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지역 기후변화에 따른 미세먼지의 건강 취약성 평가
Health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M10 due to Climate Change in Incheon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3 no.3, 2017년, pp.240 - 246  

유희종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김정곤 (화학물질안전원) ,  신재원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김영주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민성은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제갈대성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방기인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이성모 (인천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the human health sector to $PM_{10}$ due to climate change in Incheon over the period of 2005-2014. Methods: Vulnerability to $PM_{10}$ consists of the three categories of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부와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PM10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를 감소하고 환경보건분야의 적응대책 수립을 위해 지역특성에 맞는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15-17)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는데 과학적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인천시 10개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역별 PM10에 의한 건강 취약유형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정책평가연구원에서 개발한 VESTAP(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o Buil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프로그램20)을 활용해 인천 지역 10개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PM10이 건강에 미치는 취약 정도를 평가하였다. 기후노출, 민감도 및 적응능력 지표값을 종합적으로 산출해 상대적 취약 정도를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에 위해 필수적인 보건분야 중 PM10의 건강 취약성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개발한 VESTAP 프로그램을 활용해, 2005년부터 2014년 동안 지역별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기후 노출 3개, 민감도 6개, 적응능력 6개 변수에 대한 상대적 건강취약 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즉 기후와 관련된 평균적인 기후 특성, 기후 변동, 극한 기후의 빈도와 크기 등 기후변화의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일 최고기온 평균값, 연평균 PM10 농도값 및 PM10 초과횟수 등으로 인간의 건강 취약성 측면에서 장기적인 적응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제시된 기준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석연료의 문제는? 인류 문명 발달에 중요한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의 연소는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및 미세먼지 증가 등 각종 환경문제를 초래하였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위기를 인류가 앞으로 잘 대처하지 못할 경우 지구 생명체의 멸망을 경고하였다.
WHO가 본 기후변화의 악영향은? 또한,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기후변화로 인한 대표적인 건강위험요인으로 오존층 감소와 폭염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을 주요 원인으로 보았다.8) 입자의 크기가 10 μm 이하인 미세먼지(PM10, Particular Matter less than 10 μm in diameter)는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된 오염물질로서, 기도자극, 폐 기능 감소, 천식 악화, 만성기관지염 발생 등 호흡기 관련질환9-11) 및 부정맥, 경미한 심장마비, 심혈관계 관련질환, 심지어 조기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대하여 과학자들은 생각은?? 인류 문명 발달에 중요한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의 연소는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및 미세먼지 증가 등 각종 환경문제를 초래하였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위기를 인류가 앞으로 잘 대처하지 못할 경우 지구 생명체의 멸망을 경고하였다.1)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4차 보고서에는 온도 상승폭이 1°C 만 되어도 전염병 및 호흡기 질환자수 등이 증가하며, 4~6°C 증가할 경우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급증할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Qin, D; Manning, M; et al.; (ed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996. 

  2. IPCC: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2007 (AR4). 2007. 

  3. Cho HJ, Jang SH, Kim YS. Development of $CO_2$ Emission Estimation Model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 Env Hlth Sci. 2008; 34(4): 316-326. 

  4.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Study on the extreme heat watch warning system (II). 2007. 

  5. Kysel J. Mortality and displaced mortality during heat waves in the Czech Republic. Int J Biometeorol. 2004; 49(2): 91-97. 

  6. Lim YH and Kim H. Climate Change and Health - A System Review of Low and High Temperature Effects on Mortality. J Environ Health Sci. 2011; 37(6): 397-405. 

  7.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t-waves: risks and response, Health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Series, No. 2. Energy,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2014. 123. 

  8. WHO. Using climate to predict infectious disease outbreak: a review.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ss; 2004. 37-42. 

  9. Canova C, Dunster C, Kelly FJ, Minelli C, Shah PL, Caneja, et al. PM10-induced hospital admissions for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modifying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Epidemiology. 2012; 23(4): 607-615. 

  10. Faustini A, Stafoggia M, Cappai G, Forastiere F. Short-term effects of air pollution in a cohort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pidemiology. 2012; 23(6): 861-879. 

  11. Ostro B, Roth L, Malig B, Marty M. The effects of fine particle components on respiratory hospital admissions in children. Environ Health Perspect. 2009; 117(3): 475-480. 

  12. Colais P, Faustini A, Stafoggia M, Berti G, Bisanti L, Cadum E, et al. EPIAIR Collaborative Group.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hospital admissions for cardiac diseases in potentially sensitive subgroups. Epidemiology. 2012; 23(3): 473-481. 

  13. Katsouyanni K, Samet JM, Anderson HR, Atkinson R, Le Terte A, Medina S, et al. HEI Health Review Committee. Air pollution and health: a European and North American approach (APHENA). Res Rep Health Eff Inst. 2009; 142: 5-90. 

  14. Goodman PG, Dockery DW, Clancy L. Cause-specific mortality and the extended effects of particulate pollution and temperature exposure. Environ Health Perspect. 2004; 112(2): 179-185. 

  15. Yoo GY, Kim I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Seoul: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8. RE-05. 1-88. 

  16. Go, JK. A study of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in Gyeonggi-do. Gyeonggi: Gyeongggi Research Institute; 2009. Policy research 2009-37. 1-184. 

  17. Lee WJ, Hwang MJ, Kim YK. Health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M_{10}$ in Busan. Environ Health Perspect. 2014; 40(5): 355-366. 

  18. Inche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http://ecopia.incheon.go.kr 

  1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 

  20. Korea Environment Institute, http://www.kei.re.kr 

  21. IPCC. Climate change 2007: Impact,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Genev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22 

  22. National Air Pollutants Emission Service, http://airemiss.neir.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