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 다문화 가정 학습 부진 학생 교과 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Educational Support for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ith Reference to Basic Academic Competency of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5, 2016년, pp.361 - 374  

구영산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에 해당된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0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147명의 다문화가정 학생과 전국의 320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3,760명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이들의 학습부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학습 일반'과 '학습 환경'으로 나누어 설문 문항에 반영하였다. 문항 타당도 검증을 거친 뒤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습부진', '학교 급(초등학교 중학교)', '출생지'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부진' 변인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및 중학교 다문화가정 학생 모두 학습 동기, 학습 전략, 학습지원에 대한 거의 모든 문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 환경 중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에게 부모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학교의 경우 사회적 관계가 주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학교 급' 변인과 관련하여 초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학습 동기 측면에서 긍정적이며 교사 및 교우와의 학습 또한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등학생은 교사의 학습 지원을 중학생은 교우의 학습 지원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출생지' 변인과 관련하여 국내 출생 다문화가정 학생에 비해 중도 입국 다문화가정학생에게 보다 면밀한 언어적, 정서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부모 나라의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균형감 있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및 중학교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육 지원 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gain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to support LPSMBs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procedure involved surveying students about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 학업 성취도 평가에 따르면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은 어떠한가? 그러나 신진아 등에 의하면 초·중·고 다문화 가정 학생 집단이 일반 가정 학생 집단에 비해 기초 학력 미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 국가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교과별 학업 성취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다문화 가정 학생의 우수 학력 비율이 낮아지는 반면, 기초 학력 미달 비율은 높아지는 특징이 드러난다. 더불어 다문화 가정 학생 중에서도 중도 입국 학생은 한국에 입국한 시기 및 개인별 특징에 따라 학습 편차가 크고 국내 출생 다문화 가정 학생에 비해서도 전반적으로 부진한 학업 성취 결과를 보인다.
학습 환경과 관련하여 다문화 가정 학생이 부딪치는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인가? 다음으로, 학습 환경과 관련하여 다문화 가정 학생이 부딪치는 가장 큰 어려움은 한국어 사용이다[11-13]. 부모의 제한된 한국어 능력과 한국어 사용 환경에 자연 럽게 노출되지 않았던 성장 배경은 생활과 학습을 지탱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한국어 능력을 기대하기 어렵게 한다[14].
다문화 가정의 교육적 문제는 무엇인가? 이민자의 증가와 함께 국내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의 학생 수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1]. 새로운 학습자 집단의 출현은 이들과 관련된 새로운 교육적 문제 상황을 야기하는데 그 중 하나가 학습 부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교육부, 2015년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 교육부 다문화교육지원팀, 2015. 

  2. 오상철, 이화진, 장경숙, 구영산, 다문화 학습부진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보고 PRI 201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3. 구영산, 이화진, 이혜원, 장의선,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보고 PRI 2014-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4. 구영산, "다문화 예비학교의 대상자 선정에 대한 연구: 중학교 장(場)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제42권, 제3호, pp.35-69, 2015. 

  5. 구영산, "다문화 배경 중도입국 청소년을 고려한국어 기초학력 개념의 보완 방안," 선청어문, 제42권, 제0호, pp.161-185, 2015. 

  6. 신진아, 김경희, 박상욱, 김영란, 이정우, 서민철, 조윤동, 김현경, 이영주, 최숙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의 교과별 성취 특성 분석, 연구보고 PRE 2012-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7. 김수동, 이화진, 유준희, 임재훈,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제 7과제: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연구, 연구보고 RRC 98-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8. 오상철, 이화진, 김태은, 노원경, 김영빈, 학습부진 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 연구: 강점 기반 학습도움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 RRI 2011-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9. P. A. Spevak and M. Karinch, Empowering Underachievers: New Strategies to Guide Kids to Personal Excellence, NJ: New Horizon Press, 2006. 

  10. 류방란, 김경애, 이재분, 송혜정, 강일국, 중등교육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보고 RR 2012-01, 한국교육개발원, 2012. 

  11. 원진숙,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언어교육, 원진숙(편),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 교육, 사회평론, 2010. 

  12. 송현정, 양정실,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정책 방향 연구, 연구보고 RRI 2010-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3. 구영산, "다문화 특별학급 학습자의 공간 인식과 언어 학습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 제54집, pp.7-35, 2014. 

  14. 조영달, 윤희원, 박상철,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 실태 조사,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교육인적자원부, 2006. 

  15. 오성배,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제32권, 제3호, pp.61-83, 2005. 

  16. 정하성, 유진이, 이장현, 다문화 청소년 이해론, 서울: 양서원, 2007. 

  17. 김정원, 이혜영, 배은주, 허창수, 외국인 근로자 자녀 교육복지 실태 분석 연구, 연구보고 RR 2005-5, 한국교육개발원, 2005. 

  18. 조영달, 구정화, 이혁규, 다문화 가정 학생 DB 현황 및 유형별 교육 요구 분석, 교육과학기술부, 2009. 

  19. 백병부, 강세창, 김선혜, 신수희, 신호현, 이욱범, 정경숙, 정선희, 학습부진학생지도 전담강사 운영 실태 및 성과 분석 연구, 정책 연구보고 2011-58,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1. 

  20. 오상철, 이화진, 장경숙,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지원 연구: 학교-지역사회 연계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 2012-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1. C. E. Sleeter and C. A. Grant, 문승호, 김영천, 정정훈(역), 다문화 교육의 탐구: 다섯 가지 방법들, 아카데미프레스, 2009. 

  22. 이화진, 오상철, 김태은, 김영빈,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성과 분석 및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지원 체제, 연구보고 CRI 2011-10,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2011. 

  23. 이화진, 김민정, 이대식, 손승현, 학습부진학생 지도.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 연구보고 RRI 2009-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