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imBaby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응급실 내원 발열환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Scenario and Evaluation for SimBaby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in Emergency Unit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6, 2011년, pp.279 - 288  

김해란 (동강대학 간호과) ,  최은주 (청암대학 간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호 실무 능력의 개발을 위해서는 임상 환경에서의 지속적인 경험이 중요하지만 간호학생의 임상 경험의 기회는 줄어들었고 모든 학생들이 충분히 임상 경험을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성인대상의 간호 시나리오 개발이 주로 이루어졌고 아동대상의 시나리오 개발은 거의 없는 실정이여서 아동간호와 관련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학습내용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시나리오의 내용은 응급실 내원 발열환아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 적용 결과, 학생들은 실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업태도와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사례의 아동관련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아동간호와 관련된 실제와 유사한 임상 상황들을 학생들에게 적용한다면 아동과 그 가족에 대한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rsing college students' continuous clinical experiences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 development of their nursing competency. In reality, it is difficult all of students to have enough clinical experiences. We can think of simulation learning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is research attemp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시 소재 3년제 간호대학 2학년 학생 중 신생아실과 소아과병동 실습을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와 비밀유지에 대한 동의서에 서명한 38명이 선정되었다. 간호과 2학년 학생들의 경우 임상실습을 이미 1년 가까이 경험을 하였고, 그 동안 배웠던 아동간호와 관련된 지식을 바탕으로 발열환아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이들을 위한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발열환아 사례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를 개발하여 학습과 관련된 요인을 전후 비교함으로써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서 직면할 수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SimBaby 시뮬레이터를 가지고 구현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아동간호학 분야의 시뮬레이션 학습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간호학생들의 아동에 대한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켜 궁극적으로 실무에 투입되었을 때 아동과 그 가족에게 제공하게 되는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SimBaby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학습관련 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 상황에 맞는 아동과 관련된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간호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간호학생들의 아동에 대한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학습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발열환아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 후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수업만족도에서 모두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우리 상황에 맞는 응급실 내원 발열환아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한 후 자기효능감, 학업태도,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응급실 내원 발열환아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 결과, 간호학생들은 아동과 관련된 간호과정에 대하여 자신감이 향상되었고, 수업에 임하는 자세와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실 내원 발열환아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에 따라 학습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그림 1].
  • 노르웨이 Laerdal사에서 만든 SimBaby 시뮬레이션은 실제 6 - 9개월 환아와 유사한 크기, 해부학적 구조, 병태생리적, 약리학적 반응 및 간호중재에 대한 상호 관계를 형성하는데 Simulator를 활용한 것을 의미한다[17]. 본 연구에서는 발열환아가 응급실에 내원하게 되는 상황을 재현하도록 하여, SimBaby를 통해 학습자가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학습법을 말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서 직면할 수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SimBaby 시뮬레이터를 가지고 구현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아동간호학 분야의 시뮬레이션 학습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간호학생들의 아동에 대한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켜 궁극적으로 실무에 투입되었을 때 아동과 그 가족에게 제공하게 되는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② 시뮬레이션 수업 전 주에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조 구성원 간의 협동을 통해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조별학습과제를 스스로 정하여 진행하도록 하였다. 이후 학습과제를 발표하도록 하고 유사한 임상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논의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간호교육의 목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아동간호교육의 목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문제가 있는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하여 창의적이고 과학적인 간호과정과 간호수기를 그들에게 적용하여 건강을 회복하게 하고, 간호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1].
응급실 내원 발열환아 간호과정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에 따른 결론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 적용 결과, 학생들은 실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업태도와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사례의 아동관련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아동간호와 관련된 실제와 유사한 임상 상황들을 학생들에게 적용한다면 아동과 그 가족에 대한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간호학의 경우 무엇을 시뮬레이션화 하는 작업이 현실적으로 매우 복잡한가? 국내 간호학에서 시뮬레이션 활용 교육에 대한 관심과 도입이 증가되면서 성인간호학과 마찬가지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우리 실정에 맞는 시나리오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동간호학의 경우 다양한 환자군에서 관찰되는 여러 가지 체격 조건, 해부학적 특징, 생명징후, 생리학적 반응을 시뮬레이션화 하는 작업이 현실적으로 매우 복잡하여[5] 간호 과정 중 아동의 성장 발달 단계를 고려해야하고, 가족들과 직접적으로 부딪히게 되는 상황에서 가족의 참여와 의견도 반영해야 하므로 시뮬레이션 교육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이 어렵다[9]. 이러한 이유로 우리 실정에 맞는 아동간호학 분야의 학습시나리오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미예, 권인수, 김수옥, 김은경, 김태임, 문진하, 최신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2010. 

  2. P. Bradley and K. Postethwaite, "Setting up a clinical skills learning facility," Medicine Education, Vol.37, No.1, pp.6-13, 2003. 

  3. 김지윤, 최은영, "시뮬레이션 실습이 접목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PBL 학습요소별 인식과 학업성취도",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5호, pp.731-742, 2008. 

  4. S. Patricia and M. S. Susan, "Creating and implementing pediatric simulation experiences for lisenced practical nursing student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in press). 

  5. H. R. Richard, Manual of simulation in healthcare(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Trans.), 예당출판사, 2010. 

  6. Margaret W. Bultas, "Enhancing the pediatric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through simulatio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in press). 

  7. K. W. Butler, D. E. Veltre, and D. S. Brady, "Implementation of active learning pedagogy comparing low-fidelity simulation versus high-fidelity simulation in pediatric nursing educ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5, No.4, pp.129-136, 2009. 

  8. K. I. M. Janie, "Effectivenes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in a pediatric cardia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in press). 

  9. P. H. Louis, "Teaching versus learning and the role of simulation-based training in pediatrics," The Journal of Pediatrics, Vol.151, No.4, pp.329-339, 2007. 

  10. 김영혜, 이내영, 하재현, "지역응급의료기관의아동 간호중재 분석-4차 개정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을 적용하여-",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77-286, 2010. 

  11. M. G. Betz and A. F. Grunfeld, "Fever phobia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survey of children's caregivers," Europ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Vol.13, pp.129-133, 2006. 

  12. 정용선, 오현이, 김진선, "아동발열관리에 대한 부모의 인식, 지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324-333, 2010. 

  13. 고일선, 김희순, 김인숙, 김소선, 오의금, 김은정, "SimMan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기본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71-381, 2010. 

  14. M. Sarel, H. Cohan, and E. Kahan, "Physicians' nurse', and parents' attitudes to knowledge about fener in early childhood,"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ling, Vol.46, pp.61-65, 2002. 

  15. S. Decker, S. Sportman, L. Puetz, and L. Billings, "The evolution of simul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competency,"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Vol39, No.2, pp.74-80, 2008. 

  16. J. B. Cooper and V. R. Taqueti, "A brief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annequin simulators for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Vol.13, No.1, pp.i11-i18, 2008. 

  17. T. C. Tsai, P. H. Harasyn, C. Nijssen-Jordan, P. Jennett, and G. Powell, "The quality of a simulation examination using a high-fidelity child manikin," Medical Education, Vol.37, No.1, pp.72-78, 2003. 

  18. C. F. Durham and K. R. Alden, "Enhanc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patient simulation", Retrieved, 2010(12). 

  19. M. Sherer, J.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and B. Jacobs,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 pp.663-671, 1982. 

  20.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21. 한국교육개발원, 사고능력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2. 

  22. 황선영,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 비판적 사고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3. 김민경, "문제중심학습(PBL) 상황에서 조직몰입이 학습성과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4. T. M. Wadas, "Role rehearsal: A mock code program,"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Vol.18, No.6, pp.36-39, 1998. 

  25. S. Granneman and V. S. Conn,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cased code blue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Vol.12, No.6, pp.283-288, 1996. 

  26.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5권, 제20호, pp.183-193, 2009. 

  27. 김영민, 오영민, 김한준, 이원재, 임태호, 정현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종합적인 응급기도관리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시범적용", 대한응급의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9. 2007. 

  28.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90-94, 2007. 

  29. S. B. Issenberg, W. C. Macgaghie, E. R. Pertusa, D. L. Gordon, and R. L. Scales,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 that lead to effective learning: a BEME systematic review," Medical Teacher, Vol.27, pp.10-2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