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방위 화생방 가상훈련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Civil Defense CBR Virtual Training Simulation Scenario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6 no.3, 2014년, pp.175 - 183  

정태호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  장재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  박상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pite of international efforts to control nuclear weapons and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CBR) weapons, North Korea obtains and sells CBR weapons illegally. As a result, the worldwide threat of CBR weapons is increasing. Unfortunately, civil defense education and training for CBR we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년 정부에서는 대규모 복합재난대비 훈련시나리오를 개발하며 훈련시나리오 수립을 6단계로 제시하였다.[3] 이 훈련시나리오 개발 표준방법론을 통해 다양한 재난대응훈련에 적용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향상된 국가훈련체계를 수립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현재 민방위 화생방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가상훈련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추후 각 지자체의 민방위 교육에 활용하여 현존하는 화생방 교육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내릴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화생방 교육의 운영방안은 정해져 있으나 실행 여부 및 실태를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어 직접 확인을 하기 위해 민방위 화생방 교육 현장을 방문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발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체험 위주의 교육방식, 장비물자 활용의 대체방식, 실제 상황 가정 기반의 교육을 고려한 개선 방향으로 가상훈련 시나리오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화생방 상황별 시나리오에 따른 민방위 대원의 행동요령을 예측함으로서 실제 상황에 대한 대응방식의 이해도를 높이고, 상황발생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훈련시나리오 개발 표준방법론’에 의하면 재난상황 스토리보드를 수립할 때에는 재난상황은 언제 어디에 발생할지 모르는 불확실성이 가장 근본적인 현상이므로 기관의 이해보다는 재난발생과 확산에만 집중하여 스토리보드를 개발하여야 한다. 본 연구인 화생방 가상훈련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은 유관기관의 이해를 떠나서 민방위 대원의 화생방 상황 대응 능력을 함양 시키는 데에 목적을 두고 화생방 상황을 [Table 4]와같이 스토리보드 상에 작성하였다.
  • 실례로, 삼성역에서는 2010년 11월 8일 ‘백색가루테러 오인 소동’이 발생해서 주목된 적이 있다. 이 사건을 참고하여, 지하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학테러상황을 가정하고 스토리보드를 개발하여 훈련 대상자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하철에서의 화학테러는 이미 1995년 일본 도쿄의 자하철에서 사린가스 테러로 15명 사망, 5000명이 넘는 부상자를 발생시킨 사례가 있는 것처럼, 밀폐된 공간에서 대규모의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효과적인 테러 방법이기 때문에 이를 대비한 훈련이 필수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방위 화생방 교육 현장의 문제점은? 첫 번째 문제점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실습 과목은 강의식으로 교육되고 있었으며 체험 위주의 수업은 진행되지 않았다. 화생방 탐지 및 제독 등은 실제 상황에 대한 대처방법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실습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민방위 대원들은 일방적인 주입식 강의를 듣고 있었다. [Figure 1]은 ‘현재 진행되는 민방위 프로그램 중 재미있거나 유익했던 프로그램을 선택하라’는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이다.
민방위 업무지침에 따르면 실전훈련 3시간은 어떤 교육내용을 다루고있는가? 민방위 업무지침에 따르면 실전훈련 3시간은 화생방 상황을 대비하여 민방위 대원이 숙지해야 하는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다. 교육운영은 지자체 체험실습 여건에 맞게 제대별 집합교육 또는 화생방분대 별도 집합 교육으로 이루어지며, 화생방전문가, 군부대 화학장교등 전문가에 의해 실기⋅실습이 중점 실시된다[2]
화생방 교육은 지방단위에서 년마다 몇시간 진행되는가? 민방위 화생방 분대원을 대상으로 하는 지방단위에서의 화생방 교육은 년 4시간 진행되며 [Table 1]과 같은 과목과 교육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Sung-pyo Hong(2010), "Assessment of Quality and Quantity for North Korea Weapons System", Korea Defense & Security Forum, 1: 137-142 

  2.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Civil defense CBR work propel guide", 1: 314-315 

  3. CHAHOO co.,LTd, M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2011), "A Study on systematic training plan for large scale social disaster preparation", MOPAS R&D report, 1: 109 

  4. R.O.K Joint Chief of Staff(2009), "Joint CBR Defence Operation", 1: 7-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