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DIS 시계열 자료(2001~2011) 및 Timesat 알고리즘에 기초한 남한 지역 식물계절 분석
A Phenology Modelling Using MODIS Time Series Data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no.3, 2014년, pp.186 - 193  

김남신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조용찬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오승환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권혜진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경순 (국립생태원 생태평가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광역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식물계절학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물계절학적 특징 분석은 현장 관찰 자료의 분석을 위한 전반적인 식물계절 경향성 및 변동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현장 관찰 값과 광역 식물계절 관측 값의 연결을 통하여 광역 수준에서 보다 정밀도 높은 식물 계절현상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의 기반이 된 MODIS EVI 자료는 Timesat Algorithms의 double logistic function으로 평활화시켜 분석하였다. 제주${\rightarrow}$남해안${\rightarrow}$지리산${\rightarrow}$소백산${\rightarrow}$설악산의 위도 분포에 따라 식물계절 시작일은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11년간 주요 산림 지역에서의 식물 계절 시작은 해마다 시작일에 다르게 나타나는 연변동의 특징을 보였다. 변동 자료를 고차다항식으로 변형한 결과, 제주도는 연간 0.38일, 소백산지역은 0.174일 계절 시작이 늦어지고, 남해안은 0.32일, 지리산은 0.239일, 설악산 지역은 0.119일 개엽일이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식물계절 시작 시기의 특징을 공간적으로 살펴보면, 주요 산림 지역은 늦어지고, 분지나 산록의 남사면지역에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제주도의 남서해안 및 북동해안 사면지역, 동남해안 지역이 빠른 경향을 보였다. 행정구역별 식물계절 시작 시기를 분석한 결과, 2001년에는 서울과 경기도, 동해안, 남해안, 마산, 창원, 밀양, 대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빠르게 시작되었다. 이는 서울, 경기도, 마산, 창원, 밀양, 대구 등의 도시지역은 도시화에 따른 기온상승의 영향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경향은 2005, 2010년에도 같은 경향으로 보이고 있어 도시화가 식물계절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간적 규모인 10년 이내에서는 기후변동에 따른 식물계절 현상의 변이성을 잘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식물계절 모니터링 기법은 30년 이상의 보다 장기적인 자료를 축적을 통하여 기후변화 양상에 따른 생물 계절 현상 변화와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patio-temporal trends of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by using MODIS EVI. For the phenology analysis, we had applied double logistic function to MODIS time-series data. Our results showed that starting date of phenology seems to have a tendency along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ODIS 영상의 해상도를 이용하여 식물개화 탐색은 현장 모니터링 자료와 영상 픽셀단위별로 장기적으로 추적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종 수준의 개엽 및 개화 현상을 분석하기보다는, 우리나라의 식물 개엽 현상의 공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광역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식물계절학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물계절학적 특징 분석은 현장 관찰 자료의 분석을 위한 전반적인 식물계절 경향성 및 변동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현장관찰 값과 광역 식물계절 관측 값의 연결을 통하여 광역 수준에서 보다 정밀도 높은 식물 계절현상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계절 시기가 지구온난화의 주요 지표로 활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결과, 지역 단위의 관측 자료 축적이 부족하여 환경 및 생태적 문제에 대한 원인 진단 및 대안을 마련하는 데 한계점을 보여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식물계절 시기는 지역 및 국가 단위에서 매년 반복되는 계절 변화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의 주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Sherry et al., 2007; Kim and You, 2010).
식물계절 현상을 측정하는 가장 주요한 지표들은 무엇인가? 현장 자료를 통한 국가 또는 지역 차원의 계절성 변동 (variation) 및 변화 (change)를 분석하는 것은 공간 규모의 한계로 인하여 공간 특성 및 환경 구배에 의한 식물계절의 양상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식물의 개엽(budding) 또는 개화(flowering)는 식물계절 현상을 측정하는 가장 주요 지표들이다. 현재까지 식물학과 관련된 계절의 시작 및 개화에 대한 연구는 현장 관찰을 통한 자료수집과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지구온난화 문제를 주로 거시적인 측면에서 다룬 결과 나타난 한계점은 무엇인가? 한편 지구온난화 문제는 주로 거시적인 측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 결과, 지역 단위의 관측 자료 축적이 부족하여 환경 및 생태적 문제에 대한 원인 진단 및 대안을 마련하는 데 한계점을 보여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식물계절 시기는 지역 및 국가 단위에서 매년 반복되는 계절 변화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의 주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Sherr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ebee, T.J.C. 1995. Amphibian breeding and climate. Nature 374: 219-220. 

  2. Brown, J.L., S.H. Li and N. Bahagabati. 1999. Long-term trend toward earlier breeding in an American bird: a response to global warm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6: 5565-5569. 

  3. Cayan, D.R. 2001. Changes in the onset of spring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2: 399. 

  4. Costanza, Z., J.A. Andresen and J.A. Flore. 2006. Phenological models of flower bud stages and fruit growth of 'Montmorency' sour cherry based on growing degree-day accumul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31(5): 601-607. 

  5. Crick, H.Q.P. and T.H. Sparks. 1999. Climate related to egg-laying trends. Nature 399: 423-424. 

  6. Fisher, J.I., A.D. Richardson and J.F. Mustard. 2007. Phenology model from surface meteorology does not capture satellite-based greenup estimations. Global Change Biology 13: 707-721. 

  7. Gibbs, J.P. and A.R. Breisch. 2001. Climate warming and calling phenology of frogs near Ithaca, New York, 1900-1999. Conservation Biology 15: 1175-1178. 

  8. Hird, J. and G.J. McDermid. 2009. Noise reduction of NDVI time series: An empirical comparison of selected techniqu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1): 248-258. 

  9. Jonsson, A.M., L. Eklundh, M. Hellstrom, L. Barring and P. Jonsson. 2010. Annual changes in MODIS vegetation indices of Swedish coniferous forests in relation to snow dynamics and tree phenolog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 2719-2730. 

  10. Jonsson, P. and L. Eklundh. 2002. Seasonality extraction by function fitting to time-series of satellite sensor data.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0: 1824-1832. 

  11. Jonsson, P. and L. Eklundh. 2003. Seasonality extraction from time-series of satellite sensor data. In Frontiers of Remote Sensing Information Processing, C.H. Chen (Ed.): 487-500. 

  12. Jonsson, P. and L. Eklundh. 2004. TIMESAT - a program for analysing time-series of satellite sensor data. Computers and Geosciences 30: 833-845. 

  13. Kim, N.S., H.C. Lee and J.Y. Cha. 2013. A study on changes of phe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using MODIS images.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5): 59-69. 

  14. Lee, K., H.J. Baek, C.H. Cho and W.T. Kwon. 2011. The recent (2001-2011) changes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related to normals (1971-2000) in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5: 237-248. 

  15. Lee, S.K. 2011. An Analysis on the effects and Vulnerability of Vegetation Distribution caused by Temperature increase, a Master's degree, Kyunghee University. 

  16. Li, M., Z. Wu, L. Qin and X. Meng. 2011. Extracting vegetation phenology metrics in Changbai Mountains using an improved logistic model.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21(3): 304-311. 

  17. Parmesan, C. and G. Yohe. 2003. A globally coherent fingerprint of climate change impacts across natural systems. Nature 421: 37-42. 

  18. Parmesan, C. 2006. Ecological and evolutionary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7: 637-669. 

  19. Root, T.L., J.T. Price, K.R. Hall, S.H. Schneider, C. Rosenzweig and J.A. Pounds. 2003. Fingerprints of global warming on wild animals and plants. Nature 421: 57-60. 

  20. Sherry, R.A., X. Zhou, S. Gu, J.A. Arnone, D.S. Schimel, P.S. Verburg, L.L. Wallace and Y. Luo. 2007. Divergence of reproductive phenology under climate warm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4(1): 198-202. 

  21. Sparks, T.H. and P.D. Carey. 1995. The responses of species to climate over two centuries: An analysis of the Marsham phenological record, 1736-1947. Journal of Ecology 83: 321-329. 

  22. Stenseth, N.C. and A. Mysterud. 2002. Climate, changing phenology, and other life history traits: Nonlinearity and match-mismatch to the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9: 13379-13381. 

  23. Tan, B., J. Morisette, R. Wolfe, F. Gao, G. Ederer, J. Nightingale and J. Pedelty. 2011. An Enhanced TIMESAT Algorithm for Estimating Vegetation Phenology Metrics From MODIS Data.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4(2): 361-371. 

  24. Walther, G.R., E. Post, P. Convey, A. Menzel, C. Parmesan, T.J.C. Beebee, J.M. Fromentin, O. Hoegh-Guldberg and F. Bairlein. 2002. Ecological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Nature 416: 389-395. 

  25. Wang, E.L. and T. Engel. 1998. Simulation of phenological development of wheat crops. Agricultural Systems 58(1): 1-24. 

  26. Zhang, X., M.A. Friedl and C.B. Schaaf. 2006. Global vegetation phenology from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Evaluation of global patterns and comparison with in situ measurements. Journal of Geophyscial Research 111: 1-14. 

  27. Zhang, X., M.A. Friedl, C.B. Schaaf and A.H. Strahler. 2004. Climate controls on vegetation phenological patterns in northern mid- and high latitudes inferred from MODIS data. Global Change Biology 10: 1133-1145. 

  28. Zhang, X., M.A. Friedl, C.B. Schaaf, A.H. Strahler, J.C.F. Hodges, F. Gao, B.C. Reed and A. Huete. 2003. Monitoring vegetation phenology using MOD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4: 471-4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