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단백질 보충제 섭취실태
A Survey on Intake of Protein Supplemen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0, 2014년, pp.1607 - 1613  

이주은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단백질 보충제 섭취실태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9개 대학,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76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단백질 보충제의 사용경험이 있는 사람은 41.6%, 사용경험이 없는 사람은 58.4%였으며 성별(P<0.001), 학년(P<0.05), 참여운동(P<0.001), 가입 동아리(P<0.01)에서 단백질 보충제 섭취경험 유무의 분포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백질 보충제의 구매 장소로는 인터넷 쇼핑몰(71.7%)이 가장 많았고, 가장 높은 섭취 경험율을 보인 단백질 보충제는 WPH(39.4%)이었다. 단백질 보충제에 대한 정보는 친구나 선후배(56.6%)로부터 가장 많이 얻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다음이 인터넷(44.4%)이었다. 단백질 보충제를 섭취하는 이유로 몸매나 근육 만들기를 가장 많이 들었고(48.5%), 남학생의 경우 몸매나 근육 만들기가 과반수 이상(57.7%)이었으며, 여학생은 운동능력 향상(33.3%)과 몸매 만들기(30.3%), 체중조절(30.3%)이 고른 분포를 보였다. 단백질 보충제의 섭취 효능에 대하여 '보통'이 49.0%, '효과있음'이 33.3%였으며, 만족여부에서는 '만족함'이 45.5%, '보통'이 43.4%였다. 단백질 보충제의 부작용 경험율은 사용자의 44.9%였고, 부작용에는 설사(30.3%), 소화불량(29.2%) 등 소화기 질환의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체육전공 대학생들은 단백질 보충제 섭취 이유로 몸매나 근육 만들기를 가장 많이 들었는데, 체육 전공자가 단백질 보충제를 운동능력 향상이나 영양보충 이외에 미용 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다방면의 인식이 필요하며, 이의 오용이나 남용을 막기 위한 영양교육이 요구된다. 또 학생들이 전문가가 아닌 친구와 선후배, 인터넷을 통해 얻고 있는 단백질 보충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학생들이 의사나 영양사 등 전문가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교육과 올바른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 전문매장이 아닌 인터넷을 주된 구매 장소로 이용하는 것 또한 상업적 판매 위주나 불량품 및 부적절한 상품의 판매가 문제될 수 있다. 단백질 보충제 사용자의 44.9%가 경험한 부작용에 대하여 건강상의 문제도 우려된다. 따라서 지나친 상업적 판매 및 부작용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과학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품질보증제도 등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몸매나 근육 등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문화적 경향과 단백질 보충제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전문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무분별한 단백질 보충제의 섭취를 도모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헬스 등 근력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단백질 보충제와 관련된 영양교육과 올바른 정보 제공이 요구된다. 앞으로 단백질 보충제에 대한 섭취방법, 영양효능, 부작용 등의 다양한 정보와 지식 및 이에 대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ake of protein supplements by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take experience rate, reasons for intake, purchasing place, effectiveness, satisfaction level, and side effects were analyzed using a questionnaire. Of 476 student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까지 단백질 보충제에 대한 연구가 주로 섭취의 효과에 치중되어 왔으나 단백질 보충제의 종류가 날로 다양해지고, 섭취하는 대상이 전문 운동선수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 지금의 현실에서 이의 섭취 현황을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 보충제의 섭취 가능성이 큰 체육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의 섭취실태를 살펴보고 앞으로 필요한 가이드라인 마련과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위하여 Duellman 등(9)에서 제시된 ‘단백질 보충제란 근육의 힘과 사이즈,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가공, 조제된 상업용 제품을 말하며, 섭취할 경우 단백질이나 아미노산이 체내에 공급되는 건강기능식품’의 정의를 참고로 하여 설문지에 기입하고, 설문조사 시 이를 설명하여 단백질 보충제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 3%만이 전문가의 자문이나 조언을 받고 있었다. 특히 비상업적인 개인 사이트의 정확성 및 신뢰도가 비상업적인 기관 사이트나 상업사이트에 비해 떨어진다고 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식품영양정보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대학생들(사용자의 44.

가설 설정

  • 2)Due to missing data, the sum of number of case may not equal to the tot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육의 효과와 기능은? 여러 가지 훈련을 통해 잘 발달된 근육은 운동능력 향상을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미적 이미지를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에서도 자신감을 높이는 긍정적 기능을 한다(1). 근육을 발달시키기 위해 필요한 영양소가 단백질이라는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전문 운동선수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근육을 키우거나 체중조절을 위한 단백질 보충제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2).
단백질 보충제를 섭취한 사람들이 느끼는 근기능 강화의 결과가 다른 이유는? 그러나 Shin 등(2)은 중학생 카누선수들이 운동 2시간 후 단백질보충제를 섭취한 경우 근력향상과 신체구성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고 하였고, Lee(5)도 20대 대학생의 웨이트 트레이닝 시 단백질 보충제 섭취가 근력과 근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들 연구에서 단백질 보충제의 효과가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는 이유는 연구 대상의 에너지 섭취량과 운동 종류, 운동 강도, 운동 지속시간, 훈련에 대한 적응도 및 환경 조건 등이 모두 달랐기 때문이며(2), 이것은 운동 시 단백질 필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기도 하다(6).
단백질 보충제를 장기간 습관적으로 추가 섭취할 경우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그러나 실제 선수들은 근육 형성을 위해서 충분한 식사 외에도 단백질 보충제의 섭취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9), 섭취실태를 조사한 연구(10)에서도 전문 선수들의 단백질 보충제 섭취율은 높게 조사되었다. 단백질 보충제를 장기간 습관적으로 추가 섭취할 경우 단백질 과잉이 오랜 기간 지속되어 체내 신장 기능에 이상이 올 수 있고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 증가, 통풍, 고지혈증이나 동맥경화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11). 따라서 단백질 보충제와 관련된 일련의 부작용, 식품과 비교했을 때의 가격 대비 영양적 효용, 적절한 섭취방법 등의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져 일반인들과 현장의 코치, 트레이너 및 선수들에게 널리 보급되어 단백질 보충제를 과용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 SS. 2003. Nutritional status, knowledge, and dietary supplementation practices of strength athletes; bodybuilders, weight lifter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 1-15. 

  2. Shin KS, Lee SJ, Lyu SP, Choi SJ, Heo MD, Kim UJ, Jang YC, Min KS. 2001. Effect of intake time of protein supplement after training on physique and muscular strength of adolescent. 39th Workshop Presentation File of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 39, p 695-701. 

  3. Kim YS, Kim KJ, Kim EJ. 2001. Effects of taking protein supplements on the body structure and muscular function in the weight training.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6: 281-296. 

  4. Kim YJ. 2010. The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with protein supplement on anabolic hormone and muscle volume.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p 19-40. 

  5. Lee SW, Kang SB, Seo HK, Ju YS, Kim JM, Park CH. 2001. The effect of protein supplement on muscular strength and circumference during weight training. 39th Workshop Presentation File of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 39, p 520-527. 

  6. Kim HS, Park TS, Baek IY, Sung MK, Shin JH, Lee MS, Cho SS, Jin YS, Cha YS. 2003. 21 Century sports nutrition. Kyomun Publisher, Seoul, Korea. p 102-131. 

  7. Cribb PJ, Hayes A. 2006. Effect of supplement timing and resistance exercise on skeletal muscle hypertrophy. Med Sci Sports Exerc 38: 1918-1925. 

  8. Dietitians of Canada,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and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0. Nutrition and athletic performance. Canadian J Dietetic Practice Research 61: 176-192. 

  9. Duellman MC, Lukaszuk JM, Prawitz AD, Brandenburg JP. 2008. Protein supplement users among high school athletes have misconceptions about effectiveness. J Strength Cond Res 22: 1124-1129. 

  10. Cho SS, Lee OH. 2008. Practices of nutritional ergogenic aids usage by elite bodybuilders and weight lif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3: 134-142. 

  11. Williams WH. 2007. Nutrition for health, fitness and sport. McGraw Hill, Boston, MA, USA. p 226-228. 

  12. Kim JY, Lee CH, Park KH, Lee JH. 2010. Effect of protein supplementation on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Korean J Sports Sci 21: 1298-1314. 

  13. Sanchez Oliver A, Miranda Leon MT, Guerra-Hernandez E. 2011. Prevalence of protein supplement use at gyms. Nutr Hosp 26: 1168-1174. 

  14. Bianco A, Mammina C, Paoli A, Bellafiore M, Battaglia G, Caramazza G, Palma A, Jemni M. 2011. Protein supplementation in strength and conditioning adepts: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practice in Palermo, Italy. J Int Soc Sports Nutr 8: 25-30. 

  15. Chung HK, Lee HY. 2011.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group in some regions of Korea. J Korean Diet Assoc 17: 190-205. 

  16. Kim SH. 2010. A study on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ts related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5: 150-159. 

  17. Han SJ. 2010.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health functional food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 48-56. 

  18. Kwak JH. 2007. The effect of silver generation's lifestyle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s. MS Thesis. Hoseo University, Seoul, Korea. p 153-163. 

  19. Kim KJ. 2009. A study for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health food and functional health food.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p 47-56. 

  20. Cha EK. 2006.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53-58. 

  21. Kim SH, Kang CK, Sung SC, Lee MG.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sports functional supplement pattern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iate athletes. Korean J Physical Education 51: 467-475 

  22. Kim JK. 2012. The current statues and cause of dietary supplement use in elite athletes. Korean J Physical Education 51: 427-435. 

  23. Nam SH, Sim KH. 2013. A survey on food purchasing of internet users via on-line shoppi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367-376. 

  24. Jeong MR, Kim BS, Lee YE. 2006. Quality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n internet. J Korean Diet Assoc 12: 200-215. 

  25. Shin YJ, Ju MJ, Kim YH. 2013.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xerci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04-910. 

  26. Ban SO. 2008.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health function foods purchase and damage.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p 19-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