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국장 에탄올 추출물의 혈관내피세포 증식과 이동 촉진효과
Ethanol Extracts of Chungkookjang Stimulate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Umbilical Vascular Endothelial Cell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0 no.3, 2014년, pp.223 - 226  

황재성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기초과학연구소) ,  성대일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기초과학연구소) ,  이환명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정영신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기초과학연구소) ,  김한복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국장은 대두발효식품으로 대두 단백질이 발효 중 분해되면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만들어진다. 혈관내피세포는 혈관의 기능은 물론 신생혈관 생성을 주도하는 세포이다.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뇌경색 등의 혈관관련 질병들은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치료법이 필요하다.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새로운 혈관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에탄올추출물(CEE)이 HUVEC (혈관 내피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청국장 추출물(100, $1000{\mu}g/ml$)을 HUVEC에 처리했을 때, VEGF (10 ng/ml)를 처리한 대조군과 같은 정도로 세포를 증식시켰다. 열처리한 청국장추출물을 혈관 내피세포에 처리해도 세포 증식효과는 마찬가지였다. 청국장이 세포 증식뿐 아니라 HUVEC이동에도 영향을 주는지 sprout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청국장 추출물($100{\mu}g/ml$)을 처리했을 때, VEGF (10 ng/ml)와 비슷할 정도로 HUVEC 이동이 일어났다. 청국장 추출물에서 HUVEC 증식과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peptide의 분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fermented soybean product known as "chungkookjang", diverse bioactive compounds are produced when the soybean proteins are degraded during fermentation. Vascular endothelial cells (EC) are crucial in vein function and the formation of new vessels. A treatment to stimulate formation of new b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는 새로운 혈관 형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에탄올추출물(CEE)이 HUVEC (혈관 내피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청국장 추출물(100, 1000μg/ml)을 HUVEC에 처리했을 때, VEGF (10 ng/ml)를 처리한 대조군과 같은 정도로 세포를 증식시켰다.
  • , 2004).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발효 에탄올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았다. HUVEC, 혈관 내피세포는 많은 질환과 생체조직의 정상적인 생리기능 유지에 밀접한 관련이 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UVEC은 어떤 세포입니까? 또한 체내에 들어오는 여러 가지 물질들이 가장 먼저 만나는 세포이기 때문에 약효성분이나 질병유발 물질을 검출할 때 매우 중요하다(Pugsley and Tabrizchi, 2000). HUVEC은 혈관의 기능은 물론 신생혈관 생성을 주도하는 세포이다(Folkman and Klagsber, 1987).
혈관 생성 과정은 무엇입니까? VEGF가 강력한 혈관형성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다. 혈관 생성은 VEGF 등 혈관 생성 유도물질에 의해 시작되어, 혈관을 둘러싼 기저막이 분해되고, 혈관내피세포가 성장, 이동되어 공간적인 배열이 이루어지면서 혈관이 생성된다(Choi and Kim, 2003). 청국장이 혈관내피세포에 주는 영향과 세포의 증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청국장 CEE를 처리하여 XTT 분석을 하였다.
신생혈관 생성 시 상처가 났을 때 하는 역할은? 생리적으로는 상처 치유, 배란 및 월경에 영향을 준다(Folkman and Cotran, 1976). 상처가 날 경우 상처에 영양소와 산소의 공급 및 노폐물을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처 치유는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단계의 염증기에서 혈관 수축, 혈소판 응고 등이 일어나며 곧 새로운 모세혈관이 형성되는 육아기로 전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guie, G.H. 1994. The transparent chamber technique as a tool in experimental tumor therapy. American Assoc. Adv. Sci. 1947, 13-26. 

  2. Asahara, T., Murohara, T., Sullivan, A., Silver, M., Van der Zee, R., Li, T., Witzenbichler, B., Schatteman, G., and Isner, J.M. 1997. Isolation of putative progenitor endothelial cells for angiogenesis. Science 275, 964-967. 

  3. Bailer, J.C. and Gornik, H.L. 1997. Cancer undefeated. N. Engl. J. Med. 336, 1569-1574. 

  4. Bohem, T., Folkman, J., Browder, T., and O'reilly, M. 1997. Anti-angiogenic therapy of experimental cancer dose not induce acquired drug resistance. Nature 390, 404-407. 

  5. Bowen, W. 1998. The effects of sugical interferencd with blood supply on the growth of transplanted carcinoma and sarcomata. Sci. Rep. Imperial Cancer Res. Fund. 1908, 146-158. 

  6. Brooks, P.C., Montgmery, A.M.P., Rosenfeld, M., Reifeld, R.A., Hu, T., and Kiler, G. 1994. Integrin v3 antagonists promote tumor regression by inducing apoptosis of angiogenic blood vessels. Cell. 79, 1157-1164. 

  7. Cao, Y., Ji, R.W., Davison, D., Sler, J., Marti, D., Sohndel, S., McCance, S.G., O'Reilly, M.S., Linas, M., and Folkman, J. 1996. Kringle domains of human angiostatin. Characterization of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n endothelial cells. J. Biol. Chem. 271, 29461-29467. 

  8. Cao, Y., O'Reilly, S., Marshall, B., Flynn, E., Ji, R.W., and Folkman, J. 1998. Expression of angiostatin cDNA in murine fibrosarcoma suppresses primary tumor growth and produces long-term dormancy of metastases. J. Chin. Invest. 101, 1055-1063. 

  9. Cao, R., Wu, H.L., Veitonmaki, N., Linden, P., Fanebo, J., and Shi, G.Y. 1999. Suppression of angiogenesis and tumor growth by inhibitor KI-5 generated by plasmin-mediated proteolysis. Proc. Natl. Acad. Sci. USA 96, 5728-5733. 

  10. Cho, I.J., Kim, S.H., and Kim, S.G. 2006. Inhibition of TGFβ-1 mediated PAI-1 induction by oltipraz through selective interruption of Smad3 activation. Cytokine 35, 284-294. 

  11. Choi, J. and Kim, D. 2003. Theraputic angiogenesi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the present and future. Kor. Circ. J. 33, 739-745. 

  12. Crubayko, F., Liaudet-Coopman, D., Aigner, A., Tuveson, A.T., Berchem, G.J., and Wellstein, A. 1997. A secreted FGF-binding protein can serve as the angiogenic switch in human cancer. Nature Med. 3, 1137-1140. 

  13. Ferra, N. and Davis-Smyth, T. 1997. The biology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ndocr. Rev. 18, 4-25. 

  14. Folkman, J. and Cotran, R. 1976. Relation of vascular proliferation to tumor growth. Int. Rev. Exp. Path. 16, 207-248. 

  15. Folkman, J. and Klagsber, M. 1987. Angiogenic factors. Science 235, 442-447. 

  16. Fox, S.B., Gatter, K.C., and Hrris, A.L. 1996. Tumor angiogenesis. J. Pathol. 179, 232-237. 

  17. Hwang, J.S., Kim, J.Y., Sung, D.I., Yi, Y.S., and Kim, H.B. 2012. Fermentation of black-soybean Cungkookjang using Bacillus licheniformis B1. J. Microbiol. 48, 216-219. 

  18. Jung, J.O. and Kim D.K. 2000. A method of medical treatment use angiogenesis. J. Korean Soc. Vasc. Surg. 16, 265-269. 

  19. Kwon, M.J. and Park, J.H. 2009. Impaired wound healing in Diabetes Melitus. Kor. Diab. J. 33, 83-90. 

  20. Leung, D.W., Cachines, G., Kuang, W.J., Goeddel, D.V., and Ferrara, N. 198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 a secreted angiogenic mitogen. Sceience 246, 1306-1309. 

  21. Matsui, T., Yoo, H.J., Hwang, J.S., Lee, D.S., and Kim, H.B. 2004. Isolation of angiotensin-1-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from Chungkookjang. Kor. J. Microbiol. 40, 355-358. 

  22. Pugsley, M.K. and Tabrizchi, R. 2000. The vascular system; An overview of structure and function. J. Pharmacol. Toxicol. Mech. 44, 333-3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