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미세먼지에 대한 건강 취약성 평가
Health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M10 in Busan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0 no.5, 2014년, pp.355 - 366  

이원정 (부산대학교 환경시스템협동과정) ,  황미경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김유근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human health sector for $PM_{10}$, which is reflected 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disease mortality rates for $PM_{10}$ in Busan over the period of 2006-2010. Methods: According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노출에 대한 지역적 여건과 특성을 반영하여 정량적으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취약성 평가요소인 노출 지수, 민감도 지수, 적응능력 지수를 산출하여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부산지역의 미세먼지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부산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더 심도 있는 정량적 방법으로 취약성을 평가하려하였으며, 각 지역의 건강 취약성을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취약한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는 지자체에서 각 지역의 취약성을 낮추기 위한 적응정책 수립과 대책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2006~2010년 동안 미세먼지 대상 건강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지표에 대한 지수 값을 생성하였으며 행정구역별 건강 취약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연구대상지인 부산광역시의 지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한반도 남동단에 위치한 부산광역시로 15개 구와 1개 군의 행정구역으로 구분 된다. 지형적으로 복잡한 골을 따라 도시역이 존재하며 연안역을 따라 다수의 공단지역을 비롯한 선박등 다수의 배출원이 존재한다(Fig. 1).
미세먼지가 초래하는 질환은 무엇이 있는가? 7% 에서 초과하여 대기환경기준 달성률이 가장 낮았다(2010년 기준).2) 미세먼지의 입자 크기는 매우 작고 비표면적이 커 호흡 시 체내에 흡입되기 쉽고 각종 유해성분을 함유하여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 질환, 암과 전체 사망률,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과 같은 환경노출 민감 집단에 더욱 악영향을 미친다.3-19)
IPCC에서 정의하는 취약성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취약성(vulnerability)이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나, 기후변화 연구 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인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에서는 “한 시스템이 기후변화의 악영향에 쉽게 영향을 받거나 대처하지 못하는 정도”로 정의하며, 그 요소는 시스템이 자극에 노출(접촉)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노출(exposure), 자극에 의해 시스템이 영향을 받는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도 (sensitivity)와 시스템이 자극에 의한 영향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잠재력 또는 능력을 의미하는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으로 정의한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WHO. Using climate to predict infectious disease outbreak: a review.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ss; 2004. p.37-42. 

  2. Ministry of Environment.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010.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Press; 2011. p.1-444. 

  3. Bae HJ, Lim YR, Yu SD, Kim JH, Cho YS. Temperature mod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PM_{10}$ and mortality in Seoul. J Environ Health Sci. 2013; 39(1): 90-98. 

  4. Stafoggia M, Schwariz J, Forastiere F, Perucci CA. Does temperature modify the association between air pollotion and mortality? A multicity case-crossover analysis in Italy. Am J Epidemiol. 2008; 167(2): 1476-1485. 

  5. Pope CA, Burnette RT, Thun MJ, Calle EE, Krewski D, Ito K, et al. Lung cancer, cardiopulmonary mortality, and long-term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JAMA. 2002; 287(9): 1132-1141. 

  6. Thomas B, Schwartz J. Who is sensitive to the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on mortality?: A case-crossover analysis of effect modifiers. Epidemiology. 2004; 15(2): 143-149. 

  7. Samet JM, Dominici F, Curriero FC, Coursac I, Zeger SL.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20 US cities, 1978-1994. N Engl J, 2000; 343(24): 1742-1749. 

  8. Ren C, and Tong S. Temperature modifies the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in Brisbane, Australia. Int J Biometeorol. 2006; 51(2): 87-96. 

  9. Ha KH, Suh MN, Kang DR, Kim HC, Shin DC, Kim CS. Ambient particulate matter and the risk of deaths from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11; 17(2): 74-83. 

  10. Touloumi GA, Samoli E, Quenel P, Paldy A, Aderson RH, Zmirou D. Short-term effects of air pollution on total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the confounding effects of influenza epidemics. Epidemiology. 2005; 16(1): 49-57. 

  11. Wong CM, Vichit-Vadakan N, Kan H, Qian Z. Public health and air pollution in Asia(PAPA): a multicity study of short-term effects of air pollution on mortality. Environ Health Perspect. 2008; 116(9): 1195-1202. 

  12. Ha EH, Lee JT, Kim H, Hong YC, Lee BE, Park HS, et al. Infant Susceptibility of Mortality to Air Pollution in Seoul, South Korea. Pediatrics. 2003; 111(2): 284-290. 

  13. Seo JH, Ha EH, Lee BE, Park HS, Kim H, Hong YC, et al. The effects of $PM_{10}$ on respiratory-related adamission in Seoul. Journal of KOSAE. 2006; 22(5): 564-573. 

  14. Park JU, Im YH, Gyeong SY, An CH, Lee SP, Jeong SH, et al. Effects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PM_{10}$ ) on peak expiratory flow and respiratory symptoms in subjects with bronchial asthma during yellow sand period.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3; 55(6): 570-578. 

  15. Dockery DW, Pope CA. Acute respiratory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Annu Rev Pub Health. 1994; 15(1): 107-132. 

  16. Shin DC. Health effects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J Korean Med Assoc. 2007; 50(2): 175-182. 

  17. Lee JT, Kim H, Cho YS, Hong YC, Ha EH, Park H. Air pollution and hospital admissions for ischemic heart diseases among individuals 64+ years of age residing in Seoul, Korea. Arch Environ Health. 2003; 58(10): 617-623. 

  18. Kim WK. Between air pollutants and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Allergy Asthma and Respiratory Diseases. 2010; 20(4): 209-211. 

  19. Lee JW, Jeon HJ, Cho YS, Lee CM, Kim KY, Kim YS. Association between cold temperature and mortality of the elderly in Seoul, Korea, 1992-2007.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11; 20(5): 747-755. 

  20. Yoo GY, Kim I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Seoul: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8. RE-05. p.1-88. 

  21. Go JK. A study of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in Gyeonggi-do. Gyeonggi: Gyeonggi Reserch Institute; 2009. policy research 2009-37. p.1-184. 

  22. IPCC. Climate change 2007: Impac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Genev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p.1-22. 

  23. Chipanshi AC. Chanda R, Totolo O. Vulnerability assessment of the mazie and sorghum crops to climate change in Bostswana. Climate Change. 2003; 61(3): 339-360. 

  24. Mavroulidou M, Hughes SJ. Hellawell EE. A qualitative tool combining an interaction matrix and a GIS to map vulnerability to traffic induced air pollution. J Environ Manage. 2004; 70(4): 283-289. 

  25. Wu GY, Li LH, Ahmad SJ, Chen X, Pan XL. A dynamic model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egional water resources in arid area: a case study of Bayingolin, China. J Water Res Manage. 2013; 27(8): 3085-3101. 

  26. NIER(National Institu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Ministry of Environment. Sectoral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map. Inchon: NIER Press; 2012. p.1-134. 

  27. Song JH, Rokhrel R, Lee HK, Bong CK. Study on the analysis of coastal air emission from on-going marine vessels. Korean Socien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Proceeding of the 48th meeting of KOSAE; 2009. 

  28. NIER(National institu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Ministry of Environment. Sectoral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map: Health. 2nd ed. Inchon: NIER Press; 2013. p.1-126. 

  29. Lee JB, Lee HJ, Moon KJ, Hong SC, Kim DR, Song CK, et al. Vulnerability assessment of human health sector due to climate change: focus on Ozone. J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12; 28(1): 22-38. 

  30. Choi HA, Lee WK, Kwak HB, Choi SH, Byun JG, Yoo SJ, et al. Climate chang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J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09; 11(3): 63-69. 

  31. Yoo SJ, Lee WK, Oh SH, Byun JY.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ublic health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o-tempral information based on GIS. J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12; 20(2): 13-24. 

  32. Hwang HS, Byun BS. Building vulnerability index on climate change: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city. J Korea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Society. 2011; 19(4): 93-119. 

  33. Lee IH, Kim JS, Lee SJ, Kim SD. Validity analysis of the fine particle emission calculating by cars. Appl. Chem. Eng. 2014; 25(2): 222-226. 

  34. Statistics Korea, Subjective Statistics. http://kostat.go.kr [accessed October 2013-January 2014] 

  35. Busan City Hall, http://busanlibrary.busan.go.kr [accessed October 2013-January 2014] 

  3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 [accessed October 2013-January 2014] 

  37. Pandey R, Jha S. Climate vulnerability index-measure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to communities: a case of rural Lower Himalaya, India. Mitig Adapt Stratg Glob Chang. 2012; 17(5): 487-506. 

  38. Parkins JR, MacKendrick NA. Assessing community vulnerability: A study of the mountain pine beetle outbreak in British Columbia, Canada.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007; 17(3): 460-471. 

  39. Lee WJ, Kang JE, Kim YK. The impact of environmental health factors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in a metropolitan city. J Environ Health Sci. 2013; 39(6): 492-504. 

  40. Kim KS, Yang JW, Park MS. Improv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within Busan metropolitan city. Busa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Press; 2004. 2004-6. p.1-1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