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자(Citrus junos), 매실(Prunus mume) 농축액을 첨가한 침지액과 초정수압의 병행처리가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냉장 저장 중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mersion Liquids Containing Citrus junos and Prunus mume Concentrate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Shelf-life and Quality of Scomber japonicu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0, 2014년, pp.1555 - 1564  

강보경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꽃봉우리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김민지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박시우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원민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보람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나경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연욱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변명우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영양학부)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금, 설탕을 이용해 제조한 pH 6.5의 침지액 처리와 유자 및 매실 농축액을 이용하여 각각 pH 4.5, 5.5로 조정한 침지액과 450 MPa의 초정수압 병행처리가 고등어 필렛의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균수, pH, VBN 함량, 산화도, 색도, VOCs,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기본 침지액 처리구에 비해 유자, 매실 침지액 및 초정수압의 병행처리구에서 균의 생육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VBN 함량 측정 결과, 세 처리구 모두 저장 20일차까지 VBN 함량이 10 mg/100 g 이하로 나타나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산화도를 측정한 결과, 기본 침지액의 경우 저장 20일차에 0.442 MDA mg/kg을 보였으나 유자 및 매실 침지액과 초정수압 병행처리의 경우 각각 기본 침지액의 산화도에 비해 33% 및 12% 억제함을 보여 병행처리 산화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색도의 경우 초정수압 병행처리에 의해 명도, 백색도가 증가하고 적색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향기성분 분석 결과, 유자, 매실 침지액 및 초정수압 병행처리구에서 저장 20일차까지 sulfur류 및 acid류가 나타나지 않아 부패취나 비린내가 억제된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평가 결과, 저장 일차별 및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유자, 매실 침지액 및 초정수압의 병행처리구에서 향 및 맛은 비린 향과 맛이 감소하였고 경도 및 탄력성은 증가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고등어의 경우 저장 및 유통과정에서 산패와 미생물 증식에 의한 품질 저하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본 연구 결과와 같이 미생물의 효과적인 증식 억제 방법으로 침지액 처리 및 유자 또는 매실을 이용해 pH를 조절한 침지액과 초정수압의 병행처리는 고등어의 저장성 증진 및 품질 개선 효과를 통한 대중적 상품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immersion liquids (adjusted pH 4.5 with Citrus junos concentrate (CL), pH 5.5 with Prunus mume concentrate (PL), or no pH adjustment, pH 6.5, control)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450 MPa) on shelf-life and quality of mackerel.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원리로 병원성 및 부패 미생물의 비공유 및 소수성 결합에 영향을 주어 세포막을 붕괴시키고 세포막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변성을 일으켜 미생물의 사멸을 유발하고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는 신기술(22)로 최근 돈육(23), 닭다리 분쇄육(22) 등 그 응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이전 연구(10)에서 초정수압이 증가함에 따라 고등어의 저장성이 증대됨을 확인한 바 있으며,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고등어 선도 저하와 그에 따른 저장성 및 기호도 저하를 방지하고자 고등어에 유자 및 매실 농축액을 이용한 침지액 처리와 450 MPa의 초정수압을 병행처리하여 새로운 고등어 가공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신선한 어패류의 육에는 휘발성 염기질소(VBN)가 미량 함유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어획 후 선도가 저하하게 되면서 어육 중의 환원계 효소 또는 세균의 작용에 의해 TMAO (trimethylamineoxide)가 환원되어 TMA 등과 같은 염기성 물질이 생성되거나 세균 증식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되어 암모니아 질소 등이 생성됨에 따라 VBN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VBN 함량의 측정은 현재 어패류의 선도 측정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2,8). 이에 본 연구에 서는 VBN 측정을 통해 기본 침지액 처리와 유자, 매실 침지 액과 초정수압의 병행처리가 고등어 필렛의 선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Fig.

가설 설정

  • 4)Means in the same row (A,B) and column (a,b) bearing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자의 쓴맛 성분의 특징은? 한편 유자(Citrus junos, citron)는 감귤류에 속하는 것으로 풍부한 비타민 C와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쓴맛 성분인 리모넨은 향기와 더불어 항균작용도 가져 그 이용 범위가 매우 넓다고 알려져 있다(14). 또한 매실(Prunus mume)은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고등어가 선어 상태, 가공식품으로의 이용이 어려운 이유는? 그러나 고등어는 일시 다획성의 특징을 가지며 지질 함량이 매우 높은 적색육 어류로 근육 내 비단백 질소 성분이 많이 있어 생선이 부패하는 동안 세균에 의해 이용되기 때문에 다른 고단백 식품보다 변패가 쉬운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선도 저하가 매우 빠르며 가공 중 지질 산화에 의해 빠르게 산패되어 불쾌취를 유발하기 때문에 선어 상태로의 이용이나 가공식품으로의 이용이 어려워 주로 염장품으로 이용되고 있다(2).
고등어는 어떤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는가? 고등어(Scomber japonicus, mackerel)는 경골어류 농어목 고등어과에 속하는 생선으로, 정어리, 꽁치, 전갱이와 함께 4대 등 푸른 생선으로 불리고 있으며, 특히 EPA(eicosapentaenoic acid, 20:5n-3) 및 DHA(docosahexaenoic acid, 22:6n-3)와 같은 n-3계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1-3). 이러한 고등어의 고도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은 동맥경화, 뇌혈전 및 심근 경색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 이외에도 고등어는 타우린, 핵산 등을 다량 함유하여 영양적 가치가 높은 고지방 어류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Jung SA. 2013. Inhibitory activity of histidine decarboxylase in mackerel by natural materials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1-71. 

  2. Song EJ, Kim JY, Lee SY, Kim KBWR, Kim SJ, Yoon SY, Lee SJ, Lee CH, Ahn DH. 2009. Effect of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extract on shelf-life and quality of salted macker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80-786. 

  3. Kim DH. 2012. Inhibitory effect of natural materials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s on histamine production in mackerel.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1-94. 

  4. Garcia DJ. 1998. Omega-3 long-chain PUFA nutraceuticals. Food Technol 52: 44-49. 

  5. Kim JS, Yeum DM, Kang HG, Kim JS, Kong CS, Lee TG, Heu TG. 2002.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for canned foods.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2-36. 

  6. Cho SJ, Choe YK, Lee SY, Byun SM, Chung JR. 1985. Radurization effect of Korean mackerel. Bull Korean Fish Soc 18: 219-226. 

  7. Kim JH, Ha JH. 1989. Preservation of mackerel by irradi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Journal 29: 201-210. 

  8. Song HN, Lee DG, Han SW, Yoon HK, Hwang IK. 2005. Quality changes of salted and semi-dried mackerel fillets by UV treatmen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662-668. 

  9. Lee JS, Joo DS, Kim JS, Cho SY, Lee EH. 1993. Processing of a good quality salted and semi-dried mackerel by high osmotic pressure resin dehydration under cold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468-474. 

  10. Kang BK, Kim KBWR, Kim MJ, Kim DH, Jung SA, Bark SW, Pak WM, Kim BR, Park HM, Byun MW, Ahn DH. 2013. Inhibitory effec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s on histamine production in mackerel Scomber japonicus. Kor J Fish Aquat Sci 46: 733-738. 

  11. Jung BM, Chung GH, Jang MS, Shin SU.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ron treated mackerel oil and fille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74-579. 

  12. Lee YK, Lee HS. 1997. Effects of onion and ginger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9: 321-329. 

  13. Yoon KY, Hong JY, Kim MH, Cho YS, Shin SR. 2007.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alted mackerel treated extracts of edible plan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 439-444. 

  14. Lee JR, Jung JD, Hah YJ, Lee JD, Jin SK, Lee CY, Sung NJ, Do CH. 2004. Effects of addition of citron peel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J Anim Sci Technol 46: 849-858. 

  15. Shim KH, Sung NK, Choi JS, Kang KS. 1989. Changes in major components of Japanese apricot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Nutr 18: 101-108. 

  16. Son SS, Ji WD, Chung HC. 2003. Optimum condition for alcohol fermentation using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39-543. 

  17. Han JT, Lee SY, Kim KN, Baek NI. 2001. Rutin,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uit of Prunus mem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35-37. 

  18. Kameoka H, Kitagawa C. 1976. Constituents of the fruits of Prunus mume Sieb. et Zucc. Nippon Nogeikagaku Kaishi 50: 389-393. 

  19. Lee HA, Nam ES, Park SI. 2003.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antimicrobial activity and shelf-life of wet noodle. Korean J Food Culture 18: 428-436. 

  20. Oh NG, Jeong JH, Choi UK. 2013.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rectum by addition of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Korean J Food & Nutr 26: 453-458. 

  21. Knorr D, Heinz V, Buckow R. 2006. High pressure application for food biopolymers. Biochem Biophys Acta 1764: 619-631. 

  22. Jung S, Kang M, Kim IS, Nam KC, Ahn DU, Jo C. 2012. Effect of addition of phosvitin and high pressure processing on microbiological quality and lipid and protein oxidation of minced chicken leg mea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2: 212-219. 

  23. Choi YC, Jung KH, Chun JY, Choi MJ, Hong GP. 2013. Effects of high pressure and binding ag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pork. Korean J Food Sci An 33: 664-671. 

  24. Bull MK, Hayman MM, Stewart CM, Szabo EA, Knabel SJ. 2005. Effect of prior growth temperature, type of enrichment medium, and temperature and time of storage on recovery of Listeria monocytogenes following high pressure processing of milk. Int J Food Microbiol 101: 53-61. 

  25. Stephens PJ, Mackey BM. 2003. Chapter 2 Recovery of stressed microorganisms. In Handbook of Culture Media for Food Microbiology. Corry JEL, Curtis GDW, Baird RM, eds.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Vol 37, p 25-48. 

  26. Gou J, Zou Y, Choi GP, Park YB, Ahn JH. 2011.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the self life of seasoned squ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36-1140. 

  27. Nam KH, Jang MS, Lee DS, Yoon HD, Park HY. 2011. Effect of green tea and lotus leaf boiled water extracts treatm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salted mackere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8: 643-650. 

  28. Angsupanich K, Ledward DA. 1998. High pressure treatment effects on cod (Gadus morhua) muscle. Food Chem 63: 39-50. 

  29. Hong GP, Shim KB, Choi MJ, Min SG. 2008. Effects of thermal processing combined with high pressure on the characteristics of cooked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415-421. 

  30. Kim JY. 2008. Food materialization of spent coffee ground extracts and variation of coffee antioxidant ability according to extraction proces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1-60. 

  31. Shin SR, Hong JY, Nam HS, Huh SM, Kim KS. 2006. Chemical changes of salted mackerel by Korean herbal extracts treatment and storage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3: 18-23. 

  32. Cruz-Romero M, Smiddy M, Hill C, Kerry JP, Kelly AL. 2004. Effects of high pressur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oysters.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nol 5: 161-169. 

  33. Choi YC, Jung KH, Chun JY, Choi MJ, Hong GP. 2013. Effects of high pressure and binding ag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pork. Korean J Food Sci Ani 33: 664-671. 

  34. Lee DS. 2011.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Alaska pollack and mackerel during storage.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1-62. 

  35. Yajima I, Nakamura M, Sakakibara H, Ide J, Yanai T, Hayashi K. 1983.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dried bonito (katsuobushi), 3: Frin beytrak fraction. Agric Biol Chem 47: 1755-1760. 

  36. Park HK, Sohn KH, Park OJ. 1995. Analysis of significant facts in the flavor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III)-aroma compound analysi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173-182. 

  37. Cha YJ, Cadwallader KR, Baek HH. 1993.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snow crab cooker effluent and effluent concentrate. J Food Sci 58: 525-530. 

  38. Maga JA, Sizer CE. 1973. Pyrazines in foods. Review. J Agric Food Chem 21: 22-30. 

  39. Noh TH. 2008. The character impact precursors and flavor constituents of the odor evolved from cooked oyster.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p 1-52. 

  40. Lee SJ, Shin JH, Kang MJ, Jeong CH, Ju JC, Sung NJ.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free sugar and volatile compounds of Korean citrons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2-98. 

  41. Jeong JW, Lee YC, Jung SW, Lee KM. 1994.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09-712. 

  42. Kameoka H, Tsujino H, Yabuno K, Inoue H. 1981. Constituents of steam volatile oils from Umezuke and Umeboshi [pickled ume, Japanese apricot]. Nippon Nogeikagaku Kaishi 55: 1233-1235. 

  43. Chen CC, Kuo MC, Liu SE, Wu CM. 1986. Volatile components of salted and pickled prunes (Prunus mume Sieb. et Zucc.). J Agric Food Chem 34: 140-144. 

  44. Takeoka GR, Flath RA, Mon TR, Teranish R, Guentert M. 1990. Volatile constituents of apricot (Prunus armeniaca). J Agric Food Chem 38: 471-477. 

  45. Bajovic B, Bolumar T, Heinz V. 2012. Quality considerations with high pressure processing of fresh and value added meat products. Meat Sci 92: 280-2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