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박물관 도슨트의 관람 안내 담화 내에 나타난 스캐폴딩 양상 분석
Analysis of Scaffolding Phase in the Discourse during Docent-led Tours in a Science Muse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5, 2014년, pp.499 - 510  

최문영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  박은지 (서울대학교) ,  정원영 (한국환경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에서 도슨트가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을 안내하는 과정을 스캐폴딩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와 전문가 검토 및 토의를 통해 스캐폴딩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과학 박물관에서 실제로 도슨트의 담화 속에서 스캐폴딩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담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 종합 결과, 목적(purpose)과 상호작용(interaction)이라는 두 개의 차원을 추출하였고, 여기에 영역(domain) 차원을 추가하였다. 각 차원별로 구성 항목들을 정리하여 하나의 도식으로 정리하였는데, 목적 차원에는 전략적, 사회적, 개념적, 도구적, 언어적, 메타인지적인 여섯 가지 범주로, 상호작용 차원에는 정적, 동적인 두 개의 범주로, 영역 차원에는 영역일반적, 영역특화적의 두 개 범주로 구성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분석틀을 적용해 보기 위해서, 서대문 자연사박물관에서 안내를 진행하는 두 명의 도슨트를 섭외하였다.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는 한편, 관람안내 과정을 촬영하고 대화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도슨트의 스캐폴딩 전개 양상은 총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전시물이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전시물이 패널을 통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관람객에 의해 오해의 여지가 많은 전시물인 경우, 작동체험형 전시물인 경우, 불확실한 내용을 포함하는 전시물인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각각의 경우 도슨트는 전략적, 개념적, 언어적, 도구적, 메타인지적 스캐폴딩을 주로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황에 따라 정적인 스캐폴딩과 동적인 스캐폴딩이 종합적으로 사용되며, 이로 인해 도슨트에 의한 관람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관람객의 과학 학습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개발된 스캐폴딩 분석틀이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하는 한편, 도슨트는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스캐폴딩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과학관에서 도슨트 외에 다양한 관람 안내 도구들이 제공하는 스캐폴딩 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며 더 나아가 다양한 과학 교육의 상황에서 스캐폴딩을 어떠한 방식으로, 얼마나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interactive learning during docent-led tours in a science museum focusing on scaffolding. We developed a scaffolding framework by collating the work of other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The results show that scaffolding included three dimensions: pur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ygotsky의 주장에 따르면 학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사회문화적 학습 이론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Vygotsky (1978)의 주장에 따르면, 학습은 학습자가 이미 도달해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Actual developmental level, ADL)’과 성인의 안내 또는 보다 유능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수준(Potential developmental level, PDL)’ 사이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내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지 수준이 높은 동료나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학습 과정과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며(Steffe & Gale, 1995), 이는 학습을 촉진해주고 중재해줄 수 있는 안내자가 있을 때 그 효과가 더 잘 나타남을 의미하는 것이다.
과학관이나 자연사 박물관은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갖는가? 과학관이나 자연사 박물관은 어린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람객과 전시물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비형식 교육의 장으로서(Choi et al., 2004) 학생들의 학교 밖 교육 활동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을 위한 평생교육의 공간으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이렇게 과학관이나 자연사 박물관을 방문하는 것 자체가 본질적으로 사회적 특성이 강해서(Leinhardt et al.
전시물 중심 학습 관점에 기반하여 관람자들의 해석과정을 파악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2000)은 구성주의적 박물관 학습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박물관에서 진행되는 학습이 관람객의 개인적, 물리적 맥락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도 어떻게 선택되는지의 의미와 관련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한편, Rowe (2002)는 전시물이 관람객들의 경험과 학습을 매개시켜 관람객들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박물관 학습에서 전시물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도 하였다. 즉 학습을 개인이 속한 사회와 문화 전체의 맥락으로 바라보는 사회문화적 접근과 더불어, 전시물 중심 학습(Paris, 2002)의 관점에 기반하여 전시물에 대한 관람자들의 해석과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zevedo, R., & Hadwin, A. (2005). Scaffolding self-regulated learning and metacognition-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computer-based scaffolds. Instructional Science, 33(5), 367-379. 

  2. Ballantyne, R., & Packer, J. (2005). Promot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ttitudes and behaviour through free-choice learning experiences: what is the state of the gam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1(3), 281-295. 

  3. Brush, T. & Saye, J. (2002). A summary of research exploring hard and soft scaffolding for teachers and students using a multimedia supported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1(2), 1-12. 

  4. Choi, J., Kim, C., Lee, C., Lim, J., Lee, S., Byun, H., Sin, M., & Lee, S. (2004). Perception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natural history and natural history museu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5), 869-885. 

  5. Draper, L. (1984). Friendship and the museum experience: The interrelationship of social ties an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 

  6. Echevarria, J., Vogt, M., & Short, D. (2004). Making content comprehensible for English learners: The SIOP model. Boston, MA: Allyn and Bacon. 

  7. Falk, J., and Dierking, L. (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Walnut Creek, CA: Altamira Press. 

  8. Grinder, A., & McCoy, E. (1985). The good guide: A sourcebook for interpreters, docents, and tour guides. Scottsdale, AZ: Ironwood Publishing. 

  9. Han, S. (1999). Vygotsky and education: Cultural historical approach. Seoul: Kyoyookbook. 

  10. Hammond, J. (2001). Scaffolding: Teaching and learning in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Australia: Primary English Teaching Association. 

  11. Hammond, J., & Gibbons, P. (2001), What is scaffolding? In J. Hammond (Ed.), Scaffolding: Teaching and learning in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pp. 13-26). Australia: Primary English Teaching Association. 

  12. Hammond, J., & Gibbons, P. (2005). Putting scaffolding to work: The contribution of scaffolding in articulating ESL education. In J. Hammond & P. Gibbons (Eds.), Special issue: Re-thinking ESL pedagogy: Socio-cultural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Prospect, 20(1), 6-30. 

  13. Hannafin, M., Land, S., & Oliver, K. (1999). Open learning environments: Foundations, methods, and models.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Vol. 2, pp. 115-14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Hooper-Greenhill, E. (2007).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 pedagogy, performance. Philadelphia, PA: Taylor & Francis. 

  15. Jang, S. (2005).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on the problem solving phase in web-bas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Kim, C., Shin, M., & Lee, S. (2010). Understanding informal science learning. Seoul: Bookshill. 

  17. Kim, H., & Kim, K. (2011). A study on methods for activation of docent program at domestic science museums. Korea Scinece & Art Forum, 9, 1-11. 

  18. Kim, M. & Hannafin, M. (2011). Scaffolding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enhanced learning environments (TELEs): Bridging research and theory with practice. Computers & Education, 56, 403-417. 

  19. Kong, A. (2002) Scaffolding in a learning community of practice: A case study of a gradual release of responsibility from the teacher to the students. 47th Annual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Convention, San Francisco. 

  20. Lee, M. (2012).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on performance phase and the outcome in Web-based project-based learning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Lee, S. (2009). Effects of link scaffolding with semantic networking tool on writing tasks in e-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2. Leinhardt, G, Tittle, C., & Knutson, K. (2002). Talking to oneself: Diary studies of museum visits. In G. Leinhardt, K. Crowley, & K. Knutson (Eds.) Learning conversations in museums (pp. 103-132).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 Littleton, K. (2013). Adaptation and authority in scaffolding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Commentary on the special issue 'conceptualizing and grounding scaffolding in complex educational contexts'. Learning, Culture and Social Interaction, 2(1), 52-55. 

  24. McNeill, K., & Krajcik, J. (2008). Scientific explanations: Characterizing and evaluating the effects of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s on student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1), 53-78. 

  25. McNeill, K., & Krajcik, J. (2009). Synergy between teacher practices and curricular scaffolds to support students in using domain-specific and domain-general knowledge in writing arguments to explain phenomena.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8(3), 416-460. 

  26. Mercer, N., & Littleton, K. (2007). Dialogue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thinking: A sociocultural approach. New York, NY: Routledge. 

  27.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Research Council. 

  28. Paris, S. (2002). Perspectives on object-centered learning in museum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9. Park, J. (2012). The role of worksheets in a science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scaffolding metaphor and ZPD: focused on the Inchon Science Center.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0. Park, S. (2013). Exploring science learning using smartphones in science museums: Focused on the feature of scaffolding.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1. Pea, R. (2004).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dimensions of scaffolding and related theoretical concepts for learning, education, and human activity.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3(3), 423-451. 

  32. Puntambekar, S., & Hubscher, R. (2005). Tools for scaffolding students in a complex learning environment: What have we gained and what have we missed?. Educational psychologist, 40(1), 1-12. 

  33. Quintana, C., Reiser, B., Davis, E., Krajcik, J., Fretz, E., Duncan, R., Kyza, E., Edelson, D., & Soloway, E. (2004). A scaffolding design framework for software to support science inquiry.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3(3), 337-386. 

  34. Reiser, B. (2004). Scaffolding complex learning: The mechanisms of structuring and problematizing student work.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3(3), 273-304. 

  35. Rosiek, J. (2003). Emotional scaffolding an exploration of the teacher knowledge at the intersection of student emotion and the subject matter.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4(5), 399-412. 

  36. Rowe, S. (2002). The role of objects in active, distributed meaning-making. In S. G. Paris (Ed.), Perspectives on object-centered learning in museum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7. Sampson, V., & Clark, D. (2008). Assessment of the ways students generate arguments in science education: Current perspectiv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directions. Science Education, 92(3), 447-472. 

  38. Shin, H. (2011). Science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with learning affordance of exhibition at a science center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9. Smit, J., & Van Eerde, D. (2013). What counts as evidence for the long-term realisation of whole-class scaffolding? Learning, Culture and Social Interaction, 2, 22-31. 

  40. Steffe, L., & Gale, J. (Eds.). (1995). Constructivism in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1. Stone, C. (1998). The metaphor of scaffolding its utility for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1(4), 344-364. 

  42. Tabak, I., Smith, B., Sandoval, W., & Reiser, B. (1996). Combining general and domain-specific strategic support for biological inquiry.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88-296. 

  43. Tabak, I. (2004). Synergy: A complement to emerging patterns of distributed scaffolding.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3(3), 305-335. 

  44. Tanner, H., & Jones, S. (2000). Scaffolding for success: reflective discourse and the effective teaching of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 19-32. 

  45. Van de Pol, J., & Elbers, E. (2013). Scaffolding student learning: A micro-analysi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Learning, Culture and Social Interaction, 2, 32-41. 

  46. Van de Pol, J., Volman, M., & Beishuizenm J. (2012). Promoting teacher scaffolding in small-group work: A contingency perspectiv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8, 193-205. 

  47. Vygotsky, L.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8. Williams, S., & Baxter, J. (1996) Dilemmas of discourse-oriented teaching in one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7(1), 21-38. 

  49. Wood, D., Bruner, J. & Ross, G. (1976). The role of tutoring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7, 89-1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