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설계를 위한 주요 수종별 베이스라인 흡수량 산정
A Study on the Baseline Carbon Stock for Major Species in Korea for Conducting Carbon Offset Projects based on Forest Management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3 no.3, 2014년, pp.439 - 445  

김영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전어진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정일빈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이상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서경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표정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베이스라인 흡수량의 산정을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토대로 개발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적용하였다. 모델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홍천, 횡성, 양양 대치리 및 정자리에 위치한 4개 시험지 14개 간벌 처리구에서 조사된 실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모델 예측치와 실측치의 편차가 5% 미만의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개발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이용하여 수종별 베이스라인 시나리오에 따른 임분 생장량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예측하고, 베이스라인 흡수량을 산정한 결과, 상수리나무의 베이스라인 흡수량이 83.01tC/ha로 가장 높은 반면, 리기다소나무(32.17tC/ha)와 중부지방소나무(39.09tC/ha)는 흡수량이 낮았다. 따라서 수종갱신을 통한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리기다소나무와 중부지방소나무 임분을 대상지로 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종별 베이스라인 흡수량과 동적 임분생장모델은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ynamic stand yield model to estimate the baseline carbon stock, which is essentially required for a forest carbon offset project based on forest management. For developing the yield model, the data was acquired from the databases of the $5^{th}$ National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선한 동적 임분생장모델의 현지 적용성 검토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예측결과를 현지에서 조사된 실측자료와의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홍천, 횡성, 양양 대치리 및 정자리 등 4개 시험지에서 조사된 실측자료를 이용하였다.
  • 이처럼 아직까지 국내에는 적용 가능한 산림탄소모델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산림탄소상쇄 사업자들이 산림경영의 베이스라인 흡수량을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사업의 베이스라인 흡수량 산정을 위해, 임분 수확 예측모델을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주요 수종별 베이스라인 흡수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 (2012a)의 연구에서는 모델 개발을 위해 임분 수확표 자료(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이하 KFRI)를 적용하였는데, 임분수확표 자료를 토대로 임분 생장을 예측한 결과 현실 임분에 비해 다소 과다 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현실 임분의 생장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여 임분생장량 및 탄소저장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개선하였다. 즉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각 표본점 자료를 수종별로 분류하여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동적 임분생장모델의 회귀계수를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림경영형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설계하기 위해서 필요한 베이스라인 흡수량의 산정을 위해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이용하여 임분의 생장량 및 탄소저장량 변화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 조사 자료를 토대로 동적 임분생장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홍천, 횡성, 양양 대치리 및 정자리 등 4개 시험지 14개 처리구로부터 조사된 실측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즉 간벌 등의 숲가꾸기 시업체계는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 표준매뉴얼’ (KFRI, 2005)에서 제시한 수종별 시업체계를 적용하였고, 벌기령의 경우에는 법정 벌기령(KFS, 2013b)을 적용하였다. 간벌은 중도간벌(30%)을 시행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벌채수확 방법은 모두베기를 적용하였다. 사유림의 경우 국유림에 비해 법정 벌기령이 짧지만, 베이스라인 흡수량 산정을 보수적으로 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유림의 벌기령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탄소상쇄 제도 운영목적은? 산림청에서는 산림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활성화하고 국내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기여하고자 2010년부터 산림탄소상쇄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이하 탄소흡수원법)을 시행하여 산림탄소상쇄 제도를 확대운영하고 있다(Bae et al., 2013).
탄소흡수원법은 어떠한 활동을 제시하나? , 2013). 탄소흡수원법에서는 산림의 탄소흡수 능력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신규조림/재조림, 식생복구, 산림경영, 보호 지역 관리, 목제품 이용 증진,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 확대, 산지전용 및 산림황폐화 방지 등이 포함된다. 또한 탄소흡수원법에서는 이러한 활동을 통해 얻어진 산림탄소흡수량을 산림탄소상쇄제도를 통해 거래할 수 있도록 하였다(Kim et al.
사업기간 동안 얻어진 전체 이산화탄소 흡수량에서 베이스라인 흡수량을 제외하여 순 흡수량을 산정하는 이유는? 산림탄소상쇄 사업을 통해 얻어진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즉 ‘산림탄소흡수량’의 산정 방법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산림청에서는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 운영표준’ (이하 운영표준)을 개발하여 고시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3a, 이하 KFS). 산림탄소흡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라인 흡수량을 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운영표준에 따르면 베이스라인 흡수량은 “산림탄소상쇄사업을 하지 않았을 경우 사업경계 내에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 가운데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활동(베이스라인)을 고려한 이산화탄소 흡수량”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기간 동안 얻어진 전체 이산화탄소 흡수량에서 베이스라인 흡수량을 제외하여 순 흡수량을 산정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 J.S., Kim, Y.H., and Han, K.J. 2013. Trend of International Carbon Trading Markets and Implication for Forestry. In: Agricultural Prospect 201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Chapter14, pp. 523-557. 

  2. Bennett, F.A. 1970. Yield and stand structural patterns for old-field plantation of slash pine.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SE-60. 

  3. Ito, A., Muraoka, H., Koizumi, H., Saigusa, N., Murayama, S., and Yamamoto, S. 2006. Seasonal variation in leaf properties and ecosystem carbon budget in a cool-temperat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simulation analysis at Takayama site, Japan. Ecological Research 21(1): 137-149. 

  4. Jang, K., Won, H.K., Kim, Y.H., Tak, K.I., Shin, M.Y., and Lee, K. 2011. Application of CBM-CFS3 model to assess carbon stock and age class changes over long term forest planning in Korea's national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4): 591-597. 

  5. Kim, Y.H., Kim, K.N., Jeon, O.J., and Lee, K.H. 2013. Development of a Carbon Standard for Forest Carbon Offset Program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Forest Policy Issues-2. pp. 19. 

  6. Kim, Y.H., Kim, T.W., Won, H.K., Lee, K.H., and Shin, M.Y. 2012a. Estimation of Timber Production Under Thinning Scenarios Using a Forest Stand Yield Model.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1): 592-598. 

  7. Kim, Y.H., Son, Y.M., Chun, H.S., Bae, J.S., Kim, R.H., Lee, K.H., Jeon, O.J., and Kim, K.N. 2012b. Standard for Forest Carbon Offset Program in Foreign Countri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471. pp. 147. 

  8. Kindermann, G.E., Obersteiner, M., Rametsteiner, E., and McCallum, I. 2006. Predicting the deforestation-trend under different carbon-prices. Carbon Balance and Management 1(15). 

  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5. Standards for Sustainable Forest Resource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5. pp. 289. 

  1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Volume, Biomass and Stand Yield Table for Korea Major Species. pp. 261. 

  11. Korea Forest Service. 2013a. Standard for Korean Forest Carbon Offset Program. Korea Forest Service, Official Notice, No. 2013-37. 

  12. Korea Forest Service. 2013b. Enforcement Rule of Cre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ct. No. 66. 

  13. Kurz, W.A., Dymond, C.C., White, T.M., Stinson, G., Shaw, C.H., Rampley, G.J., Smyth, C., Simpson, B.N., Neilson, E.T., Trofymow, J.A., Metsaranta, J., and Apps, M.J. 2009. CBM-CFS3 : A model of carbon-dynamics in forestry and land-use change implementing IPCC standards, Ecological Modelling 220(4): 480-504. 

  14. Masera, O.R., Carza-Caligaris, J.F., Kanninen, M., Karjalainen, T., Liski, J., Nabuurs, G.J., Pussinen, A., de Jong, B.H.J., and Mohren, G.M.J. 2003. Modeling carbon sequestration in afforestation, agroforestry and forest management projects : the CO2FIX V.2 approach. Ecological Modelling 164(2003): 177-199. 

  15. Seo, J.H., Son, Y.M., Lee, K.H., Lee, W.K., and Son, Y.H. 2005. The Estimation of Stand Biomass and Net Carbon Removals using Dynamic Stand Growth Model.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24(2): 37-45. 

  16. Yoo, S., Lee, W.K., Son, Y., and Ito, A. 2012. Estimation of Vegetation Carbon Budget in South Korea using Ecosystem Model and Spatio-temporal Environmental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 14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