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법칙, 이론, 그리고 원리: 규범적 의미와 실제사용에서의 혼란
Law, Theory, and Principle: Confusion in the Normative Meaning and Actual Usag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5, 2014년, pp.459 - 468  

정용욱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교육 담론들은 과학지식의 역할에 따른 구분, 특히 이론과 법칙의 구분을 과학교육의 중요한 학습목표로 규정한다. 그런데 과학자집단은 법칙, 이론, 원리 등의 용어를 명확한 정의없이 사용하며, 이 용어들이 관습적인 언어표현 속에서 일관된 의미를 갖지도 않는다. 당위와 현실사이의 이러한 차이는 교수학습의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법칙, 이론, 원리의 의미, 그리고 과학지식의 구조에 대해 논의한 과학교육연구와 과학철학문헌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과학교육연구에 대한 검토 결과 NOS 연구자들에 의한 법칙과 이론의 규범적 정의와 이 용어들의 실제 사용 사이의 불일치는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과학철학문헌에 대한 검토를 통해 법칙과 이론의 구분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 과학지식에서 법칙, 이론, 원리라는 세 범주를 구분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관련 논의를 종합하여 법칙, 이론, 원리에 해당하는 지식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규범적 정의와 관습 사이의 불일치를 고려하면 세 범주와 관련된 교육의 목표로 용어의 정확한 구분을 강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보다는 서로 다른 기능과 특징을 갖는 세 종류의 지식이 있다는 것에 교육의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ducational Discourses on the nature of science(NOS) identify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scientific knowledge, especially the distinction between law and theory, as a crucial goal of instruction. However, the scientist community uses the terms such as law, theory, and principle without explicit d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학 용어해설에서 소개하는 법칙, 원리, 이론의 의미는? 한국과학교육학회에서 엮은 ‘과학교육학 용어해설’에서는 법칙, 원리, 이론의 의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5). 먼저 ‘법칙’이란 자연현상의 기본이 되는 규칙의 발견이 쌓여서 완성된 것으로, 뉴턴의 운동법칙이 그 사례가 된다. 한편 ‘원리’는 여러 개념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 한것으로 몇 가지 사례에 기초한 귀납적 일반화로 출발하지만, 제한된 관찰을 넘은 보편적 진술이라는 점에서 경험적이라기보다는 분석적이다. 원리는 법칙과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법칙은 일반적으로 원리보다 더 엄격한 경험적 검증을 거쳐 확립된 결과로 인정된다. 한편 ‘이론’은 관찰할 수 없는 속성에 관한 법칙, 설명력을 지닌 법칙 또는 가설의 통합적 체계, 학문적 영역 등을 지칭한다. 이론은 자연을 기술할 뿐만 아니라 사실의 원인, 개념의 속성, 법칙의 원리 등을 제시함으로써 과학적 사실, 개념, 법칙 등을 설명하기도 한다. 이론은 관찰 사실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과학적 법칙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원리와 비슷하다. 그러나 이론은 절대적 진리가 아니지만 원리는 진리라는 점에서 둘이 구분된다.
과학지식이란? 과학지식1)은 단편적인 사실의 집합이 아니라 여러 아이디어들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지식체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지식을 학습한다는 것은 과학지식의 체계적인 구조를 학습하는 것이기도 하다 (Bruner, 1960).
과학 혹은 과학교육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는 범주 용어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과학 혹은 과학교육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는 범주 용어로는 법칙, 원리, 이론, 모형, 공준(postulate), 정리(theorem), 사실, 개념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모형의 경우, 모형과 관련된 정의와 용어 사용상의 혼선, 용어가 맥락에 따라 가지는 의미의 다양성이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주목받은 바 있다(Gilbert, Boutler, & Elmer, 2000; Holloun,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ikenhead, G. S., & Ryan, A. G. (1992). The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VOSTS), Science Education, 76(5), 477-491. 

  2. Bell, R. L. (2004). Perusing pandora's box. In L. B. Flick & N. G. Lederman, Scientific inquiry and nature of science (pp. 427-446).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3.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 Campbell, N. R. (1952). What is science? New York, NY: Dover Publication. 

  5. Carnap, R. (1966).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NY: Dover Publication. 

  6. Dilworth, C. (2006). The metaphysics of science: An account of modern science in terms of principles, laws and theories. Dordrecht: Springer. 

  7. Giere, R. N. (1994). The cognitive structure of scientific theory. Philosophy of Science, 61, 276-296. 

  8. Giere, R. N. (2004). How models are used to represent reality. Philosophy of Science, 71, 742-752. 

  9. Giere, R. N. (2006). Scientific perspectivism.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Gilbert, J. K., Boutler, C. J., & Elmer, R. (2000). Position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and in design and technology education. In J. K. Gilbert & C. J. Boutler (Ed.),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pp. 3-19).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1. Hanson, N. R. (1965).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Harre, R. (1970).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thinking. London: Macmillan. 

  13. Harre, R. (1972). The philosophies of scienc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4. Hempel, C. G. (1965). Aspects of scientific explanation and other essay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NY: The Free Press. 

  15. Hempel, C. G. (1966).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6. Hodson, D. (1985). Philosophy of science,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2, 25-57. 

  17. Holloun, I. A. (2006). Modeling theory in science education. Dordrecht: Springer. 

  18. Kugler, C. (2002). Darwin's theory, Mendel's laws: Labels & the teaching of science.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4(5), 341-351. 

  19. Kuhn, T. S. (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2nd ed.).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 Lakatos, I. (1980).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Volume 1: Philosophical paper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22.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23. Lederman, N. G. (2004). Syntax of nature of science within inquiry and science instruction. In L. B. Flick & N. G. Lederman (Ed), Scientific inquiry and nature of science (pp. 301-317).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4. Losee, J. (2001).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4th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5.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London: Routledge. 

  26. McComas, W. F., Clough, M. P., & Almazroa, H. (2002).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In W. K.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3-39).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McComas, W. F. (2002a). The principal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Dispelling the myths. In W. K.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53-70).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8. McComas, W. F. (2002b). A thematic introduction to the nature of science: The rationale and content of a course for science educators. In W. K.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211-222).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9. McComas, W. F., & Olson. J. K (2002). The nature of science in inter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documents. In W. K. McComas (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40-52).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0. Nagel, E. (1961). The structure of science: Problems in the logic of scientific explanation.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31. Nersessian, N. J. (1999). Model-based reasoning in conceptual change. In L. Magnani, N. Nersessian, & P. Thagard (Ed), Model-based reasoning in scientific discovery (pp. 5-22), New York, NY: Kluwer Academic Publishers. 

  32. Ogunniyi, M. B., & Pella, M. O. (1980). Conceptualizations of scientific concepts, laws, and theories held by Kwara state, Nigeria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Science Education, 64(5), 591-599. 

  33. Poincare, H. (1905). Science and hypothesis. New York, NY: The Walter Scott Publishing. 

  34. Ryan, A. G.. & Aikenhead, G. S. (1992).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epistemolog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6(6), 559-580. 

  35.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c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 610-645. 

  36. Schwartz, R. S., & Lederman, N. G. (2008). What scientists say: Scientis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and relation to science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6), 727-771. 

  37.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5). Science Education Glossary. Seoul: Kyoyookbook. 

  38. Toulmin, S. (1953). The philosophy of science. London: Hutchinson. 

  39. Wong, S. L., & Hodson, D. (2008). From the horse's mouth: What scientists say about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3, 109-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