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Sowing of Legum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Hanwoo Carrying Capacity of Rye (Secale cereale L.)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2 no.3, 2014년, pp.457 - 468  

오명곤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조익환 (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 ,  황보순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호밀에 콩과 사료작물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의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호밀의 연간 조단백질 수량은 지역 시험구 비교에서는 경주 시험구가 경산과 영주 시험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구별 단 혼파 비교에서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우분 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수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ha당 100, 150kg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작물의 월동이 가능한 시험구에서는 호밀 단파보다는 콩과 혼파구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고, 특히 콩과 작물 중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유기 한우 사육능력은 경주 시험구가 ha당 3.28두로 경산 시험구의 ha당 1.94두, 영주 시험구의 ha당 1.50두 보다 매우 높았으며(p<0.05), 호밀 단파 보다는 콩과 작물혼파구가, 혼파구에서는 사료용 완두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료가치 증진을 위한 콩과 사료작물 혼파는 겨울철 콩과작물의 월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콩과작물의 월동이 어려운 지역에는 발효우분을 시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발효우분 수준을 ha당 100~150kg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는 것이 유기 가축사육 능력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xed-sowing of legume forag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of rye in order to produce the organic roughage to be effectively reducing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 provide Hanwoo rearing farmer with safe organic an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호밀에 콩과 작물(헤어리베치, 사료용 완두)을 혼파 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에 따른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친환경 조사료를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호밀에 콩과 사료작물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 한우의 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호밀의 연간 조단백질 수량은 지역 시험구 비교에서는 경주 시험구가 경산과 영주 시험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시험구별 단 · 혼파 비교에서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축산이 많은 어려움에 처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리나라 축산은 가축이 섭취하는 곡류사료의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최근에 이상 고온과 가뭄 등으로 곡류 최대 수출국의 작황이 부진하여 곡류 재고량이 감소하고, 국제유가 인상에 따른 수송비용의 증가로 배합사료 가격이 폭등하여 많은 어려움에 처해 있다. 또한, 조사료마저도 수입하여 사용되거나 혹은 사료가치가 낮은 볏짚의 의존도가 55% 이상 차지하고 있어 급증하는 수입산 축산물과의 가격 경쟁력에서 크게 뒤져 국내 한우산업의 근간을 위협받고 있다(Jo, 2012).
화학비료, 특히 질소와 칼리의 장점 및 단점은 무엇입니까? 한편, 작물의 생산량 증대만을 목적으로 시용되어 왔던 화학비료, 특히 질소와 칼리는 식물체에 흡수가 잘 되고 이용률이 높지만 과다하게 시용하면서 부터 토양을 산성화 시키고, 토양의 미량 영양소가 고갈되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Schechtner, 1978).
가축분뇨와 같은 유기자원을 활용할 경우 얻어지는 이점은 무엇입니까? 가축분뇨에는 질소, 인산, 칼슘 등 각종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어 오래전부터 작물 생육에 매우 중요한 양분 공급원으로 활용되어 왔으며(Jo et al., 2008; Jung et al., 2009), 가축분뇨를 이용하여 사료작물 재배 시 작물의 생산성이 화학비료에 대등한 수준의 결과를 얻었다고 확인한 바 있다(Jo et al, 2008, 2010; Yoon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Drew, Elizabeth A. Vadakattu VSR. Gupta, and David K. Roget. 2005. Are legumes doing their job? The effect of herbicides on N2 fixation in Southern Australian agricultural system.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nitrogen fixation congress. pp. 162-164. 

  3.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ulture.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C. 

  4. Hwangbo, S. and I. H. Jo. 2013.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inter forage crops in Gyeongbuk region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1(3): 451-465. 

  5. Jo, I. H. 2003. A Study on area types of recycling agriculture.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1(3): 91-108. 

  6. Jo. I. H. 2012. Evaluation of carrying capacity of Hanwoo heifers when fed whole crop barley and rye as influenced by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2(2): 117-124. 

  7. Jo, I. H., S. Hwangbo, and J. S. Lee. 2008. Effects of applying livestock manure on productivity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summer forage crop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6(4): 421-434. 

  8. Jo, I. H., S. Hwangbo, and S. H. Lee. 2010.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8(3): 419-432. 

  9. Jung, M. W., N. C. Jo, J. G. Kim, Y. C. Lim, K. C. Choi, S. H. Yoon, K. W. Lee, and W. B. Yook. 2009. Effect of tillage system and livestock manures on the silage corn production and NO3-N concentration in leaching wa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9(3): 211-216. 

  10. Kim, J. D., S. G. Kim, and C. H. Kwon. 2004. Comparison of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orage legume.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6(3): 437-442. 

  11. Lee, I. D. and H. S. Lee.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from rye and hairy vetch seeding typers in Daeje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6(4): 207-214. 

  12. Lee, H. W., W. H. Kim, H. S. Park, H. J. Ko, and S. G. Kim. 2005. Effect of N application rate on fixation and transfer from vetch to barley in mixed st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5(1): 1-6 

  13. Lee, H. W. and H. S. Park. 2002. Nitrogen fixation of legumes and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0(1): 49-63 

  14. Linn, J. And N. Martin. 1989.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Univ. of Minnesota Ext. Serv. AG-FO-2637. 

  15. Nahm, K. H. 1992. Practical guide to feed, forage and water analysis. Yoohan Pub. 1-70. 

  16. Osman, A. E. and A. M. Osman. 1982. Performance of mixture of cereal and legume forage under irrigation in the Sudan. The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98: 71-72. 

  17. RDA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2012. Korean feeding standard for Hanwoo. 

  18. Ramesh, P., P. K. Ghosh, K. S. Reddy, Ajay, S. Ramana, and R. S. Choudhary. 2005. Assessment of biomass, productivity and sustainability of soybean based cropping systems at three levels of nitrogen in deep vertisols of semi-arid tropical India. Journal of Sustainable Agriculture. 26(2): 43-59. 

  19. Ryu, D. K., S. I. Yun, J. S. Lee, I. H. Jo, and J. H Ahn. 2006. Standard model development of nature-circulating organic agricultur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Seoul. 

  20. SAS. 2013.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01. SAS Institute Inc. Cary, NC. 

  21. Schechtner, G. 1978. Zur Wirksamkeit des Gullestickstoffs auf dem Grunlandin Abhangigkeit vom Dungungsregime. Die Bodenkultur. 29: 351-371. 

  22. Seo, J. H., H. J. Lee, I. B. Hur, S. J. Kim, C. K. Kim, and H. S. Jo. 2000. Comparison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forage yield among winter green manure cro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0(3): 193-198 

  23. Sharma, R. P., S. K. Pathak, M. Haque, and K. R. Raman. 2004. Diversification of traditional rice (Oryza sativa)-based cropping system for sustainable productions in South Biher alluvial plains. Indian Journal of Agronomy. 49(4): 218-222. 

  24. Yoon, S. H., Y. C. Lim, J. G. Kim, J. K. Lee, S. H. Choi, N. C. Cho, and K. C. Choi. 2009. Study on establishment of organic pasture by using Korean black goat and improve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9(3): 227-2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