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액 전도성 고분자와 이온성 액체 간에 상호작용 연구
Interaction of Conjugated Conducting Polymer with Ionic Liquid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1 no.3, 2014년, pp.337 - 344  

김중일 (광운대학교 화학과) ,  김도영 (광운대학교 전자바이오물리학과) ,  김인태 (광운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온도차에 따라 변화되는 이온성 액체와 낮은 밴드갭을 갖는 고분자인 poly(2-heptadecyl-4-vinylthieno[3,4-d]thiazole)(PHVTT) 간의 상호작용 및 고분자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이온성 액체는 methyl imidazolium chloride([MIM]Cl), butyl methyl imidazolium chloride([BMIM]Cl), tri-butyl methyl ammonium methyl sulfate([TBMA][ $MeSO_4$])를 사용하였으며, 21, 28, 32, $37^{\circ}C$로 온도를 변화시키며 상호작용의 변화를 UV-vis spectroscopy, FT-IR spectroscopy,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를 통해 확인한 결과 이온성 액체인 [MIM]Cl, [TBMA][$MeSO_4$]와 PHVTT의 상호작용은 점차 약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BMIM]Cl은 온도 변화에 따른 상호작용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interaction of low bandgap polymer {poly(2-heptadecyl-4-vinylthieno[3,4-d]thiazole)(PHVTT)} with ionic liquids. Further, we have studied the temperature dependent interactions between the ionic liquids [tri-butyl methyl ammonium methyl sulfate ([TBMA][$MeSO_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최근 상온에서 이온성 액체와 고분자사이의 상호작용을 토의하였으며, 아직 온도가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관련 지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고분자와 이온성 액체인 tri-Butyl ammonium methyl sulfonate ([TBMA][MeSO4]), methyl imidazolium chloride([MIM]Cl), butyl methyl imidazolium chloride([BMIM]Cl), 를 혼합한 후 온도에 따른 상호작용에 변화를 UV-vis spectroscopy, FT-IR spectroscopy,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 003 g의 methyl imidazolium chloride([MIM]Cl), butyl methyl imidazolium chloride([BMIM]Cl), tri-butyl methyl ammonium methyl sulfate([TBMA][MeSO4])를 각각 클로로포름 3 mL에 녹인다. 그 후 21, 28, 32, 37℃에서 8시간 교반하여 만들어진 이온성 액체/PHVTT 혼합물의 물성을 UV-vis spectroscopy과 FT-I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Nile-red를 추가로 첨가한 후 각각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를 이용해 결과를 측정하였다.
  • 그 후 21, 28, 32, 37℃에서 8시간 교반하여 만들어진 이온성 액체/PHVTT 혼합물의 물성을 UV-vis spectroscopy과 FT-I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Nile-red를 추가로 첨가한 후 각각의 온도에서 8시간 교반하여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를 이용해 결과를 측정하였다.
  • 이는 열에 의한 구조적 장애가 발생함으로써 PHVTT의 흡수 기능이 약화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열에 의한 PHVTT의 변화를 관찰한 이후 이온성 액체와 PHVTT(PHVTT)를 혼합하여 같은 방법으로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분자간 상호작용의 광학적 물성 변화를 Fig. 3 에 표시하였다
  • 이번 연구를 위해 합성된 PHVTT(PHVTT)의 경우 상온에서 750 nm 영역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온도가 PHVTT에 미치는 영향을 UV-vis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온도를 상승 시키며 확인해보았을때, 28℃ 에서 745 nm, 32℃ 에서 741 nm, 37℃에서 738 nm 의 최대 흡수 파장을 나타났다.
  • 추가적인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나일레드를 소량 첨가한 후 PHVTT와 PHVTT+이온성 액체 혼합물의 발광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위 데이터는 Fig. 4 에 나타내었다..
  • 합성된 고분자와 이온성 액체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Jeol MSL 280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1H NMR과 13C NMR 데이터를 얻었으며, THF 용매 하에서 폴리스티렌을 기준물질로 사용하는 영린기기사의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통해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흡수 파장 영역은 scninco사의 S-3100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확인하였고 분해능은 0.
  • 흡수 파장 영역은 scninco사의 S-3100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확인하였고 분해능은 0.95 nm 이며 파장 정확도는 ±0.5 nm, 파장 재현성은 ±0.02 nm 이다.

대상 데이터

  • 02 nm 이다. FT-IR spectrometer는 Bohem MB series MB100이며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는 Perkin elmer사의 LS 50B를 이용했으며, 제논 방전램프는 50Hz에서 7.3 W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 방법은 0.
  • 고분자와 이온성 액체의 합성에 이용되는 시료들은 시그마 알드리치(미국)에서 공급받았으며, 추가적인 순수화 없이 사용하였다. [MIM]Cl(methyl imidazolium chloride) 역시 시그마 알드리치에서 주문하였으며, 99.
  • 3 W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 방법은 0.001 g의 고분자(PHVTT)와 0.003 g의 methyl imidazolium chloride([MIM]Cl), butyl methyl imidazolium chloride([BMIM]Cl), tri-butyl methyl ammonium methyl sulfate([TBMA][MeSO4])를 각각 클로로포름 3 mL에 녹인다. 그 후 21, 28, 32, 37℃에서 8시간 교반하여 만들어진 이온성 액체/PHVTT 혼합물의 물성을 UV-vis spectroscopy과 FT-I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온성 액체의 구성은? 이온성 액체는 유기 양이온과 유, 무기 음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학 분야에서 그 응용성 및 유용성이 증명되고 있다. 이러한 이온성 액체는 유기 양이온과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약한 배위결합을 진행하고 있다.
이온성 액체는 어떤 약한 결합을 하고 있는가? 이온성 액체는 유기 양이온과 유, 무기 음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학 분야에서 그 응용성 및 유용성이 증명되고 있다. 이러한 이온성 액체는 유기 양이온과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약한 배위결합을 진행하고 있다.[1-9].
고분자는 유기 태양전지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고분자는 유기 태양전지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 이유는 저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열적 안정성과 가공성이 매우 뛰어나며, 열적 안정성이 좋고, 매우 빠르게 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근 상온에서 이온성 액체와 고분자사이의 상호작용을 토의하였으며, 아직 온도가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관련 지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 Liu, C. Lu, S. Twigg, M. Ghaffari, J. Lin, N. Winograd, Q. M. Zhang, Direct observation of ion distributions near electrodes in ionic polymer actuators containing ionic liquids, Sci. Rep. 3, 1-7 (2013). 

  2. Y. S. Ye, J. Rick, B. J. Hwang, Ionic liquid polymer electrolytes, J. Mater. Chem. A1, 2719-2743 (2013). 

  3. D. S. Rajput, K. Yamada, S. S. Sekhon. Study of ion diffusional motion in ionic liquid-based polymer electrolytes by simultaneous solid state NMR and DTA, J. Phys. Chem. B. 117, 2475-2481 (2013). 

  4. H. Cheng, C. Zhu, B. Huang, M. Lu, Y. Yang,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EO-based polymer electrolytes with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s, Electrochim. Acta. 52, 5789-5794 (2007). 

  5. Q. Zhao, S. Soll, M. Antonietti, J. Yuan, Organic acids can crosslink poly(ionic liquids into mesoporous polyelectrolyte complexes, Polym. Chem. 4, 2432-2435 (2013). 

  6. T. L. Greaves, C. Drummond, Protic ionic liquid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J. Chem. Rev. 108, 206-237 (2008). 

  7. M. J. Park, I. Choi, J. Hong, O. Kim, Polymer electrolytes integrated with ionic liquids for future electrochemical devices, J. Appl. Polym. Sci. doi:10.1002/APP.39064 (2013). 

  8. P. Attri, P. M. Reddy, P. Venkatesu, A. Kumar, T. Hofman, Measurements and molecular interactions for N,N-dimethyl formamide with ionic liquid mixed solvents, J. Phys. Chem. B. 114, 6126-6133 (2010). 

  9. B. Qiu, B. Lin, F. Yan, Ionic liquid/ poly(ionic liquid)-based electrolytes for energy devices, Polym. Int. 62, 335-337 (2013). 

  10. T. Welton, Room-temperature ionic liquids solvents for synthesis and catalysis, Chem. Rev. 99, 2071-2084 (1999). 

  11. Rogers, R. D.; Seddon, K. R. Ionic liquids-solvents of the future? Science. 302, 792-793 (2003). 

  12. Davis, J. H. Task-specific ionic liquids, Chem. Lett. 33, 1072-1077 (2004). 

  13. J. Megaw, A. Busetti, B. F. Gilmor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1-alkyl-3-meth ylimidazolium chloride ionic liquid-tolerant and biodegrading marine bacteria, PLoS ONE. 8, e60806, doi:10.1371/journal.pone.0060806 (2013). 

  14. X. D. Hou, Q. P. Liu, T. J. Smith, N. Li, M. H. Zo, Evaluation of toxicity and biodegradability of cholinium amino acids ionic liquids, PLoS ONE. 8, e59145, doi:10.1371/journal.pone.0059145 (2013). 

  15. P. Attri, P. Venkatesu, A. Kumar, Activity and stability of ${\alpha}$ -chymotrypsin inbiocompatible ionic liquids: enzyme refolding by triethyl ammonium acetate, Phys. Chem. Chem. Phys. 13, 2788-2796 (2011). 

  16. A. Martinelli, A. Matic, P. Jacobsson, L. Borjesson, M. A. Navarra, S. Panero, B. Scrosati, A structural study on ionic-liquid-bas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J. Electrochem. Soc. 154, G183.G187 (2007). 

  17. S. S. Sekhon, J. S. Park, E. Cho, Y. G. Yoon, C. S. Kim, W. Y. Lee, Morphology studies of high temperature proton conducting membranes containing hydrophilic/hydrophobic ionic liquids, Macromolecules. 42, 2054-2062 (2009). 

  18. M. Susan, T. Kaneko, A. Noda, M. Watanabe, Ion gels prepared by in situ radical polymerization of vinyl monomers in an ionic liquid and their characterization as polymer electrolytes, J. Am. Chem. Soc. 127, 4976-4983 (2005). 

  19. Y. He, Z. Li, P. Simone, T. P. Lodge, Self-assembly of block copolymer micelles in an ionic liquid, J. Am. Chem. Soc. 128, 2745-2750 (2006). 

  20. Y. He, T. P. Lodge, The micellar shuttle: thermo reversible, intact transfer of block copolymer micelles between an ionic liquid and water, J. Am. Chem. Soc. 128, 12666-12667 (2006). 

  21. Y. Y. He, P. G. Boswell, P. Buhlmann, T. P. Lodge, Ion gels by self-assembly of a triblock copolymer in an ionic liquid, J. Phys. Chem. B 111, 4645-4652 (2007). 

  22. P. M. Simone, T. P. Lodge, Micellization of PS-PMMA diblock copolymers in anionic liquid, Macromol. Chem. Phys. 208, 339-348 (2007). 

  23. Z. Bai, Y. He, T. P. Lodge, Block copolymer micelle shuttles with tunable transfer temperatures between ionic liquids and aqueous solutions, Langmuir 24, 5284-5290 (2008). 

  24. P. M. Simone, T. P. Lodge, Lyotropicphase behavior of polybutadiene-poly(ethylene oxide) diblock copolymers in ionic liquids, Macromolecules 41, 1753-1759 (2008). 

  25. I. T. Kim, J. H. Lee, S. W. Lee, New Low Band Gap Conjugated Conducting Poly(2-nonylthieno[3,4-d]thiazole):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Bull. Korean. Chem. Soc. 28, 2511-251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