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읽기 및 쓰기 학습 부진 아동을 위한 학습치료 프로그램 효과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Effect of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0, 2014년, pp.393 - 402  

최은실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및 쓰기 학습 부진을 가진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학습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초학력검사(KISE-BAAT)를 실시하여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가진 다문화 아동을 선별하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읽기 및 쓰기 학습 부진 아동 17명 중, 부모와 아동의 동의를 얻어 9명은 학습치료 프로그램 집단에 8명은 통제 집단에 배정하였다. 학습치료 프로그램은 상향식 접근을 근간으로 하고 직접 교수법을 사용하여 학습치료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주 1회 총 16회기(4개월)로 구성되었다. 읽기 쓰기 능력에 대한 효과 비교에서 학습치료 프로그램 집단은 사후 평가에서 읽기와 쓰기 능력에서 향상이 있었으며, 통제 집단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testify the effect of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used in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들을 방과 후에 부모가 귀가할 때 까지 돌봐주는 학교 방과 후 교실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진행은 참여를 희망하는 다문화 아동 중, 읽기 및 쓰기 능력에 어려움을 가진 9명을 선별하여 개별로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자와 학습치료사 2인이 각 1인당 3명의 아동을 학습치료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글 읽기/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실험군에는 다문화 아동을 위한 읽기/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어떠한 처지도 실시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한글 읽기/쓰기 어려움으로 인해 학업적/ 정서적/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쓰기 능력 향상시킴으로써 그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자 한다.
  • 읽기, 쓰기, 수학의 3개 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형과 나형 2종의 동형 검사로 구성되어 있어 교육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효과, 일반화 및 전이 효과 측정에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는 가형을 그리고 사후에는 나형의 검사를 사용하여 반복검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의 워험성을 배제하였다. 내적 합치도는 읽기가 .
  • 아동들의 이와 같은 한글 학습이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건강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한글 학습치료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의 한글 학습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학습능력의 향상을 높여주기 위해 한글 읽기/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의 건강한 적응을 도모하고자 한글 읽기/쓰기 능력을 향상 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 하나는 음운중심의 상향식 방법으로 음운 중심으로 낱자와 소리를 가르치는 방식이며 음소-글자의 대응원리를 기초로 한다. 효율적인 읽기/쓰기를 위해서 음소와 글자의 대응 원리를 익혀 정확히 읽고 쓰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다. 음운 중심의 상향식 교육 방법은 글자의 변별 훈련과 음운 법칙에 대한 훈련이 주요 내용이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한 영향은?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의 비율이 높아 지고 다문화 가정의 자녀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2년 통계청의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자료에 의하면, 전체 혼인(327,073건)에서 다문화 혼인의 비율이 8.
어머니가 외국인이라는 점은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다문화 가정의 80%가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로 구성되어 있어, 자녀 양육의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어머니가 외국인이라는 점은 여러 가지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어머니의 서툰 한국어 능력으로 인해 다문화 자녀는 영유아기 부터 적절한 한국어 자극을 제공받지 못하여 제한된 언어능력을 가지게 되고 결국 학령기에 이르러 여러 학업적/정서적/사회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실제로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이 일반 가정 유아에 비해 지체되고[2], 어휘력이 부족하며, 읽기 유창성과 쓰기 능력이 떨어지고 발표하기와 같은 표현 능력에서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5].
다문화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은?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읽기/쓰기 능력이 부족한 아동과 유능한 아동의 격차는 현격히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9], 한글 읽기/쓰기 능력의 부족은 단순히 언어능력이나 학습부진의 문제를 넘어서 다양한 정서문제와 사회부적응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10]. 즉, 다문화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학업 성취를 위한 한글 읽기/쓰기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아동의 한글 학습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고 수준에 맞는 적절한 학습 치료적 지원은 아동의 인지 기능의 향상뿐만 아니라 심리·정서적 안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ko/5/2/index.board?bmoderead&aSeq310456 

  2. 정은희, "농촌 지역 국제 결혼 가정 아동이 언어 발달과 언어환경", 언어치료연구, 제12권, 제3호, pp.33-52, 2007. 

  3. 안원석, 다문화 가정 자녀의 표현 실패 분석, 한국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 김선정, 강진숙, "다문화가정 자녀의 어휘력 고찰", 이중언어학, 제40권, pp.31-55, 2009. 

  5. 김종철, "다문화 가정 자녀의 행동특성 분석을 통한 교수전략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277-283, 2009. 

  6. 김지애, "초등학교 입학 전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학습도구어 선정 및 교육", 이중언어학, 제44권, pp.129-155, 2010. 

  7.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54&tblIdDT_MOGE_1001300350&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8. 이재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실태 연구: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8. 

  9. H. S. Scarborough and J. D. Parker, Matthew effects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Development of reading, IQ, and psychosocial problems from grade 2 to grade 8. Annals of Dyslexia, Vol.53, pp.47-71, 2003. 

  10. 구효진, 박경란, 최진선, "농어촌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 및 정서.사회성 발달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44권, 제3호, pp.355-374, 2009. 

  11. 양심영, 박수경, 김미숙,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특성 및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70-282, 2013. 

  12. 전병운, 고진복, "메타분석을 이용한 특수교육 요구 아동의 음운중심 읽기지도와 의미중심 읽기 지도 연구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제99권, 제4호, pp.151-169, 2007. 

  13. 김정오, 김재갑, "한글 단어재인에 있어서 글자 처리와 낱자의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제4권, 제1호, pp.36-51, 1992. 

  14. 이문정, "한글의 문자 특성에 적합한 유아 읽기, 쓰기 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69-192, 2004. 

  15. 송종용, 원호택, "한글 독해 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단기기억, 읽기속도, 통사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7권, 제2호, pp.105-121, 1998. 

  16. 양민화, "읽기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연구-다섯가지 교수영역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제27권, 제1호, pp141-159, 2008. 

  17. T. R. Blair, W. H. Rupley, and W. D. Nichols, The effective teacher of reading: Considering the "what" and "how" of instruction, The Reading Teacher, Vol.60, pp.432-439, 2007. 

  18. 이수진,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읽기.쓰기 통합교육 방안,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9. 전형길, 김승연, 노정은, "의성어, 의태어를 활용한 결혼이민자의 자녀 교육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1. 

  20. 원진숙,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언어 교육 프로그램", 한국초등국어교육, 제40호, 제6호, pp.157-188, 2009. 

  21.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한국웩슬러 아동지능검사 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22. 박경숙, 김계옥, 송영준, 정동영, 정인숙, 국립특수교육원 기초학력검사 읽기/쓰기 검사요강, 서울: 국립특수교육원, 2005. 

  23. 박현정, 읽기학습부진 위험군 아동의 조기선별 및 조기개입의 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24. 송은희, 유아의 한글쓰기 학습에서 음운중심 쓰기와 통글자 쓰기 지도에 대한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5.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seco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6. http://kess.kedi.re.kr/index 

  27. 이종숙, 조희정, "읽기부진아동을 위한 읽기 게임 프로그램과 직접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5권, 제1호, pp.77-99, 2012. 

  28.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2010. 

  29. 김동일, 정광조, "직접교수 한글읽기프로그램이 읽기학습부진 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1권, 제3호, pp.149-169, 2005. 

  30. 홍영숙,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 문제와 시사점,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1. 한미숙,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호남신학대 기독교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