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Dioscorea batatas) 전분의 추출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전분추출용액의 영향
Effect of starch extraction solutions on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of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starch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2, 2018년, pp.191 - 197  

이현정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서동호 (한국식품연구원 장내미생물연구단) ,  김현석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로부터 전분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아스코르브산,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탄산나트륨을 전분추출용액으로 하여 추출된 전분의 추출수율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증류수를 이용하여 마로부터 전분을 추출할 경우 추출수율은 본 연구에서 적용한 전분추출용액을 사용할 때의 약 30% 수준으로 매우 낮았으며, 전분추출과정 중 갈변현상의 발생으로 최종적인 마 전분이 회백색을 띄어 전분소재로 적합하지 않았다. 마 전분의 추출수율은 전분추출용액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사용한 경우 가장 높았으며, 아스코르브산 용액을 사용한 경우가 다음으로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마 전분들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표적인 서류전분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으나 총 전분함량은 유사하거나 높아 전분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겉보기 아밀로오스 함량은 산성 전분추출용액들에 의해 제조된 마 전분들이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에 의한 것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마 전분의 입도분포와 평균입도는 전분추출용액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X선 회절패턴은 전형적인 C형 결정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을 사용한 경우 상대적 결정도는 감소하였다. 용해도는 전분추출용액에 따른 특정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팽윤력은 산성에 비해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을 사용하였을 때가 높았다. 마 전분들의 호화온도는 대체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호화엔탈피는 산성에 비해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을 사용하였을 때 감소하였다. 페이스팅 점도는 탄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스코르브산 용액들에 의한 마전분들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특히 마 전분들의 강하점도(breakdown viscosity)와 치반점도(setback viscosity)는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을 사용하였을 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아스코르브산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 전분은 추출수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총 전분 함량도 풍부하며, 온도프로파일에 따른 페이스팅 점도의 변동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전분추출용매들에 비해 아스코르브산은 마 전분 내에 전분추출용액의 잔류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없다. 결과적으로 마로부터 마 전분의 추출을 위한 전분추출용액을 위해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 같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tarch extraction (ST-EX) solutions on the extraction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yam (CY) starches from domestic Dioscorea batatas. Ascorbic acid (VitC), $Na_2S_2O_3$, $NaHCO_3$, and $Na_2CO_3$ were used as ST-EX s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마로부터 전분의 추출 시 사용되는 전분추출용액을 달리한 마 전분을 추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마 전분의 추출수율과 분석된 특성들에 기초하여 마전분의 생산을 위한 적절한 전분추출용액의 결정을 통해 마로부터 전분의 추출방법을 정립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연구를 통해 국내산 마로부터 제조된 생(native) 전분 소재의 개발을 통해 마의 산업적 활용도의 제고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Srichuwong등(2005)은 전분입자의 결정구조의 안정성 또는 완전성(perfection)의 향상은 팽윤을 지연시키고 팽윤된 전분입자를 온전한(integrity)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염기성 전분추출용액에 의한 마 전분이 산성 전분추출용액에의한 것보다 높은 팽윤력을 나타내는 것은 염기성 전분추출용액에 의해 마 전분의 결정구조가 부분적으로 손상되어 전분입자 구조의 불안정성이 높아진 결과인 것 같다. 이러한 설명은 염기성 전분추출용액에 의한 마 전분들이 산성 전분추출용액의 것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상대적 결정도에 의해 지지된다(Table 2).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마로부터 전분의 추출 시 사용되는 전분추출용액을 달리한 마 전분을 추출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마 전분의 추출수율과 분석된 특성들에 기초하여 마전분의 생산을 위한 적절한 전분추출용액의 결정을 통해 마로부터 전분의 추출방법을 정립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연구를 통해 국내산 마로부터 제조된 생(native) 전분 소재의 개발을 통해 마의 산업적 활용도의 제고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란? 백합목 마과(Dioscoreaceae)에 속하며 다년생, 초본성 덩굴식물인 마(Dioscorea; Chinese yam)는 원산지인 중국과 한국, 일본 이외에 아열대와 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Onwueme, 1978;Shin 등, 2014). 전 세계적으로 마는 장마, 단마, 둥근마, 산마 등 약 650 여종이 알려져 있으며(Onwueme, 1978), 국내에서는 덩이뿌리 모양에 따라 장마(D.
전분 추출방법에서 증류수, 에탄올과 NaOH, HgCl2 용액을 용매로 사용 시 어떤 문제점이 발생되는가? 선행된 연구들은 마로부터 전분을 추출하기 위한 전분 추출용매로서 증류수(Kim 등, 1991), 비극성 저분자물질 제거를 위한 에탄올 수용액(Wang 등, 2009), 미생물 증식 및 전분분해효소 활성의 억제를 위한 HgCl2 용액(Shujun 등, 2006a, 2006b), 희석된 NaOH 용액(Lee 등, 1992)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감자전분 추출방법과 유사한 절차에 따라 마 전분을 제조하는 등 전분 추출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전분추출용매로 증류수를 사용할 경우 전분 추출 과정 중 삽부가 발생할 수 있어 최종적인 전분의 백색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에탄올과 NaOH을 사용할 경우 다량의 유기폐액과 고농도의 염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고, HgCl2 용액의 경우 Hg2+ 이온이 마 전분 내에 잔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다른 서류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마로부터 전분의 추출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식품소재로서의 안전성을 고려한 마 전분의 추출법에 대한 정보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마에 함유된 약리성분과 효능은? 7%를 함유하고 있다(Shujun 등, 2006a). 또한 마는 점질성 당단백질인 뮤신(mucin), diosin,diosgenin, batasin, steroidal saponin, arginine과 choline 등의 약리성분들 을 함유하고 있어(Jang, 2009), 혈당강화(McAnuff 등, 2005), 콜레스테롤저하(Chen등, 2003), 항종양(McAnuff 등, 2005), 면역조절(Choi 등, 2004), phospholipase A2 저해(Kim 등, 2004), 골다공증 억제(Sugimoto 등,2006), 항궤양(Park 등, 2014) 등의 효능들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마와 마분말 같은 가공제품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16년 국내 마 생산량은 약 12천 톤이고, 생산액은 약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ACC. Approved Method of the AACC. 10th ed. Methods 46-08 & 76-13.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000) 

  2. Abegunde OK, Mu TH, Chen JW, Deng FM.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weet potato starches popularly used in Chinese starch industry. Food Hydrocolloid. 33: 169-177 (2013) 

  3. Chrastil J. Improve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mylose in starches or flours. Carbohyd. Res. 159: 154-158 (1987) 

  4. Chung HY. Carbohydrate analyses of Korean yam (Dioscorea) tub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6-40 (1995) 

  5. Cheetham NWH, Tao L. Variation in crystalline type with amylose content in maize starch granules: An X-ray powder diffraction study. Carbohyd. Polym. 36: 277-284 (1998) 

  6. Chen HL, Wang CH, Chang CT, Wang TC. Effects of Taiwanese yam (Dioscorea japonica Thunb var. pseudojaponica Yamamoto) on upper gut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in Balb/c mice. Nutrition 19: 646-651 (2003) 

  7. Choi EM, Koo SJ, Hwang JK. Immune cell stimulating activity of mucopolysaccharide isolated from yam (Dioscorea batatas). J. Ethnopharmacol. 91: 1-6 (2004). 

  8. Jang SM. Contents of nutritional ingredients and diosgenin in the tubers of different Dioscorea spp.. Korean J. Food Nutr. 22: 223- 228 (2009) 

  9. Korea Forest Service. Trends in the production amount of forest products.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 ?idx_cd1302. Accessed Jan. 15, 2018. 

  10. Kumar L, Brennan M, Zheng H, Brennan C. The effects of dairy ingredients on the pasting, textural, rheological, freeze-thaw properties and swelling behaviour of oat starch. Food Chem. 245: 518-524 (2018) 

  11. Kim EJ, Kim H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hydrated potato parenchyma cells with ungelatinized and gelatinized starches. Carbohyd. Polym. 117: 845-852 (2015) 

  12. Kim MJ, Kim HN, Kang KS, Baek NI, Kim DK, Kim YS, Kim SH, Jean BH. Methanol extract of Dioscoreae Rhizoma inhibits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ors in the synoviocytes of rheumatoid arthritis. Int. Immunopharmacol. 4: 1489-1497 (2004) 

  13. Kim WS, Kim SS, Park YK, Seog HM.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veral Korean yam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554-560 (1991) 

  14. Kim JY, Lee YC, Kim YC, Kim YB, Choi HW. Research on processing properties of yam (Disocorea batatas) by drying methods and milling methods. Food Eng. Prog. 20: 307-313 (2016) 

  15. Kim IH, Son HJ, Chung KM. Viscosity of yam suspension by drying methods and additi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44-447 (2006) 

  16. Lee BY, Kim HK. Quality properties of Korean yam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877-882 (1998) 

  17. Lee BY, Lee YC, Kim HM, Kim CJ, Park MH.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gelatinized yam starch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619-622 (1992) 

  18. Lee DS, Park YM. Optimization of curing treatment and storage temperature of Chinese yam. Kor. J. Hort. Sci. Technol. 31: 289-298 (2013) 

  19. McAnuff MA, Harding WW, Omoruyi FO, Jacobs H, Morrison EY, Asemota HN. Hypoglycemic effects of steroidal sapogenins isolated from Jamaican bitter yam, Dioscorea polygonoides. Food Chem. Toxicol. 43: 1667-1672 (2005) 

  20. Ma F, Zhang Y, Liu N, Zhang J, Tan G, Kannan B, Liu X, Bell AE.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saccharides from Dioscorea opposita Thunb.. Food Chem. 227: 64-72 (2017) 

  21. Onwueme IC. The tropical tuber crops: Yams, cassava, sweet potato and coco yam. John Wiley & Sons Inc., Somerset, NJ, USA. pp. 24-30 (1978) 

  22. Palacios-Fonseca AJ, Castro-Rosas J, Gmez-Aldapa CA, Tovar- Bentez T, Milln-Malo BM, del Real A, Rodrguez-Garca ME. Effect of the alkaline and acid treatment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rn starch. CyTA-J. Food 11: 67-74 (2013) 

  23. Park YM, Lim JH, Jeong HJ, Seo EW. Protective effects of crude mucin and saponin from Dioscorea rhizoma on gastric ulcer induced by alcohol in rats. J. Life Sci. 24: 1200-1208 (2014) 

  24. Prez OE, Haros M, Suarez C. Corn steeping: influence of time and lactic acid on isola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starch. J. Food Eng. 48: 251-256 (2001) 

  25. Qiu C, Li X, Ji N, Qin Y, Sun Q, Xiong L. Rheolog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normal and waxy corn starch dry heated with soy protein isolate. Food Hydrocolloid. 48: 1-7 (2015) 

  26. Shin JH, Kim SK, Kang DK, Park SZ. Effect of fertilizer and organic matter level on marketable tuber production in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e). Korean J. Crop Sci. 59: 144-150 (2014) 

  27. Shujun W, Hongyan L, Wenyuan G, Haixia C, Jiugao Y, Peigen X. Characterization of new starches separated from different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cultivars. Food Chem. 99: 30- 37 (2006a) 

  28. Shujun W, Jinglin Y, Wenyuan G, Hongyan L, Peigen X. New starche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cultivars. Carbohyd. Res. 341: 289-293 (2006b) 

  29. Srichuwong S, Sunarti TC, Mishima T, Isono N, Hisamatsu M. Starches from different botanical sources II: Contribution of starch structure to swelling and pasting properties. Carbohyd. Polym. 62: 25-34 (2005) 

  30. Sugimoto N, Yoshida N, Nakamura Y, Ichikawa H, Naito Y, Okanoue T, Yosikawa T. Influence of vitamin E on gastric mucosal injury induced by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Biofactors 28: 9-19 (2006) 

  31. Wang Y, Gao W, Li X. Carboxymethyl Chinese yam starch: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influence of reaction parameters. Carbohyd. Res. 344: 1764-1769 (2009) 

  32. Wang S, Yu J, Yu J, Liu H. Granule structure of C-type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var. Zhongbowen) starch by acid hydrolysis. Food Hydrocolloid. 22: 538-54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