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지역 대학생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와 건강기능식품 섭취 유무에 따른 식습관, 식이 섭취 및 식사의 질 조사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6 no.2, 2013년, pp.166 - 176  

김소영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유정순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장경자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HFF) and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by HFF consumption in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83 college students (179 males and 104 femal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실태 및 건강기능식품 섭취 유무에 따른 식습관, 식이 섭취 및 식사의 질을 조사하여 대학생에게 적합한 건강기능식품의 개발 및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섭취 유무에 따른 식습관, 식이섭취와 식사의 질을 비교한 연구로 대학생에게 적합한 건강기능식품의 개발 및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섭취를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인천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건강기능식품 섭취 유무에 따라 식습관, 식이섭취와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에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한 이유는? 8,9) 이로 인해 대학생의 영양상태는 전체 생애주기로 볼 때 양호하지 못한 경향이며 대학생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 증가로10) 피부 미용, 다이어트 및 피로 회복과 같은 건강기능식품의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에 기대를 갖는다.11) 대학생 시기에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건강기능식품에만 의존하여 건강을 관리하고자 한다면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고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성인기 및 노인기의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11,12)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
기능성 원료 중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청)의 별도 인정절차가 필요치 않는 고시형 원료는 무엇을 포함하고 있는가? 기능성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청)의 별도 인정절차가 필요치 않는 고시형 원료와 식약청이 안전성, 기능성, 기준 및 규격 등을 개별적으로 인정한 개별인정형 원료로 나누어진다.3) 고시형 원료는 영양소 28종과 터핀류, 페놀류, 지방산·지질류, 당·탄수화물류, 발효미생물류, 아미노산·단백질류 등을 포함한다.3) 건강기능식품의 복용실태에 대한 보고4)에 따르면 2011년 전 세계 건강기능식품의 시장 규모는 891억 달러이었고 세계 시장 1위 품목은 비타민·미네랄 보충제이었다.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 3조에 의하면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 (기능성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거나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정의된다. 기능성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청)의 별도 인정절차가 필요치 않는 고시형 원료와 식약청이 안전성, 기능성, 기준 및 규격 등을 개별적으로 인정한 개별인정형 원료로 나누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cited 2012 Nov 19].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2. Heo KO, Lee EH, Kim SW, Kim KJ, Cha KO. Consumer's trend and market. Paju: Kyomun Publishing Co.; 2006. p.77-89 

  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Informati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Cheongwon: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2 [cited 2012 Nov 19].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 go.kr/hfoodi 

  4. Nutrition Business Journal. NBJ's supplement business report. New York, NY: Penton Media, Inc.; 2012 

  5.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Weekly health industry trend. Cheongw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7. Jung KH. Research direction for functional foods safety. J Food Hyg Saf 2010; 25(4): 410-417 

  8. Kim BR.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healthrelated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9): 1215-1223 

  9. Lee YN, Lee JS, Ko YM, Woo JS, Kim BH, Choi H. Study on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2): 189-200 

  10. Heo SY, Cheon HM. Interest in the appearances, cosmetic surgery and skin care practice by th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J Beauty Trichology 2008; 4(2): 183-190 

  11. Kim SH. A study on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ts related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Food Cult 2010; 25(2): 150-159 

  12. Jin YH, You KH. A study on the eating habit and eating out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5): 687-693 

  13. Kim SH, Han JH, Kim WY. Health functional food use and related variables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2010; 43(3): 294-303 

  14. Kim SH. A survey on the use of and significant variable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Korean elderly. Korean J Food Cult 2011; 26(1): 30-38 

  15. Lee MY, Kim JS, Lee JH, Cheong SH, Chang KJ. A study on usag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internet. Korean J Nutr 2001; 34(8): 946- 955 

  16. Kwak JO, Lee CH, You HE, Sung HI, Chang KJ. Regional differences in dietary supplement use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via the internet.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5): 639-653 

  17. Lee HS, So YH. The effects of diet performance on physical selfworth in college student's. J Sport Leis Stud 2005; 25: 715-727 

  18. Bailey RL, Gahche JJ, Lentino CV, Dwyer JT, Engel JS, Thomas PR, Betz JM, Sempos CT, Picciano MF. Dietary supplement use in the United States, 2003-2006. J Nutr 2011; 141(2): 261-266 

  19. Chang HS, Kim MR. Effect of social-economic factors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and life-style on health foods intakes among the middle aged in the Jeonbuk regi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4): 617-627 

  20. Kim YS, Kim KJ, Kim EJ. Effects of taking protein supplements on the body structure and muscular function in weight training. J Sport Leis Stud 2001; 16: 281-296 

  21. Kim JS, Jung DS, Park DH. A survey of ergogenic acid supplementation in elite bodybuilder. Korean J Sport Sci 2012; 23(1): 155-166 

  22. Kim YS, Park JY. The analysis on appearance management of male college students: focused on management of hair, skin, cosmetic surgery, fashion and body shape. Korean J Hum Ecol 2009; 18(1): 259-273 

  23. Yoon GA, Hwang HJ. Effect of dietary protein and calcium levels on calcium metabolism of the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2): 176-180 

  24. Byrd-Bredbenner C, Wardlaw GM. Wardlaw's perspectives in nutrition, 8th edition. Boston, MA: McGraw-Hill; 2009 

  25. Chung HK, Lee HY.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age group in some regions of Korea. J Korean Diet Assoc 2011; 17(2): 190-205 

  26.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02; 18(2): 136-146 

  27. Yeo JH, Kim EY. University students' health habits and relevant factor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0; 16(2): 283-291 

  28. Jang HB, Lee HY, Han YH, Song J, Kim KN, Hyun T. Changes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between 1999 and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3): 324-336 

  29. Park SH. Comparing the nutrient intake, quality of diet, eating habit score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Iksan, according to their type of reside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6): 876-888 

  30. Ko M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3): 259-271 

  31.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standards: amendment of standards of identity for enriched grain products to require addition of folic acid. Fed Regist 1996; 61(44): 8761-8797 

  32. Honein MA, Paulozzi LJ, Mathews TJ, Erickson JD, Wong LY. Impact of folic acid fortification of the US food supply on the occurrence of neural tube defects. JAMA 2001; 285(23): 2981- 2986 

  33. Berry RJ, Li Z, Erickson JD, Li S, Moore CA, Wang H, Mulinare J, Zhao P, Wong LY, Gindler J, Hong SX, Correa A. Prevention of neural-tube defects with folic acid in China. China-U.S. collaborative project for neural tube defect prevention. N Engl J Med 1999; 341(20): 1485-1490 

  34. de Walle HE, de Jong-van den Berg LT, Cornel MC. Periconceptional folic acid intake in the northern Netherlands. Lancet 1999; 353(9159): 1187 

  3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36. Peneau S, Dauchet L, Vergnaud AC, Estaquio C, Kesse-Guyot E, Bertrais S, Latino-Martel P, Hercberg S, Galan P. Relationship between iron status and dietary fruit and vegetables based on their vitamin C and fiber content. Am J Clin Nutr 2008; 87(5): 1298- 1305 

  37. Kim SM, Kim JR. A study on the nutritional iron status of adults in Taegu c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1): 191-199 

  38. Kim KN, Kang HS, Song MN. Dietary behavior and calcium intake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Hum Ecol 2000; 9(3): 395- 403 

  39. Lim HJ. A study on the physical activity,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s of adults in Pusan.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4): 460-474 

  40. Mangano KM, Walsh SJ, Insogna KL, Kenny AM, Kerstetter JE. Calcium intake in the United States from dietary and supplemental sources across adult age groups: new estimate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3-2006. J Am Diet Assoc 2011; 111(5): 687-695 

  41. Moon JS, Won KC.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Yeungnam Univ J Med 2008; 25(1): 19-30 

  42. Li K, Kaaks R, Linseisen J, Rohrmann S. Associations of dietary calcium intake and calcium supplementation with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risk and overall cardiovascular mortality in the Heidelberg cohort of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study (EPIC-Heidelberg). Heart 2012; 98(12): 920-925 

  43. Lee JH, Lee YS. Effect of excess calcium and iron supplement on bone loss, nephrocalcinosis and renal function in osteoporotic model rats. Korean J Nutr 2000; 33(2): 147-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