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의 서비스지향성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Service Orientation Scale for Health Care Organization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4, 2014년, pp.362 - 372  

이명하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박숙경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이옥주 (군장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rvice Orientation Scale for Health Care Organization. Methods: The Service Orientation Scale for Health Care Organization, $SERV^*OR$, was develop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ytle 등[1]이 개발한 서비스지향성 측정도구 SERV*OR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도록 어휘를 수정 · 보완한 ‘의료기관 서비스지향성 도구’(Service Orientation Scale for Health Care Organization, SOS-HCO)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를 통해 병원조직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수립된 ‘의료기관 서비스지향성 측정도구’는 구성원 개인의 서비스에 대한 태도나 행동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고객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조직인 의료기관이 서비스에 대해 이념과 철학을 가지고 있고 직원들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규정과 절차,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원 활동을 하는지 등의 우수한 의료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해 의료기관이 얼마나 능동적으로 조직 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Lytle 등[1]이 개발한 서비스지향성 측정도구인 SERV*OR를 번역하고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실정에 맞게 어휘를 수정 · 보완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이 도구가 의료기관의 서비스지향성을 평가하고 관련요인을 확인하는 연구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 또한 번역의 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설문지는 영어와 한국어에 능통한 간호학 전공자가 다시 역 번역을 시행하였다. 역 번역된 도구를 원래의 영문도구와 비교하여 의미 전달의 왜곡이 없이 번역되었는지에 대해 역 번역자와 연구자간에 긴밀한 논의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예를 들면 “우리 회사는 말만 하는 게 아니라 진정한 서비스 실천이 있다”라고 직역된 것을 “우리 병원은 말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 Scale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연구자의 임의적 판단에 따라 총 35문항 중 16~21문항을 사용하고 있어[8-10,13,14] 원 도구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이 측정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사용한 문항의 수 뿐 아니라 사용한 문항이 달라서 연구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은 주로 경영학이나 행정학으로 도구에 의료서비스의 속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 어휘나 문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즉, 의료기관의 서비스지향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의료기관의 서비스지향성의 개념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고 타당성을 갖춘 측정도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원도구의 구성요소가 잘 포함되어 있으면서 국내 의료기관의 서비스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한 측정도구가 필요하다.
조직의 서비스지향성이란 무엇인가? 이와 같이 고객에게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조직이 얼마나 능동적인가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개념이 서비스지향성이다. 조직의 서비스지향성(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이란 질 높은 서비스의 창출과 전달을 위한 조직의 활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수한 서비스를 창출하고 전달하기 위해 구성원의 서비스 제공 행동을 지원하고 보상하는 조직의 관행이나 절차를 의미한다[1,2]. 서비스지향성은 조직 중심적 서비스지향성과 고객 중심적 서비스지향성으로 분류되는데, 조직 중심적 서비스지향성은 조직이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규정, 절차와 시스템의 관리에 역점을 두며, 고객 중심적 서비스지향성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고객들과 유연하고 개방적인 형태의 서비스를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3,4].
서비스지향성은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조직의 서비스지향성(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이란 질 높은 서비스의 창출과 전달을 위한 조직의 활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수한 서비스를 창출하고 전달하기 위해 구성원의 서비스 제공 행동을 지원하고 보상하는 조직의 관행이나 절차를 의미한다[1,2]. 서비스지향성은 조직 중심적 서비스지향성과 고객 중심적 서비스지향성으로 분류되는데, 조직 중심적 서비스지향성은 조직이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규정, 절차와 시스템의 관리에 역점을 두며, 고객 중심적 서비스지향성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고객들과 유연하고 개방적인 형태의 서비스를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3,4]. 따라서 서비스지향성은 조직이 우수한 서비스의 창출과 전달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믿음과 고객만족을 위한 구성원의 서비스 제공행동을 지원하고 보상하는 조직 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ytle RS., Hom P., Mokwa M. SERV*OR: A managerial measure of organizational service-orientation: Journal of Retailing. 1998;74(4):455-489. http://dx.doi.org/10.1016/S0022-4359(99)80104-3 

  2. Cater B, Zabkar V.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ommitment in marketing research services: The client's perspective. International Marketing Management. 2009;38:785-797. http://dx.doi.org/10.1016/j.indmarman.2007.10.004 

  3. Lytle RS. Service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n organizational culture perspective [dissertation]. Phynix: Arizona University; 1994. p. 22-38. 

  4. Woo YH, Hong MY. A Study on the service orientation measurement of civil affair administration on the basis of SERV*OR Scal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2005;39(3):251-274. 

  5. Schneider B, Parkington J, Buxton VM. Employee and customer perceptions of service in bank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80;25:252-267. 

  6. Lytle RS, Timmerman JE. Service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Service Maketing. 2006;20(2):136-147. http://dx. doi.org/10.1108/08876040610657066 

  7. Lee TS, Ahn SH, Kang KD. A study on the service orientation of civil service organizations: The Assessment of Psychometric Properties of SERV*OR.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08;21(3):1259-1285. 

  8. Kim SC, Lee HS. A study of service orientation, human resource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effects on performance in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2002;30(2):11-25 

  9. Yoon JL, Jang JS. The busines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impact on service-oriented.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2;25(2):859-878. 

  10. Kang DS. A study on the effects of service orientation to customer orientations, employees satisfaction and service values in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2009;56:247-269. 

  11. Seo KW. A study on the effects of service orientation to business performance in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Focus on the general specialty medical treatment institutions [Dissertation]. Chungju: Chungju University; 2007. p. 63-78. 

  12. Lee HT. Effect of local medical institutions' service orientation on their employe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Focusing on the Busan area.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013; 17(3):383-402. 

  13. Kim JY, Choi K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medical service orientation, hospital image and hospital performance: Korean Accounting Review. 2005;30:281-304. 

  14. Han JL. Factor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 in hospital nursing [Di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3. p. 17-47. 

  15. Shin HK.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staff nurses and its related factor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4. p. 20-45. 

  16. Lee EO, Lim NY, Park HE, Heo IS, Kim JY, Bae JE, et al. Nursing research & statistics. Paju: Soomoonsa; 2009. p. 197-270. 

  17. Parasuraman A, Zeithml VA, Berry LL. SERVQUAL: A mu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Retailing. 1988;64:14-40. 

  18. Moon HJ.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service oriented culture, and cultural strength on customer orientation of hospital employees [master's thesis]. Gimhae: Injea University; 2004. 

  19. Ha GC. The handbook of marketing research. Paju: Idambooks; 2010. p. 173-174. 

  20. Babbie ER.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1th ed.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2007. p. 238-239. 

  21. Kang YS, Choi EH. A study on the effects of service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long-term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012;26(3):493-516. 

  22. Ware JE, Gandek B. Methods for testing data quality, scaling assessments and reliability: The IQOLA project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8;51:945-952. 

  23. Franklin C, Streeter CL, Spriner DW. Validity of the FACES IV. family assessment measure.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2001;11(5):576-596. http://dx.doi.org/10.1177/104973150101100503 

  24. Zeithmal VA, Leonard LB, Parasuraman A.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1996; 60:31-46. http://dx.doi.org/10.2307/1251929 

  25. Dienhart JR, Gregorie MB, Downey RG. Patrick KK. Service orientation of restaurant employee.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1992;11(4):331-346. http://dx.doi.org/10.1016/0278-4319(92)90050-6 

  26. Sung TJ. Modern basic statistics. 6th ed. Seoul: Hakgisa. 2011. p. 117-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