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능위주설계에서 화재위험성 예측 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Process to Predict Fire Risk of a Building in Performance Based Design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6 no.3, 2014년, pp.145 - 154  

이세명 (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formance based design(PBD) is the method to make a fire safety design against them after predicting the factors of fire risk in a building. Therefore, predicting fire risk in a building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PBD. For predicting fire risk of a building, an engineer of PBD must consider va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는 2011년 7월 1일에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이 제정되고 대상건축물은 반드시 성능설계를 실시하도록 의무화함에 따라 성능설계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으나[2], 지금까지 수립된 성능설계의 화재위험 예측과정에서 전문성과 합리성이 결여되어 성능설계안의 화재안전성능을 확신할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국내 성능설계사례를 조사하여 화재위험 예측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 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된 경우 화재는 플래시 오버에 도달하기 전에 제어되거나 진압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설계화재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NFPA 101(Life Safety Code)에서는 성능설계를 수립하기 위해 빈도는 높으나 피해규모는 작은 상황, 빈도는 낮으나 피해규모가 큰 상황, 그리고 특수상황을 고려하여 최소 3개 이상의 화재시나리오를 선정하도록 권장하고 있고, 그 중에서 처음 두 종류의 시나리오는 소화설비가 설계된 대로 작동 될 것이라는 가정을 내포하고 있으며 세 번째는 소화설비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를 가정한 시나리오이다[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능설계란 무엇인가? 성능설계는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초고층 복합 건축물에 대해 미래 발생가능한 화재위험요소를 미리 예측하여 화재안전설계를 수립하는 설계방법이다. 건축물이 안고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잠재위험요소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하는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다[1].
성능위주 소방 설계제도의 도입 목적은? 하지만,초고층 건축물은 화재 및 각종 재난이 발생할 경우 기존의 소규모 건축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규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15]. 이에 화재 등의 재난으로부터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화재 소방분야에서는 성능위주 소방 설계(이하 성능설계)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성능설계의 절차는? 성능설계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가 고객의 안전 목표에 따른 설계 목적의 설정, 두 번째로 화재시나리오와 설계화재의 개발, 세 번째로 설계안들의 개발 및 평가이다. 설계목적의 설정은 이해관계자의 최종목표(인명안전, 재산보호 등)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계목표를 공학적 용어로서 구체화시키는 것이고, 화재시나리오의 개발은 건물 내의 발생 가능한 화재상황을 도출하여 그 화재의 발화로부터 화재성장 전단계를 구어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며, 설계화재의 개발은 선정된 설계화재시나리오를 토대로 차후 시험설계안 개발의 기준이 되는 화재성장곡선을 설정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on Bong Se (2008), "The basic study on standardization of criteria to evaluate fire safety capacity in high-rise building", Fire Technology Research, pp. 32-33. 

  2. Lee Yang Ju, Ko Kyoung Chan, Park Woe Chul (2012), "A Study on Performance-Based Design Enforce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6, No. 1, p. 68. 

  3. Cho Ho Sung (2006), Performance Based Design", Gidari Publishing Group, pp 1-2, p 209, 248, 286. 

  4. ISO TR 13387-2 (1999), "Fire Safety engineering. Part 2. Design fire scenarios and design fires", ISO/TR 13387-2: 1999, pp. 1-16. 

  5. NFPA 72 (2010), "National Fire Alarm and Signaling Code", 2010 Edi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pp. 267-274. 

  6. Ron Cote, Gregory E. Harrington (2012), "Life Safety Code Handbook", 2012 Edi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pp. 96-103. 

  7. NFPA 5000 (2009), "Building Construction and Safety Code", 2009 Edi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pp. 75-76. 

  8. SFPE (2007) "SFPE Engineering Guide to Performanced-Based Fire Protection",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Bethesda, MD, pp 72-77. 

  9. ICC (2006), "International Building Code. Sec. 909. 9. 2", Falls Church, VA: International Code Council.,Inc. 

  10. Hoglander. K, Sundstrom. B (1997), "Design Fires for Preflashover Fires-Characteristic Heat Release Rates of Building Contents", SP Report 1997:36, Boras, pp. 35-36. 

  11. Leif Staffansson (2010), "Selecting design fires. Appendix A.2", Department of Fire Safety Engineering and Systems Safety Lund University, Sweden. 

  1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2014), "The regulation for evacuation and fire protection structure in building". 

  13. NFSC 501A(2013), "National fire safety code of smoke control system for stair hall and ancillary room of specific fire escape stair",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4. NFSC 501 (2012), "National fire safety code of smoke control system",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5. Lee Jung Il (2012), "The Way of Operatioans and Tactics For Disaster Plan of High-rise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Vol. 14, No. 3, p. 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