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및 관련요인
Quality of Sleep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0, 2014년, pp.6193 - 6203  

박의수 (대전보건대학교 보건의료정보학과) ,  신은숙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50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직업관련 특성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대전광역시 D공단에 소재하고 있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856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 및 한국판 PSQI를 사용한 수면의 질 평가 등이었다. 연구 결과, PSQI에 의한 수면의 질 평가에서 전체 조사대상자의 32.0%는 수면의 질이 좋은 것으로, 68.0%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모델에 의한 조사대상자의 수면의 질(PSQI) 수준은 기혼군일수록, BMI가 낮을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비흡연군, 음주군,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군 및 커피를 음용하는 군, 생산직 근로자, 주당 근무시간이 길수록, 질병으로 인한 결근 경험이 있는 군일수록, 외래진료경험이 있는 군일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위의 모델에서 보면 직업관련 특성이 추가됨으로 해서 13.1%의 설명력을 증가시켜 PSQI에 의한 수면의 질에 직업관련 특성이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sleep,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mong male workers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with fewer than 50 members. A self-administered qu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50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 상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직업관련 특성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D공단에 소재하고 있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수면의 질 상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직업관련 특성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도구는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이며, 본 연구에서도 높은 신뢰도 값을 보여 연구도구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장에서의 근무환경 중 근로자의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산업장에서의 근무환경 중 근로자의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교대근무나 야간근무에 따른 수면장애이다. 현대 사회의 직장환경은 교대근무 종사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교대근무를 시행함으로써 많은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으나 근무자들은 자신의 신체 및 일상생활의 리듬과 맞지 않는 시간대에 근무를 하게됨으로써 이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1].
수면장애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 하는데 네 가지는 무엇인가? 수면장애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 하는데 첫째는 수면을 시작하고 유지하는데 있어서의 장애(Disorders of Initiating and Maintaining Sleep; DIMS), 둘째는 과도한 졸음이 나타나는 장애(Disorders of Excessive Somnolence; DOES), 셋째는 수면-각성주기의 장애 (Disorders of the Sleep-Wake Schedule; DSWS),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면단계의 장애 혹은 부분 각성이 나타나는 수면반응 소실증(Parasomnia) 등이다[5].
야간근무에 따른 수면장애는 어떤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가? 현대 사회의 직장환경은 교대근무 종사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교대근무를 시행함으로써 많은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으나 근무자들은 자신의 신체 및 일상생활의 리듬과 맞지 않는 시간대에 근무를 하게됨으로써 이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1]. 일반적으로 야간근무를 하는 근로자는 생리적 기능상으로 피로의 증가, 수면장애, 식욕저하 등의 증상을 호소하기도 하며[2], 피로와 졸음에 따른 사고를 증가시킬 수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KH, Yang HK, Kim KH, Cho YC.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J Korean Soc Health Edu Promotion, 24(1):29-44, 2007. 

  2. Costa G, Ghirlanda G, Minors D. Waterhouse J. Evaluation of a rapidly rotating shift system for tolerance of nurses to night worker.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5:305-311, 1994. DOI: http://dx.doi.org/10.1007/BF00405694 

  3. Escriba V, Perez-Hoyos S, Bolumer F. Impact on the length and sleep among nurses of the Valencian region in Spain.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64: 125, 1992. DOI: http://dx.doi.org/10.1007/BF00381480 

  4. Lee KA. self-reported sleep disturbances in empolyed women. Sleep 15(6):493-498, 1992. 

  5. Association of Sleep Disorders Centers.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sleep and arousal disorders. Sleep Disorders Classification Committee, 2:1-137, 1979. 

  6. Parkes JD. Circadian rhythm and sleep, in sleep and it is disorders. London: WB Saunders. 143-145, 1985. 

  7. Takashi O, Amn K, Tomofumi S, Toshihiro L, Makoto U, Masurmi M, Sadahiko N. Night shift work related problem in young female nurses in Japan. J Occup Health, 43:150-156, 2001. DOI: http://dx.doi.org/10.1539/joh.43.150 

  8. Kim YK, Yoon DY, Kim JI, Chae CH, Hong YS, Yang CK, Kim JM, Kim JY. Effects of Health on shift-Work. Korean J Occup Environ Med, 14(3):247-256, 2002. 

  9. Son MA, Sung JH, Yeom MG, Kong JO, Lee HE, Kim IH, Kim JY. Circadian Disruptions of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Weekly Consecutive -12-hour 2 Shift Workers in the Automobile Factory in Korea. Korean J Prev Med, 37(2):182-189, 2004. 

  10. Southwell MT, Wistow G. Sleep in hospital at night: are patient?s needs being met? J Adv Nurs, 21:1101-1109, 1995.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5.21061101.x 

  11. Miller CA. Sleep and Rest. In Nursing Care of Older Adults: Theory and Practice. Little and Brown. 1990. 

  12. Monane M. Insomnia in the elderly. Journal Clin Psychiatry, 53(6):23-28, 1992. 

  13. Minors DS, Scott AR, Waterhouse JH. Circadian arrhythmia: shift work, travel and health. J Soc Occup Med, 36:39-44, 1986. DOI: http://dx.doi.org/10.1093/occmed/36.4.39 

  14. Gold DR, Rogacx S, Bock N. Rotating shift work, sleep, and accident related to sleepiness in hospital nurses. Am J Public Health, 82:1011-1014, 1992. DOI: http://dx.doi.org/10.2105/AJPH.82.7.1011 

  15. Dement WC, Piscope JA, Brindley FJ. Wake up America: a National Sleep Alert. Washington : US Department Health and Human Service. p54-55. 1993. 

  16.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17. Buyse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 Res, 28(2):193-213, 1989. DOI: http://dx.doi.org/10.1016/0165-1781(89)90047-4 

  18. Kim KD. A Study on Quality of Sleep and Sleep Disturbing Factor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Welfare for the Aged, 7(1):170-188, 2000. 

  19. Park YN, Yang HK, Kim HL, Cho YC.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sleep problems and fatigue symptoms of nurses for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1):37-47, 2007.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1.37 

  20. Wilkinson R, Allison R, Allison S, Feeney M, Kaninska Z. Alertness of night nurses: two shift systems compared. Ergonomics, 32:281-292, 1989. DOI: http://dx.doi.org/10.1080/00140138908966088 

  21. Reinberg A, Vieux N, Andlauer P. Concluding remarks on shift work tolerance: perspective based on findings derived from chronobiological field studies on oil refinery workers. Chronobiologia. 6(suppl 1):105-110, 1979. 

  22. Stewart AJ, Wahlquist ML. Effect of shift work on canteen food purchase. J Occup Med, 27(8):552-554, 1985. DOI: http://dx.doi.org/10.1097/00043764-198508000-00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