제로 사용하여 스티렌을 분산중합하여 폴리스티렌-폴리에테르아미드산 코어-셀 입자를 얻었다. 폴리에테르아미드산의 결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4-vinylbenzyltrimethylammonium chloride를 공단량체로 사용하였다. 에탄올-물(7 : 3) 혼합용액을 반응매질로 사용했을 때 입자의 안정성 가장 높았고 입자의 크기도 비교적 균일하였다. 폴리스티렌-폴리에테르아미드산 코어-셀 입자의 크기는 스티렌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Dimethylformamide-물 혼합용액에서 중합한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 분포가 넓어졌다. 폴리스티렌-폴리에테르아미드산 코어-셀 입자의 셀을 화학적으로 이미드화 하여 폴리스티렌-폴리에테르이미드 코어-셀 입자로 변환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styrene-poly(etheramic acid) core-shell particles were prepared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using poly(etheramic acid) obtained by the reaction of 2,2'-bis[4-(3,4-dicarboxyphenoxy) phenyl]propane dianhydride and 3,5-diamniobenzoic acid as a stabilizer. 4-Vinylbenzyltrimethylammoni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얻어진 폴리스티렌-폴리에테르아미드산 코어-셀 입자의 셀을 이미드화 하여 폴리스티렌-폴리에테르이미드 코어-셀 입자를 합성하였다. 이때 스티렌의 분산중합에서 반응매질의 종류 및 중합 조건에 따른 입자의 크기 및 분포를 조사하고 최적의 중합 조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얻어진 폴리스티렌-폴리에테르이미드 코어-셀 입자는 폴리에테르이미드 셀에 의해 열안정성, 화학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고 셀에 존재하는 카르복시산기는 다양한 반응에 이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분산성 고분자 입자의 응용 분야는? 단분산성 고분자 입자는 최근 의료용 진단, 약물전달 시스템, 및 전자 소재, 광결정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연구되고 있다[1-5]. 단분산성 고분자 입자는 유화중합, 분산중합 등에 의해 합성될 수 있는데, 0.
단분산성 고분자 입자의 합성방법은? 단분산성 고분자 입자는 최근 의료용 진단, 약물전달 시스템, 및 전자 소재, 광결정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연구되고 있다[1-5]. 단분산성 고분자 입자는 유화중합, 분산중합 등에 의해 합성될 수 있는데, 0.5∼10 µm 크기의 단분산성 고분자 입자는 주로 분산중합의 의해 제조된다[6]. 분산중합은 침전중합의 한 종류로서 단량체를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매 중에서 중합시키면 중합된 고분자는 반응매질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입자로 침전된다.
분산중합 중 하나인 침전중합에 쓰이는 안정제 역할은? 분산중합은 침전중합의 한 종류로서 단량체를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매 중에서 중합시키면 중합된 고분자는 반응매질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입자로 침전된다. 이때 침전된 입자들을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제가 첨가되는데, 반응매질에 용해되면서 침전된 고분자 입자에 대해 중간 정도의 친화성을 갖는 고분자들이 분산중합의 안정제로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 스티렌의 분산중합에서는 주로 polyvinylpyrrolidone, polyethylene oxide, poly(2-ethyl-2-oxazoline), hydroxypropyl cellulose, 및 poly(acrylic acid) 등의 고분자들이 안정제로 사용되어왔다[7-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 Lunelli, L. Pasquardini, C. Pederzolli, L. Vanzetti, and M. Anderle, Covalently anchored lipid structures on amine-enriched polystyrene, Langmuir, 21, 8338-8343 (2005). 

  2. M. H. Kim, S. H. Im, and O. O. Park, Rapid fabrication of twoand three-dimensional colloidal crystal films via confined convective assembly, Adv. Funct. Mater., 15, 1329-1335 (2005). 

  3. X. Xu and S. A. Asher, Synthesis and utilization of monodisperse hollow polymeric particles in photonic crystals, J. Am. Chem. Soc., 126, 7940-7945 (2004). 

  4. D. V. Orlin and M. L. Abramham, Colloidal crystals as templates for porous materials, Curr. Opin. Colloid Interface Sci., 5, 56-63 (2000). 

  5. M. S. Kim, S. K. Kim, J. Y. Lee, S. H. Cho, K. H. Lee, J. Kim, and S. S. Lee, Synthesis of polystyrene nanoparticles with monodisperse size distribution and positive surface charge using metal stearates, Macromol. Res., 16, 178-181 (2008). 

  6. K. Narayanan, N. Jayachandran, and P. R. Chatterji, Preparation of linear and crosslinked polymer microspheres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J. Macromol. Sci., Polym. Rev., C41, 79-94 (2001). 

  7. A. J. Paine, W. Luymes, and J. McNulty,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in polar solvents. 6. Influence of reaction parameters on particle size and molecular weight in poly(N-vinylpyrro1idone)-stabilized reactions, Macromolecules, 23, 3104-3109 (1990). 

  8. I. Capek, M. Riza, and M. Akashi, Dispersion copolymerization of poly(oxyethylene) macromonomers and styrene,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5, 3131-3139 (1997). 

  9. C. M. Tseng, Y. Y. Lu, M. S. El-Aasser, and J. W. Vanderhoff, Uniform polymer particles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in alcohol,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4, 2995-3007 (1986). 

  10. H. Uyama and S. Kobayashi,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in aqueous alcohol solution: Effects of reaction parameters on the polymer particle formation, Polym. Int., 34, 339-344 (1994). 

  11. K. P. Lok and C. K. Ober, Particle size control in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polystyrene, Can. J. Chem., 63, 209-216 (1985). 

  12. S. Watanabe, K. Ueno, K. Kudoh, M. Murata, and Y. Masuda, Preparation of core-shell polystyrene-polyimide particles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using poly(amic acid) as a stabilizer, Macromol. Rapid Commun., 21, 1323-1326 (2000). 

  13. S. Watanabe, K. Ueno, K. Kudoh, M. Murata, and Y. Masuda, Preparation of polystyrene-polyimide Particles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using poly(amic acid) as a stabilizer, Polymer Journal, 38, 471-476 (2006). 

  14. S. Shen, E. D. Sudol, and M. S. El-Aasser,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Mechanism of particle formation,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2, 1087-1100 (1994). 

  15. S. Kobayashi, H. Uyama, S. W. Lee, and Y. Matsumoto, Preparation of micron-size monodisperse polymer particles by dispersion copolymerization of styrene with poly(2-oxazoline) macromonomer,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1, 3133-3139 (1993). 

  16. E. Bourgeat-Lami and A. Guyot, Preparation of monodisperse polystyrene particles using thiol-ended polyethylene oxide stabilizer in dispersion polymerization, Polym. Bull., 35, 691-696 (1995). 

  17. T. Itoh, S. Komada, E. Ihara, and K. Inoue,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using a polystyrene/poly(L-glutamic acid) block copolymer as a stabilizer, J. Colloid Interface Sci., 388, 112-117 (2012). 

  18. L. Houillot, C. Bui, C. Farcet, C. Moire, J. Aaust, H. Pasch, M. Save, and B. Charleux, Dispersion polymerization of pethyl acrylate in nonpolar solvent stabilized by block copolymers formed in situ via the RAFT process, ACS Appl. Mater. Interfaces, 2, 434-442 (2010). 

  19. K. Takahashi, S. Miyamori, H. Uyama, and S. Kobayashi, Preparation of monodisperse polymer particles from 4-vinylpyridine, Macromol. Rapid Commun., 18, 471-475 (1997). 

  20. D. Horak and P. Shapoval, Reactive poly(glycidyl methacrylate) microspheres prepared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8, 3855-3863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