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Chitinase gene의 RNA interference
RNA Interference of Chitinase Gene in Spodoptera litur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8 no.3, 2014년, pp.202 - 209  

전미진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서미자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윤영남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유용만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RNA interference(RNAi)는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유전자의 표현 형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Chitinase는 곤충이 탈피를 하는 동안 오래된 큐티클의 분해와 재흡수를 도와주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작용기작을 이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담배거세미나방의 chitinase와 관련하여 탈피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5령 유충으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고 약 700 bp의 chitinase를 증폭 하였다. 증폭한 PCR product를 pGEM T-easy vector에 cloning하여 competent cell (E.coli)에 형질전환 시키고 mixture를 배양 후 colony를 선발하고 plasmid DNA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약 3 kb size의 vector band와 약 700 bp의 insert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다. dsRNA를 합성하기 위해 각각의 DNA를 Spe I과 Nco I의 제한 효소 처리를 하여 linear form의 DNA로 만들었다. dsRNA 합성 후 약 $10{\mu}g/{\mu}l$의 농도로 $5{\mu}l$씩 담배거세미나방 4령 유충에 주입하였다. 그 결과 유충-유충간의 탈피에서는 기형발육, 탈피저해, 표피의 색소 변이가 나타났다. 번데기-성충 간의 탈피에서는 탈피저해, 날개변이, 기형발육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용화율의 경우 무처리구 83.3%, DW 처리구 78.3%, dsRNA 처리구 66.7%로 나타났다. 우화율의 경우 무처리구 90.0%, DW 처리구 72.3%, dsRNA 처리구 65.0%로 나타나 dsRNA를 처리한 그룹에서 상대적인 탈피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변이율의 경우 무처리구 8.9%, DW 처리구 2.9%, dsRNA 처리구 19.2%로 dsRNA를 주입한 처리구에서 변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현형적 변이는 dsRNA 주입 후 약 18 시간 이후부터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NA interference (RNAi) is the method which controls phenotypes of gene in live cells. Chitinase is the enzyme helping digestion and absorption of old cuticles during the ecdysis of insects. In order to investigate molting-inhibition effect with the chitinase related gene in Spodoptera litura, RN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새로운 해충 방제방법의 하나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유충에 chitinase gene의 dsRNA를 주입하여 발육이나 변태를 저해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Zhang et al,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배거세미나방의 탈피에 관여하는 chitinase의 RNA를 이용하여 탈피 저해 효과를 확인을 시험하였다.
  • 본 연구는 곤충 생육에 필수적 요건으로 탈피 과정에 관여하는 chitinase gene을 dsRNA로 합성하여 그것을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주입함으로써 정상적인 유전자 발현의 저해여부에 따라서 형태적 변이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hitinase gene의 발현을 저해하게 하여 담배거세미나방의 탈피억제하게 하는 방법으로 생물적 저해방법을 찾고자 검토되었다.
  • 본 연구는 곤충 생육에 필수적 요건으로 탈피 과정에 관여하는 chitinase gene을 dsRNA로 합성하여 그것을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주입함으로써 정상적인 유전자 발현의 저해여부에 따라서 형태적 변이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hitinase gene의 발현을 저해하게 하여 담배거세미나방의 탈피억제하게 하는 방법으로 생물적 저해방법을 찾고자 검토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itin은 균과 곤충에게 어떤 요소인가? , 2001). Chitin은 많은 종의 진균에서 세포벽과 격막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물질이지만 곤충에 있어서도 외골격을 형성하고 영양위식막 을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Arakane et al., 2004).
곤충의 Chitin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한편 곤충의 Chitin은 β-(1,4)-N-acetylglucosamine으로 구성된 polysaccharide 이다(Shinoda et al., 2001).
담배거세미나 방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litura, tobacco cutworm or common cutworm)을 본 연구의 방제대상 해충으로 선발하였다. 이 종은 나비목 (Lepidoptera) 밤나방과(Noctuidae) Spodoptera 속에 속하는 난방제 해충으로 아시아, 호주 등에 분포한다. 기주범위가 넓어 채소, 과수, 화훼 등 44과 112종 이상의 작물을 가해하 는 광식성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Gara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rakane, Y., D. G. Hogenkamp, Y. C. Zhu, K. J. Kramer, Charles A. Specht, R. W. Beeman, M. R. Kanost and S. Muthukrishnan (2004) Characterization of two chitin synthase genes of the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and alternate exon usage in one of the genes during development, Insect Biochem. Mole. Biol. 34:291-304. 

  2. Bautista, M. A. M., T. Miyata, K. Miura and T. Tanaka (2009) RNA interference-mediated knockdown of a cytochrome P450, CYP6BG1, from the diamon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reduces larval resisitance to permethrin, Insect Biochem. Mole. Biol. 39:38-46. 

  3. Bettencourt, R., O. Terenius and I. Faye (2002) Hemolin gene silencing by ds-RNA injected into Cecropia pupae is lethal to next generation embryos, Insect Mole. Biol. 11:267-271. 

  4. Chen, X., H. Tian, L. Zou, B. Tang, J. Hu and W. Zhang (2008) Disruption of Spodoptera exigua larval development by silencing chtin synthase gene A with RNA interference, B. Entomol. Res. 98:613-619. 

  5. Coy, M. R., N. D. Sanscrainte, K. C. Chalaire, A. Inberg, I. Maayan, E. Glick, N. Paldi and J. J. Becnel (2012) Gene silecing in adult Aedes aegypti mosquitoes through oral delivery of double-stranded RNA, J. Appl. Entomol. 136 (10):741-748. 

  6. Fire, A. S., S. Xu, M. K. Montgomery, S. A. Kostas, S. E. Driver and C. C. Mello (1998) Potent and specific genetic interference by double-stranded RNA in Caenorhabditis elegans, Nature 391:806-811. 

  7. Garad, G. P., P. R. Shivpuje and G. G. Bilapate (1984) Life fecundity tables of Spodoptera litura (Fabricius) on different hosts, Indian Acad. Sci. 93(1):29-33. 

  8. Ghanim, M., S. Kontesedalov and H. Czosnek (2007) Tissuespecific gene silencing by RNA interference in the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Insect Biochem. Mole. Biol. 37:732-738. 

  9. Goh, H. G., S. G. Lee, B. P. Lee, K. M. Choi and J. H. Kim (1990) Simple mass-rearing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Lepidoptera Noctuidae), on an artificial diet, Kor. J. Appl. Entomol. 29:180-183. 

  10. Henrissat B. (1991) A classification of glycosyl hydrolases based on amino acid sequence similarities, J. Biochem. 280: 309-316. 

  11. Hwang, J. and Y. Kim (2011) RNA interference of an antimicrobial peptide, gloverin,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enhances susceptibility to Bacillus thuringiensis, J. Invert. Pathol. 108:194-200. 

  12. Jaubert-Possamai, S., G. L. Trionnaire, J. Bonhomme, G. K. Christophides, C. Rispe and D. Tagul (2007) Gene knockdown by RNAi in the pea aphid Acyrthosiphon pisum, BMC Biotechnol. 7:63-70. 

  13. Jung, S. Y., M. J. Seo, Y. N. Youn and Y. M. Yu (2010) Characteristics of $\delta$ -Endotoxin Protein Produced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099 Isolate Showing High Bioactivity against Spodoptera litura, Kor. J. Pest. Sci. 14(4):446-455. 

  14. Kim, D. A., J. S. Kim, M. R. Kil, S. K. Paek, S. Y. Choi, D. Y. Jin, Y. N. Youn, I. C. Hwang and Y. M. Yu (2008) Characterization of New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with Bioactivities to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Kor. J. Appl. Entomol. 47(1):87-93. 

  15. Kramer, K. J. and S. Muthukrishnan (1997) Insect Chitinases: Molecular Biology and Potential Use as Biopesticides, Insect Biochem. Mole. Biol. 27(11):887-900. 

  16. Niimi, T., H. Kuwayama and T. Yaginuma (2005) Larval RNAi Applied to the Analysis of Postembryonic Development to the Analsis of Postembryonic Development in the Ladybird Beetle, Harmonia axyridis, J. Insect Biotechnol. Seriool. 74:95-102. 

  17. Quan, G., T. Ladd, J. Duan, F. Wen, D. Doucet, M. Cusson and P. J. Krell (2013) Characterization of a spruce budworm chitin deacetylase gene: Stage- and tissue -specific expression, and inhibition using RNA interference, Insect Biochem. Mole. Biol. 43(8):683-691. 

  18. Rajagopal, R., S. Sivakumar, N. Agrawal, P. Malhotra and R. K. Bhatnagar (2002) Silencing of midgut Aminopeptidase N of Spodoptera litura by double-stranded RNA establishes its role as Bacillus thuringiensis toxin receptor, J. Biol. Chem. 277(49):46849-46851. 

  19. Rodriguez-Cabrera, L., D. Trujillo-Bacallao, O. Borras-Hidalgo, D. J. Wright and C. Ayra-Pardo (2010) RNAi-mediated knockdown of a Spodoptera frugiperda trypsin - like serine-protease gene reduces susceptibility to a Bacillus thuringiensis Cry1Ca1 protoxin, Environ. Microbiol. 12(11): 2894-2903. 

  20. Rong, S., D. Q. Li, X. Y. Zhang, S. Li, K. Y. Zhu, Y. P. Guo, E. B. Ma and J. Z. Zhang (2013) RNA interference to reveal roles of $\beta$ -N-acetylglucosaminidase gene during molting process in Locusta migratoria, Insect Sci. 20:109-119. 

  21. Shinoda, T., J. Kobayashi, M. Matsui and Y. Chinzei (2001) Cloning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a chitinase cDNA from the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using a recombinant baculovirus lacking the virus-encoded chitinase gene, Insect Biochem. Mole. Biol. 31:521-532. 

  22. Turner, C. T., M. W. Davy, R. M. MacDiarmid, K. M. Plummer, N. P. Birch and R. D. Newcomb (2006) RNA interference in the light brown apple moth, Epiphyas postvittana (Walker) induced by double-stranded RNA feeding, Insect Mole. Biol. 15(3):383-391. 

  23. Zhang, D., J. Chen, Q. Yao, Z. Pan, J. Chen and W. Zhang (2012) Functional analysis of two chitinase genes during the pupation and eclosion stage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by RNA interference, Archie. Insect Biochem. Physiol. 79(4-5):220-234. 

  24. Zhou, X., M. M. Wheeler, F. M. Oi and M. E. Scharf (2008) RNA interference in the termite Reticulitermes flavipes through ingestion of double-stranded RNA, Insect Biochem. Mole. Biol. 38:805-8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