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마와 찹쌀의 첨가 비율에 따른 고아미 쑥갠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sukgaen Dduk Made with High-Dietary Fiber Rice 'Goami' Focused on Yam and Glutinous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0, 2014년, pp.1571 - 1578  

하현숙 (상명대학교 생활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다이어트 및 당뇨, 성인병 예방식으로 활용 가능한 고아미 2호 쑥갠떡의 거칠고 단단한 텍스처를 부드럽고 쫄깃한 특성으로 개선하기 위해 고아미 2호에 마와 찹쌀가루 첨가량을 달리하고 반죽의 치대는 횟수를 달리하여 제조한 후, 텍스처 측정 및 관능검사를 통한 품질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아미 2호 70%에 마와 찹쌀가루를 YG1(25:5%), YG2(20:10%), YG3(15:15%), YG4(10:20%), YG5(5:25%)의 배합비로 첨가량을 달리한 쑥갠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인 멥쌀로 만든 쑥갠떡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마와 찹쌀가루 첨가군 중에서는 마 10%, 찹쌀가루 20% 배합으로 제조한 고아미 2호 쑥갠떡의 전반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찹쌀가루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현저하게 높아졌다. 찹쌀가루 첨가로 인해 부드러운 특성은 다소 낮아졌으나 쑥색이 진해지고 특이한 냄새가 미미해진 것을 패널들은 선호하였고 찹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쫄깃한 정도, 구수한 맛, 결의 미세함 정도가 높아졌다. 경도는 대조군이 99.70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마와 찹쌀가루가 첨가된 고아미 2호 쑥갠떡 중에서는 마 첨가량이 감소하고 찹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경도가 높아졌다. 탄력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마와 찹쌀가루가 첨가된 고아미 2호 쑥갠떡은 대조군에 비해 씹힘성검성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찹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높아져 떡의 쫄깃한 특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약리작용이 있는 쑥과 고아미 2호의 거칠고 단단한 텍스처를 개선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마 10%, 찹쌀가루 20%를 첨가한 반죽을 각각 20번, 40번, 60번, 80번 치대어 제조한 고아미 2호 쑥갠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멥쌀로 만든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마와 찹쌀가루 첨가군 중에서는 40번 치댄 G40이 대조군 다음으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다. 쑥색의 정도, 맛, 질감, 쫄깃함, 부드러움 및 결의 미세한 정도에서도 G40이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멥쌀로 만든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고아미 2호 쑥갠떡의 경우 20번 치댄 G20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치댄 횟수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져 부드러워지는 특성을 보였으나 치댄 횟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부드러운 정도가 과도하여 오히려 떡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탄력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씹힘성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마와 찹쌀가루 첨가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검성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마와 찹쌀가루 첨가군에서는 치댄 횟수가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으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고아미 2호 쌀가루로 쑥갠떡을 제조하는 경우 마 10%와 찹쌀가루 20% 첨가 배합에 반죽을 40번 정도 치대는 것이 외관, 맛, 쫄깃한 질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이 관능적 측정에서 다른 첨가군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양호한 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대조군의 쑥갠떡 품질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도하게 치대는 경우에는 오히려 떡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Ssukgaen Dduk containing yam, mugwort, glutinous rice and Goami 2 rice, which is rich in dietary fiber and prevents diabetes and adult disease. To enhance the chewiness and softness of Goami Ssukgaen Dduk, the dough was kneaded various times. When S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아미 2호 쑥갠떡 제조 시 건강증진 작용이 있는 마와 찰진 특성이 강한 찹쌀가루를 첨가하여 기계적, 관능적 품질 특성에서 마와 찹쌀가루의 가장 적합한 배합비를 찾아내고, 치댄 횟수를 달리하여 고아미 2호 쑥갠 떡의 품질을 최적으로 높여 다양한 기능성 부여 및 고아미 쌀의 소비촉진을 위한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덩굴성 다년초인 마의 원산지는? 덩굴성 다년초인 마(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Decne.)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한다. 감자, 고구마, 카사바와 같이 날 것으로 먹어도 될 정도로 유해 성분이 없고, 소화가 잘되는 서류작물로 분류되고 있다(11).
덩굴성 다년초인 마는 어떤 작물로 분류되는가? )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한다. 감자, 고구마, 카사바와 같이 날 것으로 먹어도 될 정도로 유해 성분이 없고, 소화가 잘되는 서류작물로 분류되고 있다(11). 마는 오래전부터 식용 혹은 약용(한약재)으로 이용되어 왔는데, 마의 점액 물질인 mannan으로 인해 식용하기에 거부감을 느끼기도 하고 맨손으로 깎았을 때 점성 물질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웰빙 문화 확산과 함께 건강식품으로 인식되어 마를 이용한 마 정과, 마 선식, 마 국수, 마 카스텔라, 마 쿠키, 마 양파 과자, 마 고구마 과자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2).
고아미 2호의 특성은? 3%보다 매우 높아 가공용 특수미로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2년 12월에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고아미 2호’로 명명하였다(1). 일반쌀은 현미에서 미강을 8% 정도 깎아내면 10분도 쌀이 되지만, 고아미 2호는 일반쌀에 비해 식이섬유량이 많아 현미에서 미강을 8% 정도 깎아도 일반 백미처럼 되지 않으며 쌀이 맑게 보이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1981년 미국 FDA에서 승인받은 일종의 탄수화물로서 1 g당 1 kcal의 적은 열량을 내며 혀의 촉감, 맛, 풍미, 크기 등을 변화시키지 않고 저칼로리의 동일한 식품을 만들 수 있는 증량제인 난소화성 다당류의 높은 함량으로 인해 일반쌀보다 취반 특성 및 관능적 기호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빵, 국수, 과자 등 여러 가지 쌀 가공 제품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Varieties explanation book about major crop (2001-2005). Sang Rok Sa, Seoul, Korea. p 132-139. 

  2. Chae H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 rice cake (Sulgi) using high dietary fiber rice cake. Ms Thesis. Yong In University, Yongin, Korea. 

  3. Jung YJ, Seo HS, Myung JE, Shin JM, Lee EJ, Hwang IK.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with sesames (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Korean J Food Cookery 23: 785-792. 

  4. Tie J, Lee ES, Hong ST, Ryu GH. 2007. Manufacturing of Goami flakes by using extrus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46-151. 

  5. Lee EJ, Sea HS, Lee SY, Kim SH, Hwang IK.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esame gruel with high-dietary fiber rice 'Goami 2'.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940-948. 

  6. Hwang YK, Kim DC, Hwang WI, Han YB. 1998. Inhibitory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extract on growth of cancer cell lines. Korean J Nutr 31: 799-808. 

  7. Lim KH. 1971. A medical phytology (the details). Dong Dyoung Sa, Seoul, Korea. p 287. 

  8. Hahn DR, Kim IH. 1973. Studies on the volatile oil constituents in Artemisia sp. Kor J Pharmacogn 4: 71-74. 

  9. Sim YJ, Han YS, Chun HJ. 1992.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mugwort, Artemisia mongollca Fisch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9-53. 

  10. Chung KM. 1993. Effects of mugwor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paste, and gel of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26-631. 

  11. Kim SJ. 1997.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from yam. In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Catholic Sangji College. Andong, Korea. No. 27, p 10. 

  12. Andong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2003. The development of a speciality of Andong, slices of yam cake preserved in hone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ong, Korea. p 6. 

  13. Ha HS, Kim HA, Lee K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sukgaen Dduk made with high-dietary fiber rice 'Goami 2' focused on ya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1032-1038. 

  14. Lee JH, Seo HS, Kim SH, Lee JR, Hwang IK. 2005. Soaking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ite gruel with different blending time of high-dietary fiber rice 'Goami 2'.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927-935. 

  15. Han BR. 1999. A recipe for Dduk-easily, delicious, beautifully.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Seoul, Korea. p 206-211. 

  16. Li X, Li D, Tian H, Park KH. 2014. Reducing retrogradation of gelatinized rice starch and rice meal under low temperature storage by addition of extremely thermostable maltogenic amylase during their cooking. Food Res Int 62: 1134-1140. 

  17. Jung SO. 2009. The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based on the blending rate of 'Goami 2'.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JM, Kweon SY, Kim JG. 2009. Changes on the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ngsulgidduk by the added amount of glutinous riceflou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89-95. 

  19. Lee YK, Lee HG. 1986. Change of texture of Back-pyun as affected by glutinous-r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 43-54. 

  20. Lee JK, Jeong JH, Lim JK.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Garaedduk added with ginse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26-434. 

  21. Yoon SS, Kim KS, Han KS. 1991. Scientific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ation methods for Kyongdan (II)-for the focus on the volume of water and number of kneading-. Korean J Soc Food Sci 7: 47-52. 

  22. Park JH, Woo SI. 1997. Study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n the kind, amount of sugar and number of kneading by processing method of soybean Dasik. Korean J Soc Food Sci 13: 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