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일부지역 대학생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Use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nd related variabl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4, 2015년, pp.352 - 363  

최정화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제유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서울 일부지역 대학교에 재학중인 345명의 한국인 대학생 남녀를 대상으로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실태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조사대상자의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율은 40.9%, 남학생의 섭취율은 40.2%, 여학생의 섭취율은 41.3%를 보였다. 2. 응답자들은 식품영양 전공자 인 경우 (p = 0.046), 그리고 가족들이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을수록 (p < 0.001)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의 섭취율이 높았다. 3. 건강관련요인과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와의 관계를 보면, 비흡연자 일수록 (p = 0.004), 현재 질병을 가지고 있을수록 (p = 0.039), 그리고 본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p = 0.001) 조사대상자의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율이 높았다. 4.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군이 비섭취군보다 식사할 때 음식에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지 않는 등 짜지 않게 먹는 식습관을 갖고 있었고 (p = 0.003)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p = 0.003) 전반적인 식생활 총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6). 5. 종합비타민제의 섭취율이 가장 높았고 (68.6%), 그 다음이 비타민 C제 (31.4%) > 칼슘제 (17.1%) > 종합비타민-무기질제 (10.7%) > 철분제 (9.3%)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C제 (p = 0.041)와 철분제 (p = 0.008)의 경우 여성의 섭취율이 남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음을 보였다. 하루에 섭취하고 있는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의 개수에 있어서 67.9%가 한 종류를 섭취한다고 조사되었으나, 하루에 두 종류 이상의 복용자도 32.1%에 해당했다. 섭취기간은 한 달~6개월 미만 복용자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6개월~1년 미만 15.1%, 그리고 1년 이상 복용하고 있는 학생들도 7.9%를 나타냈다. 6. 보충제 섭취군은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성분의 효능에 대해 62.1%가 '조금 아는 편이다', 20.0% 는 '전혀 모른다'고 답하였고, 보충제 구입은 34.3%가 본인이 구매하고 있으며, 65.7%의 응답자는 대부분 가족 또는 부모님이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보충제 섭취자들은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섭취 후 부작용을 경험하지 않았고 (97.9%), 섭취 후 개선점이 있는지에 관해 57.9%는 개선된 점이 없다고 답했으며, 앞으로의 복용계획에 대해서 계속 복용하겠다 라고 응답한 사람은 79.3%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본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하루에 한 종류의 보충제를 섭취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하루에 여러 종류의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는 대학생들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섭취되는 보충제의 종류는 종합비타민제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비타민 C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타민 C제와 철분제의 경우 여성의 섭취율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건강한 식행동을 갖고 있는 조사대상자들의 영양보충제 섭취율이 더 높게 나타나서 실제로 다양한 음식으로부터 충분한 영양소를 섭취하고 있는 대상자들이 별도로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섭취자의 대다수가 복용 후 개선된 점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나, 앞으로도 계속해서 복용하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많았다. 식품을 통한 영양소 섭취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보충제를 통한 영양소의 과다섭취가 장기간 지속될시 건강상에 위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espite the popularity of dietary supplements, little data are available on their use by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vitamin mineral supplement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supplement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University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조사한 연구로 대학생들에게 보충제에 대한 정확한 지식전달 제공과 지식이 올바른 소비로 실천될 수 있도록 영양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겠다.
  • 본 연구는 서울 일부지역 대학교에 재학중인 345명의 한국인 대학생 남녀를 대상으로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 실태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일부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타민·무기질 보충제의 섭취율, 보충제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관련 식행동/건강행태를 조사하여 한국 대학생들의 식이보충제 사용-건강위해평가에 관한 역학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보충제 섭취실태와 섭취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일부지역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율, 보충제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식행동, 건강행태를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 One subject who had missing values on variables was not included in this analysis. 2) χ2-test or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to assess the gender difference in variables.
  • 1) Subjects who had missing values on some variables were not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analyses. 2) χ2-test was used to assess the gender difference in variabl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영양보충제는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영양보충제는 비타민과 무기질 보충제이며, 미국에서는 종합비타민제의 섭취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4 우리나라의 성인 남녀의 식이보충제 복용경험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는 남자 (19~29세) 29.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는 어떻게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비타민·무기질 보충제는 실제로 질병이 있거나 임신, 채식주의자 등 특수 상황에서 영양소가 부족한 사람들에게 영양소를 공급할 목적으로 복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인들이 섭취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하여 본인에게 부족 된 영양소를 정확히 파악한 후에 섭취하여야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실제 보충제 복용자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건강한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7,10 습관적으로 장기 복용하는 보충제 섭취가 자칫 영양과잉으로 이어져 건강에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 도 있다.
대학생들의 잘못된 식이보충제의 섭취로 인해 생겨나는 부정적인 영향은? 따라서 대학생들은 이러한 스트레스로부터의 피로 회복과 건강유지에 대한 관심이 식이보충제, 특히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섭취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잘못된 인식으로 건강기능성 식품에만 의존하여 건강을 관리하게 되면 건강에 해가 될 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이 성인기와 노인기 까지 이어질 수 있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Nutrition Business Journal (US). NBJ's supplement business report 2012 [Internet]. Boulder (CO): Penton; 2012 [cited 2014 Mar 2]. Available from: http://newhope360.com/site-files/newhope360.com/files/uploads/2013/04/TOC_-SUMM120928.supp%20report%20FINAL%20standard.pdf.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13 Health functional food actual output report materials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cited 2014 Aug 14]. Available from: http://foodnara.go.kr/hfoodi/main/sub.jsp?Modeview&boardIDhome&num432&tpage1&keyfield&key&bCate. 

  3. Radimer K, Bindewald B, Hughes J, Ervin B, Swanson C, Picciano MF. Dietary supplement use by US adult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0. Am J Epidemiol 2004; 160(4): 339-349. 

  4. Murphy SP, White KK, Park SY, Sharma S. Multivitamin-multimineral supplements' effect on total nutrient intake. Am J Clin Nutr 2007; 85(1): 280S-284S.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6. Yi HH, Park HA, Kang JH, Kang JH, Kim KW, Cho YG, Song HR, Lee JS. What types of dietary supplements are used in Korea?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5. Korean J Fam Med 2009; 30(12): 934-943. 

  7. Kim YJ, Mun JA, Min H. Supplement dose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r among Korean middleaged.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3): 303-314. 

  8. Lee HS, Han JH, Kim SH. A survey on the consumption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related factors by Korean adolescents. Korean J Food Cult 2013; 28(4): 415-423. 

  9. Lee J, Kim D, Lee Y, Koh E, Jang Y, Lee H, Jang Y, Kim CI. Influencing factors on the dietary supplements consumption among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6): 740-750. 

  10. Kim MK, Choi BY, Lee SS. A study on the nutrient supplements usage and related factors in Seoul, Korea. Korean J Nutr 1992; 25(3): 264-274. 

  11. Mursu J, Robien K, Harnack LJ, Park K, Jacobs DR Jr. Dietary supplements and mortality rate in older women: the Iowa Women's Health Study. Arch Intern Med 2011; 171(18): 1625-1633. 

  12. Kim SH. A study on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ts related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Food Cult 2010; 25(2): 150-159. 

  13. Jin YH, You KH. A study on the eating habit and eating out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5): 687-693. 

  14. Kim SH.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s usage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1994; 27(3): 236-252. 

  15. Song BC, Kim MK.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 among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Nutr 1998; 31(6): 1066-1075. 

  16. Cho MS, Kang NE, Yang EJ, Kang MH, Chung HK. Patterns of health foods usage by food lifestyle of the adults in Seoul. Korean J Diet Cult 2001; 16(3): 195-202. 

  17. Koo NS, Park JY. Consumption aspects of health supplements or health foods by adult male and female in Daejon. J Korean Living Sci Assoc 2001; 10(2): 205-213. 

  18. Yoo YJ, Hong WS, Choi YS. The experience of nutrient supplement use among adults in the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 30(2): 357-363. 

  19.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02; 18(2): 136-146. 

  20.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3; 36(1): 83-92. 

  21. Kim SY, You JS, Chang KJ.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Korean J Nutr 2013; 46(2): 166-176. 

  22. Lee HS, Han JH, Kim SH. Prevalence of vitamin, mineral supplement us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s. J Nutr Health 2013; 46(6): 552-559. 

  23. Bailey RL, Gahche JJ, Lentino CV, Dwyer JT, Engel JS, Thomas PR, Betz JM, Sempos CT, Picciano MF. Dietary supplement use in the United States, 2003-2006. J Nutr 2011; 141(2): 261-266. 

  24. Lieberman HR, Marriott BP, Williams C, Judelson DA, Glickman EL, Geiselman PJ, Dotson L, Mahoney CR. Patterns of dietary supplement use among college students. Clin Nutr. Forthcoming 2014. 

  25. Ishihara J, Sobue T, Yamamoto S, Sasaki S, Tsugane S; JPHC Study Group. Demographics, lifestyles, health characteristics, and dietary intake among dietary supplement users in Japan. Int J Epidemiol 2003; 32(4): 546-553. 

  26. Kim SH, Han JH, Kim WY. Health functional food use and related variables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2010; 43(3): 294-303. 

  27. Willett W, Sampson L, Bain C, Rosner B, Hennekens CH, Witschie J, Speizer FE. Vitamin supplement use among registered nurses. Am J Clin Nutr 1981; 34(6): 1121-1125. 

  28. Lee YO, Song YJ.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style factors, and nutrient intake by taking vitamin/mineral supplements. Korean J Food Cult 2010; 25(4): 480-486. 

  29. Frank E, Bendich A, Denniston M. Use of vitamin-mineral supplements by female physicians in the United States. Am J Clin Nutr 2000; 72(4): 969-975. 

  30. Harrison RA, Holt D, Pattison DJ, Elton PJ. Are those in need taking dietary supplements? A survey of 21 923 adults. Br J Nutr 2004; 91(4): 617-623. 

  31. Jasti S, Siega-Riz AM, Bentley ME. Dietary supplement use in the context of health disparities: cultural, ethnic and demographic determinants of use. J Nutr 2003; 133(6): 2010S-2013S. 

  32. Rock CL. Multivitamin-multimineral supplements: who uses them? Am J Clin Nutr 2007; 85(1): 277S-279S. 

  33. Patterson RE, Neuhouser ML, Hedderson MM, Schwartz SM, Standish LJ, Bowen DJ. Changes in diet, physical activity, and supplement use among adults diagnosed with cancer. J Am Diet Assoc 2003; 103(3): 323-328. 

  34. Kirk SF, Cade JE, Barrett JH, Conner M. Diet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ietary supplement use in women. Public Health Nutr 1999; 2(1): 69-73. 

  35. Knudsen VK, Rasmussen LB, Haraldsdottir J, Ovesen L, Bulow I, Knudsen N, Jorgensen T, Laurberg P, Perrild H. Use of dietary supplements in Denmark is associated with health and former smoking. Public Health Nutr 2002; 5(3): 463-468. 

  36. Reinert A, Rohrmann S, Becker N, Linseisen J. Lifestyle and diet in people using dietary supplements: a German cohort study. Eur J Nutr 2007; 46(3): 165-173. 

  37. Chung KH, Shin KO, Jung TH, Choi KS, Jeon WM, Chung DK, Lee DS. Study on the dietary habit,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ir majors among college women in Sahmyook Univer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6): 826-836. 

  38. Marques-Vidal P. Vitamin supplement usage and nutritional knowledge in a sample of Portuguese health science students. Nutr Res 2004; 24(2): 165-172. 

  39. Albanes D, Heinonen OP, Taylor PR, Virtamo J, Edwards BK, Rautalahti M, Hartman AM, Palmgren J, Freedman LS, Haapakoski J, Barrett MJ, Pietinen P, Malila N, Tala E, Liippo K, Salomaa ER, Tangrea JA, Teppo L, Askin FB, Taskinen E, Erozan Y, Greenwald P, Huttunen JK. Alpha-Tocopherol and beta-carotene supplements and lung cancer incidence in the alpha-tocopherol, beta-carotene cancer prevention study: effects of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study compliance. J Natl Cancer Inst 1996; 88(21): 1560-1570. 

  40. Omenn GS, Goodman GE, Thornquist MD, Balmes J, Cullen MR, Glass A, Keogh JP, Meyskens FL, Valanis B, Williams JH, Barnhart S, Hammar S. Effects of a combination of beta carotene and vitamin A on lu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N Engl J Med 1996; 334(18): 1150-1155. 

  41. Lee DH, Folsom AR, Harnack L, Halliwell B, Jacobs DR Jr. Does supplemental vitamin C increas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women with diabetes? Am J Clin Nutr 2004; 80(5): 1194-1200. 

  42. Bjelakovic G, Nikolova D, Gluud LL, Simonetti RG, Gluud C. Mortality in randomized trials of antioxidant supplements for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7; 297(8): 842-857. 

  43. Gardiner P, Sarma DN, Low Dog T, Barrett ML, Chavez ML, Ko R, Mahady GB, Marles RJ, Pellicore LS, Giancaspro GI. The state of dietary supplement adverse event reporting in the United States.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8; 17(10): 962-970. 

  44. Haller C, Kearney T, Bent S, Ko R, Benowitz N, Olson K. Dietary supplement adverse events: report of a one-year poison center surveillance project. J Med Toxicol 2008; 4(2): 84-92. 

  45. Rasmussen CB, Glisson JK, Minor DS. Dietary supplements and hypertension: potential benefits and precautions. J Clin Hypertens (Greenwich) 2012; 14(7): 467-471. 

  46. Bolland MJ, Grey A, Reid IR.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i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Ann Intern Med 2014; 160(9): 655-6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