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 소아 중환자실에서의 12시간 교대근무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삶의 질, 안전사건 보고 및 시간 외 근무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12-hour Shifts on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Hospital Incident Reporting, and Overtime Hour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4, 2014년, pp.353 - 361  

임은영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엄주연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장은지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나연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하은주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이선희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희경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연희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QOL), incident report rate and overtime hours for 12-hour shifts and for 8-hour shift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ICU).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36 staff nurs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2시간 교대근무 적용 전, 후의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삶의 질, 환자 안전사건 보고율 및 시간외 근무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동일한 총 근무시간 내에서 12시간 교대근무의 충분한 휴일 수는 여행 등의 여가생활과 밀접한 인간관계 유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12시간 교대근무 적용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 84%의 간호사들이 12시간 근무형태를 지지하여 2012년 6개월 동안 새로운 근무형태에 대한 결과를 재평가하기로 하였으며, 9개월 후 2차 선호도 조사를 시행하여 87%의 지지에 따라 현재까지 시행 중이다.
  •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 소아중환자실에서 기존의 8시간 근무형태와 새롭게 도입된 12시간 교대근무 시행 후의 직무만족도, 삶의 질, 환자 안전사건 보고율 및 시간외 근무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간호사 36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소아중환자실에서의 12시간 교대근무 도입 후 환자 중증도, 간호사와 환자의 비율, 급여 및 기관의 제도적 변화 없이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의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환자 안전사건의 증가 없이 시간외 근무가 단축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상급종합병원 소아중환자실에서 기존의 8시간 근무형태와 새롭게 도입된 12시간 근무형태 시행 후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히, 소아중환자실의 12시간 근무형태와 관련된 환자의 안전사건 발생률 및 시간외 근무 정도에 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8시간 교대근무 이외의 근무형태에 대한 다각적 임상연구를 통해 간호 인력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새로운 근무형태 적용 후 직무만족과 삶의 질 및 환자 안전사건 발생률의 변화를 확인하고, 소아 중환자실에서의 유연근무제 도입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러한 간호사들의 면담자료 및 근무통계 결과를 통해 지속적인 휴일 수 부족 및 긴 시간외 근무가 소아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삶의 질 및 직무만족을 감소시키고, 높은 이직률의 원인이 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간호사들의 직무만족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근무형태 도입을 논의하였다. 당사자 간의 합의를 통해 법으로 정해진 총 근로시간 내에서 근무시간의 길이를 다양하게 운영하는 것은 합법적으로, 12시간 교대근무에 대한 장단점과 휴일 수를 미리 산정하여 공유하였고, 소아중환자실의 전체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를 시행한 후 12시간 근무형태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대근무는 어떤 것에 큰 영향을 미치는가? 교대근무는 임상현장에서 피할 수 없는 근무형태로 간호인력관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간호 이직을 감소시키고 경력 간호사를 보유하는 것은 간호관리에서 중요한 이슈로, 국내 간호사의 이직률은 16.
국내외 간호협회에서 간호인력관리를 위한 노력으로 어떤 방안이 대두되는가? 6%에 이르고[1], 미국의 경우 이직으로 인한 한 명의 간호사 충원을 위해 6만 달러 이상의 비용을 소요한다[2]. 국내외 간호협회에서는 간호 인력보유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간호사의 업무와 생활의 양립에 긍정적이고, 인력관리에 효과적인 유연근무제가 대두되고 있다[3].
교대근무는 임상현장에서 어떠한 근무형태인가? 교대근무는 임상현장에서 피할 수 없는 근무형태로 간호인력관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간호 이직을 감소시키고 경력 간호사를 보유하는 것은 간호관리에서 중요한 이슈로, 국내 간호사의 이직률은 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2 Annual Repor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3. 

  2. Jones CB. The costs of nurse turnover, part 2: Application of the nursing turnover cost calculation methodology.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35(1):41-49. 

  3. MacPhee M, Borra LS. Flexible work practices in nursing. Geneva: The International Centre for Human Resources in Nursing,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12. 

  4. Richardson A, Turnock C, Harris L, Finley A, Carson S. A study examining the impact of 12-hour shifts on critical care staff.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7;15(8):838-846. http://dx.doi.org/10.1111/j.1365-2934.2007.00767.x 

  5. Dwyer T, Jamieson L, Moxham L, Austen D, Smith K. Evaluation of the 12-hour shift trial in a region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7;15(7):711-720. http://dx.doi.org/10.1111/j.1365-2934.2006.00737.x 

  6. Stimpfel AW, Lake ET, Barton S, Gorman KC, Aiken LH. How differing shift lengths relate to quality outcomes in pediatric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43(2):95-100.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27f2244 

  7. Stone PW, Du Y, Cowell R, Amsterdam N, Helfrich TA, Glance LG, et al. Comparison of nurse, system and quality patient care outcomes in 8-hour and 12-hour shifts. Medical Care. 2006;44(12):1099-1106. http://dx.doi.org/10.1097/01.mlr.0000237180.72275.82 

  8. Tanaka K, Takahashi M, Hiro H, Kakinuma M, Tanaka M, Kamata N, et al. Differences in medical error risk among nurses working two-and three-shift systmes at teaching hospitals: A six-month prosepctive study. Industrial Heath. 2010; 48:357-364. 

  9. McGettrick KS, O'Neill MA. Critical care nurses--perceptions of 12-h shifts. Nursing in Critical Care. 2006;11(4):188-197. 

  10. Ruggiero JS. Correlates of fatigue in critical care nurs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3;26(6):434-444. http://dx.doi.org/10.1002/nur.10106 

  11. Fitzpatrick JM, While AE, Roberts JD. Shift work and its impact upon nurse performance: current knowledge and research issu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9;29(1):18-27. 

  12. Scott LD, Rogers AE, Hwang WT, Zhang Y. Effects of critical care nurses' work hours on vigilance and patients' safet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an official publication,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 2006;15(1):30-37. 

  13. Tucker P, Barton J, Folkard S. Comparison of eight and 12 hour shifts: impacts on health, wellbeing, and alertness during the shift.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96; 53(11):767-772. 

  14. Stimpfel AW. The impact of hospital staff nurse shift length on nurse and patient outcomes[dissertation]. Pennsylvan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1. 

  15. Geiger-Brown J, Lipscomb J. The health care work environment and adverse health and safety consequences for nurses. Annual Review of Nursing Research. 2010;28:191-231. 

  16. Stone PW, Mooney-Kane C, Larson EL, Horan T, Glance LG, Zwanziger J, et al. Nurse working conditions and patient safety outcomes. Medical Care. 2007;45(6):571-578. http://dx.doi.org/10.1097/MLR.0b013e3180383667 

  17. Oh DS, Kim HY, Han HM, Choi HJ, Kang JO, Kang SL, et al. Comparis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irect/indirect care time of the nurses in two and three shif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1;7(1):113-129. 

  18. Slavitt DB, Stamps PL, Piedmont EB, Haase AM.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1979;27 (2):114-120. 

  19. Shin JS.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perception of personnel management system to job satisfaction among hospital employees [master's thesis]. Cheonan: Dankook University; 2006. 

  20. Park YM. Interrelation of living habits and living quality of shift nurses [master's thesis]. Kyeonggi: Kyeonggi University; 2005. 

  21. Johnson AL, Jung L, Brown KC, Weaver MT, Richards KC. Sleep deprivation and error in nurses who work the night shift.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44(1):17-22. http://dx.doi.org/10.1097/NNA.0000000000000016 

  22. Benner P, Sheets V, Uris P, Malloch K, Schwed K, Jamison D. Individual, practice, and system causes of errors in nursing: a taxonomy.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32 (10):509-523. 

  23. Trinkoff AM, Johantgen M, Storr CL, Gurses AP, Liang Y, Han K. Nurses' work schedule characteristics,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ing Research. 2011;60(1):1-8. http://dx.doi.org/10.1097/NNR.0b013e3181fff15d 

  24. Lee YW, Dai YT, Park CG, McCreary LL. Predicting quality of work life on nurses' intention to leav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3;45(2):160-168. http://dx.doi.org/10.1111/jnu.12017 

  25. Tanaka S, Maruyama Y, Ooshima S, Ito H. Working condition of nurses in Japan: awareness of work-life balance among nursing personnel at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1;20(1-2):12-22. http://dx.doi.org/10.1111/ j.1365-2702.2010.03354.x 

  26. Cimete G, Gencalp NS,Keskin G. Quality of lif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3;18 (2):151-158. 

  27. Chen YM, Johantgen ME. Magnet Hospital attributes in European hospitals: A multilevel model of job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0;47(8):1001-1012.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12.016 

  28. Bloodworth C, Lea A, Lane S, Ginn R. Challenging the myth of the 12-hour shift: A pilot evaluation. Nursing Standard. 2001; 15(29):33-36. http://dx.doi.org/10.7748/ns 2001.04.15.29.33.c3006 

  29. Scott ES, Engelke MK, Swanson M. New graduate nurse transition: Necessary or nice? Applied Nursing Research. 2008;21: 75-83. http://dx.doi.org/10.1016/j.apnr.2006.12.002 

  30. The Joint Commission. Sentinel Event Alert: Issue 48 [Internet]. Oakbrook Terrace, IL: Joint Commission. 2011 [cite 2013 October 13].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assets/1/18/SEA_48.pdf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