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and Purple Kohlrabi Ju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5, 2014년, pp.601 - 608  

김단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오지원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종석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영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인재 ((주) 휴럼 중앙연구소) ,  조주현 ((주) 휴럼 중앙연구소)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pH 및 $^{\circ}Bx$),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ORAC 지수,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RAP 및 reducing power), 아질산염 소거능,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 및 ROS 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녹색 콜라비 착즙액(153.74 mg GAE/mL)에서 자색 콜라비 착즙액(122.55 mg GAE/mL)보다 더 높게 나타난 반면, ORAC 지수의 경우 자색 콜라비 착즙액($664.32{\mu}MTE/mL$ )에서 녹색 콜라비 착즙액($572.74{\mu}MTE/m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RAP 및 reducing power에서는 콜라비 착즙액 10, 50, 100%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농도로 비교하였을 때, 녹색 콜라비 착즙액에서 자색 콜라비 착즙액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녹색 콜라비 착즙액이 자색 콜라비 착즙액보다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는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을 동결 건조하여 사용하였으며 10, 25, $50{\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10{\mu}g/mL$의 농도에서는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에서 hydrogen peroxide를 처리한 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25, $50{\mu}g/mL$의 농도에서는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보효효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녹색 콜라비 착즙액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항산화 물질인 NAC 수준까지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H_2$-DCFDA 염색을 통하여 관찰한 ROS 생성 억제 효과는 세포 보호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이 다양한 항산화 모델에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세포 보호 효과 및 ROS 생성 억제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kohlrabi juice (GKJ) and purple kohlrabi juice (PKJ) using various in vitro methods. The result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3)Each value is mean±SD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라비란? 콜라비(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kohlrabi)는 양귀비목 (Papaveraceae) 배추(Brassicaceae)과에 속하는 저온성 2년생 초본의 줄기비대 채소로서, 순무양배추 혹은 구경양배추라고 불린다. 품종은 아시아군과 서유럽군으로 분류되며, 아시아군의 경우 잎의 색깔이 회색을 띤 녹색이고 구경은 녹색으로 표면이 거칠다.
콜라비의 아시아군 품종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gongylodes, kohlrabi)는 양귀비목 (Papaveraceae) 배추(Brassicaceae)과에 속하는 저온성 2년생 초본의 줄기비대 채소로서, 순무양배추 혹은 구경양배추라고 불린다. 품종은 아시아군과 서유럽군으로 분류되며, 아시아군의 경우 잎의 색깔이 회색을 띤 녹색이고 구경은 녹색으로 표면이 거칠다. 주요품종인 서유럽군은 구경이 자주색이며 표면이 매끄럽고 흰 납질로 덮여있다.
활성산소는 피부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특히 피부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는 중요한 병리적 요소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는 피부의 면역기능을 억제시키고, 염증을 유발하여 탄력 감소, 주름 및 기미, 주근깨 등의 각종 피부질환을 유발하고 결국 피부노화를 가속화 시키는 원인이 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Drge W.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 (2002) 

  2. Halliwell B, Aeschbach R, Lliger J, Aruoma OI.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3: 601-617 (1995) 

  3.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2007) 

  4. Harman D.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utat. Res. 275: 257-266 (1992) 

  5. Macleod G, Macleod AJ. The glucosinolates and aroma volatiles of green kohlrabi. Phytochemistry 29: 1183-1187 (1990) 

  6. Lee JW, Lee DY, Cho JG, Baek NI, Lee Y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erol compounds from the red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sprouts. J. Appl. Biol. Chem. 53: 207-211 (2010) 

  7. Park WT, Kim JK, Park S, Lee SW, Li X, Kim YB, Uddin MR, Park NI, Kim SJ, Park SU. Metabolic profiling of glucosinolates, anthocyanins, carotenoid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in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J. Agr. Food Chem. 60: 8111-8116 (2012) 

  8. Xiao Z, Lester GE, Luo Y, Wang Q. Assessment of vitamin and carotenoid concentrations of emerging food products: Edible microgreens. J. Agr. Food Chem. 60: 7644-7651 (2012) 

  9. Vicas SI, Teusdea AC, Carbunar M, Socaci SA, Socaciu C. Glucosinolates profile and antioxidant capacity of romanian brassica vegetables obtained by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al practices. Plant Foods Hum. Nutr. 68: 313-321 (2013) 

  10. Cha SS, Lee MY, Lee JJ. Comparison of pysicochemical composition of kohlrabi flesh and peel. Korean J. Food Preserv. 20: 88-96 (2013) 

  11. Yuru Y, Feng WY, Wei MJ, Gen ZL, Wang LS. Screening of Chinese brassica species for anti-cancer sulforaphane and erucin. Afr. J. Biotechnol. 7: 147-152 (2008) 

  12. Aires A, Mota VR, Saavedra MJ, Rosa EAS, Bennett RN.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glucosinolates and their respective enzymatic hydrolysis products on bacteria isolated from the human intestinal tract. J. Appl. Microbiol. 106: 2086-2095 (2009) 

  13. Halliwell B, Gutteridge JMC. 3rd, pp. 246-350. In: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Halliwell B, Gutteridge JMC.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USA (1999) 

  14. Kalt W. Effect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s. J. Food Sci. 70: 11-19 (2005) 

  15. Duval B, Shetty K.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001) 

  16.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 Food Chem. 49: 4619-4626 (2001) 

  17. Liang XL, Wang XL, Li Z, Hao QH, Wang SY. Improved in vitro assays of superoxide anion and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isoflavones and isoflavone metabolites. J. Agr. Food Chem. 58: 11548-11552 (2010) 

  18. Custdio L, Ferreira AC, Pereira H, Silvestre L, Vizetto-Duarte C, Barreira L, Rauter AP, Albercio F, Varela J. The marine halophytes Carpobrotus edulis L. and Arthrocnemum macrostachyum L. are potential sources of nutritionally important PUFAs and metabolites with antioxidant, metal chelating and anti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Bot. Mar. 55: 281-288 (2012) 

  19. Biglari F, AlKarkhi AF, Easa AM.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various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fruits from Iran. Food Chem. 107: 1636-1641 (2008) 

  20. Jayaprakasha GK, Singh RP, Sakariah KK.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Vitis vinifera) extracts on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Food Chem. 73: 285-290 (2001) 

  21.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 Biol. Chem. 51: 1333-1338 (1987) 

  22. Yun JS, Pahk JW, Lee JS, Shin WC, Lee SY, Hong EK. Inonotus obliquus protects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and premature senescence. Mol. Cells 31: 423-429 (2011) 

  23. Lopes TJ, Quadri MG, Quadri MB. Recovery of anthocyanins from red cabbage using sandy porous medium enriched with clay. Appl. Clay Sci. 37: 97-106 (2007) 

  24. Ryu KD, Chung DK, Kim JK. Comparison of radish cultivar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kakdugi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81-690 (2000) 

  25. Maeda T, Kakuta H, Sonoda T, Motoki S, Ueno R, Suzuki T, Oosawa K, Suzuki T. Antioxidation capacities of extracts from green, purple, and white asparagus spears related to polyphenol concentration. Hortscience 40: 1221-1224 (2005) 

  26. Huang D, Ou B, Prior RL.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 Food. Chem. 53: 1841-1856 (2005) 

  27. Ronald L, Hoang HA,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Jacob R.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FL))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 Food. Chem. 51: 3273-3279 (2003) 

  28. Aaby K, Hvattum E, Skrede G. Analysis of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coulometric array detection: relationship to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2: 4595-4603 (2004) 

  29.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004) 

  30. Wootton-Beard PC, Moran A, Ryan L. Stability of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23 commercially available vegetable juices before and after in vitro digestion measured by FRAP, DPPH, ABTS and Folin-Ciocalteu methods. Food Res. Int. 44: 217-224 (2011) 

  3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99) 

  32. Prior RL, Wu X , Schaich K.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 Food Chem. 53: 4290-4302 (2005) 

  33. Berker KI, Demirata B, Apak R. Determination of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lipophilic and hydrophilic antioxidants in the same solution by using ferric-ferricyanide assay. Food Anal. Methods 5: 1150-1158 (2012) 

  34. Carillon J, Del Rio D, Teissdre PL, Cristol JP, Lacan D, Rouanet JM. Antioxidant capacity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a melon concentrate rich in superoxide dismutase. Food Chem. 135: 1298-1302 (2012) 

  35. Jin Q, Park JR, Kim JB, Cha MH. Physiological activity of zizyphus jujaba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93-598 (1999) 

  36. Schindowski K, Leutner S, Kressmann S, Eckert A, Muller WE. Age-related increase of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mice prevention by ginkgo biloba extract (EGb761). J. Neural. Transm. 108: 969-978 (2001) 

  37. Phan TT, Wang L, See P, Grayer RJ, Chan SY, Lee ST. Phenolic compounds of Chromolaena odorata protect cultured skin cells from oxidative damage: implication for cutaneous wound healing. Biol. Pharm. Bull. 24: 1373-1379 (2001) 

  38. Bae JY, Choi JS, Choi YJ, Shin SY, Kang SW, Han SJ, Kang YH. (-) Epigallocatechin gallate hampers collagen destruction and collagenase activation in ultraviolet-B-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Involvement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Food Chem. Toxicol. 46: 1298-130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