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네트워크분석에 기초한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urpose of Science Learning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6, 2014년, pp.571 - 581  

박경진 (전북대학교) ,  정덕호 (전북대학교) ,  하민수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  이준기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례층화표집 방식을 통해 전국의 160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교사와 학생에게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개방형 설문 결과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과학학습의 목적으로 인지적 영역과 관련된 내재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학생들은 개인적 유용성 영역과 관련된 외재적 가치를 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의 교직경력에 따라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초임교사들은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를 함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경력교사들은 과학지식 이해의 인지적 영역을 주로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선택계열에 따라서도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즉, 인문계열 학생들은 과학을 배운다면 일상생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자연계열 학생들은 과학학습의 목적이 무엇보다도 진로선택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 the purpose of science learning.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from one hundred and sixty high schools nationwide, which were selected through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Teach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제각기 다양한 배경변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배경변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다양한 배경변인 중 교사들은 교직경력에 따라, 학생들은 선택계열에 따른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교사의 경우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교과교육학지식(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PCK)이 많아 교수활동의 전문성이 발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PCK가 과학 교수를 위한 지향(orientation)이나 교수전략,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등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교직경력에 따라 과학학습의 목적 또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Kim et al.
  •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례층화표집 방식을 통해 전국의 160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교사와 학생에게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개방형 설문 결과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전국 단위의 대단위 표집을 통해 얻은 빅 데이터(big data)를 이용하여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해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례층화표집(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방식으로 선정된 전국의 160개 고등학교에서 교사 349명, 학생 15,247명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 이 연구는 최근 빅 데이터 추론 방법에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SNA를 이용하여 정성적으로 고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의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우선 SNA를 이용한 연구를 위해서는 인터뷰를 통한 질적 자료나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통한 언어 자료의 수집이 필요하다.
  • 이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대단위 표집을 통해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160개 고등학교를 비례층화표집 방식으로 교사와 학생들을 선정하였으며, 이들로부터 얻은 개방형 설문 문항은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그동안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소규모의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연구와 달리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교사와 고등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학습의 목적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학생의 선택계열에 따라서는 어떤 인식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 우선 SNA를 이용한 연구를 위해서는 인터뷰를 통한 질적 자료나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통한 언어 자료의 수집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단위 표집을 통한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 탐색을 위해 개별 접촉을 통한 인터뷰는 불가능했기 때문에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통해 문자 언어 형태의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교사들과 학생들의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한 분석틀(framework)을 개발하여 분석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전국 단위의 대단위 표집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을 선정한 후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소규모의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 연구와 달리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일반화가 가능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둘째, 고등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은 어떤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는가? 과학은 자연의 이치를 탐구하던 고대 자연철학의 산물로서 자연에 대해 알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적 관점에서 과학은 자연이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설명 체계로서 과학지식 자체는 절대 불변의 진리가 아니라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앞으로도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Lederman, 1999;Paik & Nam, 2010).
현대적 관점에서 과학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가? 과학은 자연의 이치를 탐구하던 고대 자연철학의 산물로서 자연에 대해 알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적 관점에서 과학은 자연이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설명 체계로서 과학지식 자체는 절대 불변의 진리가 아니라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앞으로도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Lederman, 1999;Paik & Nam, 2010). 이처럼 과학에 대한 관점은 철학․심리학적 이론의 변화, 국가의 교육이념 또는 사회적 여건에 영향을 받아 변화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과학교육의 목표 또한 변화해 왔다(Cho, 1998).
과학교육의 목표는 어떻게 변해왔는가? 이처럼 과학에 대한 관점은 철학․심리학적 이론의 변화, 국가의 교육이념 또는 사회적 여건에 영향을 받아 변화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과학교육의 목표 또한 변화해 왔다(Cho, 1998). 즉, 과거 산업사회에서 과학교육은 과학자나 과학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해 과학지식과 탐구기능의 전수가 목표였다면 현대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전 국민의 과학적 소양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또한 과학지식은 믿을만하지만 완전한 방법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여전히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는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DeBoer, 1991;Longbottom & Bulter, 1999). 이와 같은 과학교육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과학을 배움으로써 성취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과학학습의 목적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Jung &Song,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5), 1170-1182. 

  2. Cho, H. (1998).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ir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2), 183-200. 

  3. Cho, H., Yang, I., & Lee, H. (2008). Comparison betwee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t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ience instructions. Journal of the Science Education, 32(2), 103-120. 

  4. DeBoer, G. E. (1991).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 for practices.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5. Fortier, M. S., Vallerand, R. J., & Guay, F. (1995). Academic motivation and school performance: Toward a structural model.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0, 257-274. 

  6. Glynn, S., Brickman, P., Armstrong, N., & Taasoobshirazi, G. (2011).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Validation with science majors and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10), 1159-1176. 

  7.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8. Han, J., & Chung, Y. (1997).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7(2), 119-125. 

  9. Hofstein, A. (2004). The laboratory in chemistry education: Thirty years of experience with developments, implementation, and research.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5(3), 247-264. 

  10. Jeong, S., & Kang, C. (2013). An exploration of difficulties' aspect going through when teacher interact with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20(2). 64-84. 

  11. Ji, B. (2009). Analysis about high school student's teacher cogni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5(3), 130-146. 

  12. Jo, K., Choi, J., & Cho, H. (2012). High school students' opinions on choosing their academic track and elective courses for science and mathematics. Research of Curriculum Instruction, 16(3), 839-857. 

  13. Joo, H., & Lee, S. (2014). Effects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2(2), 157-180. 

  14. Joo, H., Lee, J., & Kim, Y. (2012). An investigation of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scienc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abou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3), 410-422. 

  15. Jung, Y., & Song, J. (2002). Investigating students' and teachers' views on 'the necessity of learning science' by the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806-819. 

  16. Jung, Y., Jang, M., & Kim. H. (2011). Why do we do science experiments?: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2), 189-203. 

  17. Kim, C., Maeng, S., Cha H., Park, Y., & Oh, P. (2006). A case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novice science teacher and an experienced teacher: Priorities about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ZP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3), 425-439. 

  18. Kim, H., & Ahn, S. (2012).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ackground and care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2), 421-442. 

  19. Kim, H., & Song, J. (2003). Middle school students' ideas about the purposes of laboratory wor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3), 254-264. 

  20. Kim, J., & Shin, Y. (2013a).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aims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by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2), 159-168. 

  21. Kim J., & Shin, Y. (2013b).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6), 1248-1258. 

  22. Kim, Y. (2011). Social network theory. Seoul: Parkyoungsa Publication Co. 

  23. Kwak, Y., Kim, C., Lee, Y., & Jeong, D. (2006). Investigation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3), 260-268. 

  24. Kwak, Y. (2011).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1), 1-13. 

  25. Lederman, N. G. (1999).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lassroom practice: Factors thant facilitate or impede the relationshi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8), 916-929. 

  26. Lee, G. (2014). The analysis on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er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Korea.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7(2), 131-151. 

  27. Lee, K. (2013).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ers: The case of earth science teachers' lesson on atmospheric pressur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6), 1219-1236. 

  28. Lee, M. (2014).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the classifications of scientific literacy defini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55-62. 

  29. Lee, C. (2010). The value orientation and the order priority of regime in the early: Comparative analysis of semantic network about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Lee administr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4(3), 165-189. 

  30. Lee, S., & Chung, N. (2014). Th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7(1), 101-115. 

  31. Lim, H., & Yang, Y. (2006).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purpose and the expected outcomes of elementary science laboratory work. Journal of the Science Education, 19, 221-232. 

  32. Lim, M., & Jeong, Y. (2010).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subjects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2), 379-398. 

  33. Longbottom, J. E., & Butler, P. H. (1999). Why teach science? Setting rational goals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3(4), 473-492. 

  34. McEneaney, E. H. (2003). The worldwide cachet of scientific literacy. Comparative Education Review, 47(2), 217-237. 

  3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269 p. 

  36. Nam, I., & Park, H. (2007). Network analysis of headlines in the newspaper articles on the prospective presidential candidates and their PR strategy in Korea. Korean Party Studies Review, 6(1), 79-107. 

  37. Paik, S., & Nam, C. (2010). The effect of explicit instructions related to nature of science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change. Korean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13(1), 83-106. 

  38. Park, J., & Jeon, D. (2011). Differences in conception of science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science-giftedness, gender and subject prefer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4), 491-504. 

  39. Park, S. (2003).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edictor variables in science teaching of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6), 671-683. 

  40. Park, J., & Lim, G. (2009). Investigation of new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preparation courses. Teacher Education Research, 48(2), 1-21. 

  41. Roberts, D. A. (2007). Scientific literacy/science literacy.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729-780). Mahwah, NJ: Lawrence Erlbaum. 

  42. Son, D. (2008).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Kyungmoonsa Publication Co. 

  43. Sohn, Y., & Park, Y. (2002).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740-749. 

  44. Tsai, C. C. (2004). Conceptions of learning sci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Taiwan: A phenomenographic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4), 1733-1750. 

  45. Yang, I., Cho, H., Jeong, J., Hur, M., & Kim, Y. (2006).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hool science: A delphi study of expert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2), 177-190. 

  46. Yoo, M., & Shin, D. (2013). Trends in high school students' selection of science subjects: Focusing on earth science. Research of Curriculum Instruction, 17(2), 595-618. 

  47. You, J.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beginning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USA, Germany.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1-21. 

  48. Yun, C., & Shin, H. (2006). A study on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concerning teacher expertise.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3(2), 79-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