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Murine Macrophage RAW 264.7 세포에서 구실잣밤나무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Castanopsis cuspidata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7 no.5, 2014년, pp.439 - 446  

고영종 ((재)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송상목 ((재)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  현우철 ((재)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양수경 ((재)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송창길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식물자원환경전공) ,  이동선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응용생명공학전공) ,  윤원종 ((재)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실잣밤나무(C. cuspidate) 잎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이 염증성 매개인자 생성 저해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짐에 따라, 구실잣밤나무를 대상으로 80% 에탄올를 가지고 추출한 후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구실잣밤나무 80%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들이 염증반응의 주체가 되는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억제효과, 그리고 iNOS와 COX-2의 mRNA와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 및 IL-6와 IL-$1{\beta}$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효과 등을 알아보았다.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에 LPS로 자극을 주고 구실잣밤나무 8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여 확인해본 결과,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NO의 생성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는 iNOS와 COX-2 생성 억제 효과가 다른 분획물에 비해 강하게 나타났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능도 8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이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IL-6와 IL-$1{\beta}$에서 생성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실잣밤나무 잎에서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염증 물질의 연구 또는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구실잣밤나무 추출물로부터 염증억제 성분을 도출하고자 활성분획인 디클로로 메탄 분획물에 대하여 활성성분의 분리가 진행 중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stanopsis cuspidata extracts. C. cuspidata was extracted using 80%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butanol. To screen for anti-inflammatory agents effect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0). 본 연구에서는 자원 식물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구실잣밤나무 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 될 수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기능성을 밝히고자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추출물 및 분획물을 가지고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성 매개인자인 NO의 생성억제 효과 및 iNOS 그리고 COX-2 생성 억제 효능 및 염증성 cytokine 인 IL-1β와 IL-6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반응이 지속될 경우 악영향은? , 2006). 그러나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도리어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이끈다(Yoon et al., 2010; Nam et al, 2013).
pro-inflammatory cytokine 형성 이후의 염증반응 기작은? , 2006; Kim and Moudgil, 2008). 또한 이러한 염증매개 물질의 형성은 phospholipase A2의 활성으로 인해 arachidonic acid가 prostaglandin으로 바뀌는 과정 및 NO형성 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McDaniel et al., 1996; Park et al, 2014).
염증반응이란? 염증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세균감염 등의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이며,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histamine, serotonine, bradykinin, prostaglandins (PGs), hydroxyeicosatetraenoic acid (HETE), leukotriene과 같은 혈관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면서 염증을 유발한다(Tizard et al., 1986;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Ding, C., F. Cicuttini, J. Li and G. Jones, 2009. Targeting IL-6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and autoimmune diseases. Expert Opin Investig Drugs. 18:1457-1466. 

  2. Heo, S.J., W.J. Yoon, K.N. Kim, G.N. Ahn, S.M. Kang, D.H. Kang, A. Affan, C. Oh, W.K. Jung and Y.J. Jeon. 2010.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fucoxanthin isolated from brown algae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Food Chem. Toxicol. 48:2045-2051. 

  3. Jeong, J.B., S.C. Hong, H.J. Jeong and J.S. Koo.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Cnidium officinale Makino on LPS-stimulated RAW 264.7 and THP-1 cells. Kor. J. Plant Res. 25:299-307. 

  4. Kang, J.T., N.C. Park and Y.G. Chung. 2002. Effects of the soil properties on growth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Dendropanax morbifera stands in warm temperate forest zone. J. Korea For. Soc. 91:679-689. 

  5. Kim J.Y., K.S. Jung and H.G. Jeong. 2004. Suppressive effects of the kahweol and cafestol on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macrophages. FEBS Lett. 56:321-326. 

  6. Kim, E.Y. and K.D. Moudgil. 2008. Regulation of autoimmune inflammation by pro-inflammatory cytokines. Immunol. Lett. 120:1-5. 

  7. Kim, J.H., R.A. Bachmann and J. Chen. 2009 Interleukin-6 and insulin resistance. Vitam Horm. 80:613-633. 

  8. Lee, H.J., E.A. Hyun, W.J. Yoon, B.H. Kim, M.H. Rhee, H.K. Kang, J.Y. Cho and E.S. Yoo. 2006. In vitro anti 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innamomum camphora extracts. J Ethnopharmacol. 103:208-216. 

  9. Lee, S.J., K.W. An, T.S. Choi, H.S. Jung, J.H. Moon and K.H. Park. 2010.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ut. Korean J. Food Preserv. 17:139-144. 

  10. McDaniel M.L., G. Kwon, J.R. Hill, C.A. Marshall and J.A. Corbett. 1996. Cytokines and nitric oxide in islet inflammation and diabetes. Proc. Soc. Exp. Biol. Med. 211:24-32. 

  11. Mu M.M., D. Chakravortty, T. Sugiyama, N. Koide, K. Takahashi, I. Mori, T. Yoshida and T. Yokochi. 2001. The inhibitory action of quercetin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J. Endotoxin Res. 7:431-438. 

  12. Nam, J.H., J.C. Jeong, O.K. Kwon, S.Y. Hong, S.J. Kim, H.B. Soh, J.N. Lee, K.T. Lee and H.J. Park. 2013.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eel extracts in color-fleshed potatoes. Kor. J. Plant Res. 26:533-538. 

  13. Park G.H., J.H. Park, H.J. Eo, H.M. Song, M.H. Lee, J.R. Lee and J.B. Jeong. 2014.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extract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Kor. J. Plant Res. 27:209-214. 

  14. Ren, K. and R. Torres. 2009. Role of interleukin-1beta during pain and inflammation. Brain Res Rev. 60:57-64. 

  15. Ryu J.H., H. Ahn, J.Y. Kim and Y.K. Kim. 2003.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 Phytother Res. 17:485-489. 

  16. Tizard I.R. 1986. Immunology: An introduction inflammation. 2nd ed., Saunders College Publishing, New York, USA. pp. 423-441. 

  17. Yoon, W.J., J.Y. Moon, G. Song, Y.K. Lee, M.S. Han, J.S. Lee, B.S. Ihm, W.J. Lee, N.H. Lee and C.G. Hyun. 2010. Artemisia fukudo essential oil attenuates LPS-induced inflammation by suppressing NF-kappaB and MAPK 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Food. Chem. Toxicol. 48:1222-122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