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Integrated Home Car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5, 2014년, pp.543 - 552  

박종덕 (국민건강보험공단) ,  정덕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tegrated evaluation indicators of home care services in the hope that the increasing group of long-term home care patients could receive quality care services. Methods: The development involves a methodological study on a development phase and a 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가정방문급여의 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평가지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통합가정방문급여 제공기관의 질 관리 및 향상 목적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아울러 간호와 요양을 통합한 대상자 중심의 재가장기요양급여가 제공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추가된 방문간호 평가지표의 적용결과, 평가지표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추가된 방문간호 평가지표는 본 연구대상기관이 통합가정방문 급여 기관이었기 때문에 이미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내에서 급여 제공자가 대상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제공하는 방문간호, 방문요양 및 방문목욕 급여의 질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를 적용한 평가를 실시하여 평가지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통합가정방문급여 제공기관의 질 관리 및 향상 목적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아울러 간호와 요양을 통합한 대상자 중심의 재가장기요양급여가 제공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통합가정방문급여 평가지표를 적용한 평가결과로서 기관별 통합급여의 수준뿐만 아니라 현 평가체계에 따른 간호와 요양급여의 질 수준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문간호, 방문 요양, 방문목욕을 통합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통합가정방문 급여 제공기관의 질 관리와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며, 통합가정방문급여가 필요한 이용자와 가족의 삶의 질 유지 및 기관 선택에 기여하고자 한다. 아울러 간호와 요양을 통합한 대상자 중심의 재가장기요양급여가 제공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그러나 지속적인 방문간호의 감소로 이어지는 통합가정방문 급여 제공기관의 감소 또한 대상자의 의료요구도가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냈다(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문간호, 방문 요양, 방문목욕을 통합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통합가정방문 급여 제공기관의 질 관리와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며, 통합가정방문급여가 필요한 이용자와 가족의 삶의 질 유지 및 기관 선택에 기여하고자 한다. 아울러 간호와 요양을 통합한 대상자 중심의 재가장기요양급여가 제공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어떤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는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2008년 7월부터 실시된 후 대상자들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사회 ․ 경제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장기요양급여를 받는 노인이 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현시점에서 제도 도입의 성과를 되돌아본다면 일자리 창출에는 크게 기여했으나 서비스는 질적으로 낮게 유지되어서 장기요양대상자의 건강수명 향상과 신체기능개선 등의 질 향상 목적으로 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Moon, 2011). 주목할 것은 위에 언급한 문제점 외에 재가장기요양기관의 급여전달체계가 방문요양급여로 집중하는 체계로 심화된다는 사실이다.
노인장기요양 보험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주목할 것은 위에 언급한 문제점 외에 재가장기요양기관의 급여전달체계가 방문요양급여로 집중하는 체계로 심화된다는 사실이다. 노인장기요양 보험법에서는 노인 등의 심신이나 건강상태 악화 등의 예방 목적으로 ‘의료급여와 연계한 급여제공’을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방문간호와 방문요양 또는 방문목욕급여를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방문요양은 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 H. S., Whang, I. S., Kyung, M. H., & Kim, H. J. (2008).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weighting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long-term care benefits for the elderly. Seoul: Korea University. 

  2. Brueggemann, J., Becher, U., Coners, E., Fischer, W., Gerber, H., Kimmel, A., et al. (2012). 3. Bericht des mds nach 114a abs. 6 sgb XI. qualitaet in der ambulanten und stationaeren pflege. Koeln: Asmuth druck & Crossmedia Gmbh & Co. KG. 

  3. Donabedian, A. (1980).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in exploration in quality assessment and monitoring. Ann Arbor, MI: Health Administration Press. 

  4. Fonds Soziales Wien. (2008). Qualitaets-handbuch ambulant . Wien: Author. 

  5. Im, J. Y., Kim, E. J., Choi, K. W., Park, J. D., & Noh, W. J. (2011). Home nursing services activation plan for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6. Kwon, J. H., Han, E. J., & Lee, J. S. (2009). Improvement of longterm care benefits management with focus on standard benefit model development. Report No.:2009-33.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7. Lee, E. O., Im, N. Y., & Park, H. A. (1998).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of nursing and medical care. Seoul: Soomoonsa. 

  8. Lee, T. W., Ko, Y. K., Kim, B. N., Kim, H. C., Lee, I. S., Jung, S. H., et al. (2011). Development of clinical performance and clinical indicator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South-Korea. Seoul: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9.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6), 382-385. 

  10. MDS & Gesetzliche Krankenversicherung-Spitzenverband. (2009). Grundlagen der mdkqualitaetspruefungen in der ambulanten pflege. Koeln: Asmuth druck & Crossmedia Gmbh & Co.KG. 

  11. Medizinischer Dienst des Spitzenverbandes Bund der Krankenkassen e. V. (2011). Evaluation der transparenzvereinbarungen. abschlussbericht-quantitative und qualitative auswertung der transparenzergebnisse der medizinischen dienste fur die stationare und ambulante pflege. Essen: Author. 

  1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Law for the evaluation for the long-term care institution. Report No.:2010-39. Seoul: Author.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a). The way to achieve a sustainability of long-term care system: 3rd anniversary ceremony and international symposium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Seoul: Author.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b). Long-term care benefit notification. Report No.:2011-72. Seoul: Author.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c). Law for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enforcement decree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enforcement rules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Seoul: Author. 

  16. Moon, C. J. (2011). Current guideline and orient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in South Korea. 3rd anniversary ceremony & international symposium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17. Mukamel, B., Watson, N. M., Meng, H., & Spector, W. D. (2003). Development of a risk-adjusted urinary incontinence outcome measure of quality for nursing homes. Medical Care. 41 (4), 467-478.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Evaluation of long-term home-care institutions 2010. Seoul: Author. 

  19.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Long-term care insurance key statistic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tatistics. Seoul: Author. 

  2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2). OECD reviews of health care quality: Korea-raising standards.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9789264173446-en 

  21. Shelley, S. I. (1984). Research methods in nursing and health. Boston, Little: Brown. 

  22. Yoon, J. L. (2013). Improvement direction for long-term care system for the elderly-perspective of health care. 2013 Inaugural meeting and commemoration seminar of the Institute of Korean Long-term care: The Korean academy of longterm care. 72-93.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