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BIM 도입을 위한 개선방안
Improveme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for Applying BI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0, 2014년, pp.6379 - 6387  

조근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  주기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  송종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표준화 된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건설 산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으로써, 정보표현의 통일성을 통해 효율적이고 명확한 건설정보 공유 및 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 북미 및 유럽의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활용도 향상 및 정보화 도구와의 연계를 목적으로 BIM 분야의 분류체계 도입을 위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BIM 분야의 시범 적용 과정을 거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정부에서 국내 실정에 맞는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구축하고 표준화하는 노력을 하였지만 이에 대한 활용비중이 낮으며 최근 대두되고 있는 BIM의 대응을 고려한 개선책이 아직 확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건설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과 활용성 제고를 목적으로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BIM 도입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ndardiz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enables extensive information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be shared and exchanged clearly by means of unified information expression. Recently, the constri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in North America and Europe has been revised to adap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BIM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국외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BIM 적용을 위한 동향을 조사하였으며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와의 비교를 통해 현재 국내 분류체계의 한계점을 분석하였다.또한 BIM 도입을 위한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개선방안을 BIM에서 표현하는 주요 요소인 객체와 속성 측면에서 제시하였으며 그 중 주로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표현하는부위 분류를 대상으로 확장목록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건설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과 실무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BIM 도입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외 분류체계의 BIM 분야 적용사례 및 개발동향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건설정보분류체계와 비교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BIM의 적용이 가능한 분류체계개선을 통해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제시하였다.
  • 또 다른참조대상으로는 BIM 표준정보모델인 IFC에서 정의하고있는 엔티티 및 타입의 표현 수준을 검토함으로써 객체표현을 위한 확장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IFC의 구조에서 엔티티 및 타입을 통해 정의하고 있는건물부위 대상들을 조사하고 이를 건설정보 분류체계의부위분류와의 비교함으로써 부위분류의 확장항목을 도출하는 사례를 제시한다. IFC는 현재 IFC4 버전이 공개되었으며 건축 및 MEP 분야를 중심으로 BIM 모델을 표현하는 정보 및 관계를 정의하고 있으며 특히 물리적인객체 및 이에 대한 위계를 표현하고 있다[16].
  • 국내의 경우, 정부에서 국내 실정에 맞는 통합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구축하였지만 이에 대한 활용비중이 낮으며, 최근 대두되고 있는 BIM의 대응을 고려한 개선책이 아직 확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국외 분류체계의 개발 및 활용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BIM 도입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서 는 개선에 대한 단계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실무적용을 통한 피드백과 함께 지속적인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노력을 통해 정보화 도구와의 연계 및 분류체계의 유연성, 확장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활용 가능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BIM에 적용할 경우 발생하는 한계를 분석하고자 국외 분류체계의 BIM 도입 동향조사를 통해 국내 분류체계와의 비교를 수행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방안 제시를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기본구성은?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건설정보의 공유 및 상호 교류를 위해 건설공사의 제반 단계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개발된 기준으로[1] 건설사업 시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설계도서, 공사비 내역서 등 건설공사 관련 문서의 작성과 정보관리시스템에서 건설정보의 분류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기본구성은 시설물분류, 공간분류, 부위분류, 공종분류, 자원분류로 정의하였으며, 자원분류는 자재분류, 장비분류, 인력분류의 3가지로 구분되어 총 7 가지 파셋(Facets)으로 개발되었다.
표준화된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활용할 경우 장점은 무엇인가?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건설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요소단위 별로 대상물의 체계를 정의한다. 건설 산업 정보화와 건설 업무의 체계화를 위해 표준화된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활용할 경우 건설 산업간 발생하는 정보를 공유 및 교류하기 위한 기반이 되며, 건설 산업의 구성요소 및 각종 정보에 대한 표현방식을 표준화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 할 수 있다. 최근 북미 및 유럽의 건설정보 분류체계는 BIM 분야의 분류체계 도입을 위해 기존 분류체계의 개편, BIM 소프트웨어의 분류체계 지원, BIM 관련 프로젝트의 시범 적용 등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건설정보분류체계의 저조한 활용의 원인중 하나는 무엇인가?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활용에 있어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국제표준 및 정보화 도구와의 연계성이 미흡하다는 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해결방안으로 건설정보시스템(CALS), 공정비용통합관리시스템(EVMS), 건설통합관리시스템(CIC) 등 분류체계의 활용이 가능한 시스템의 지원 및 개발이 필요하다[8]. 이러한 활용 시스템의 적용을 위해서는 건축물 정보의 통합구축이 가능한 BIM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으며 특히, BIM과 표준화된 분류체계와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활용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Application Standard,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2. J. S. Moon, C. H. Han, J. S. Won, "An Analysis of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for Applying BIM", Proceedings of Korea Computer Congress 2013, pp. 20-22, 2013 

  3. G. H. Cho, J. K. Song, K. B. Ju, "An Analysis of Overseas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Cases for Direction of Applying BIM" Proceedings of Korea Construction IT Convergence Institute, 2014 

  4. H. S. Yoon, S. S. Kim, J. S. Won, "A study on the object oriented classification for multidimensional design information" Proceedings of Society of CAD/CAM Engineers Conference, pp. 525-530, 2010 

  5. Y. S. Jung, Y. S, Kim, M. Kim, T. H. Ju, "Concept and Structure of Parametric Object Breakdown Structure(OBS) for Practical BIM" Proceeding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 No. 3, pp. 88-96, 2013 DOI: http://dx.doi.org/10.6106/kJCEM.2013.14.3.088 

  6. J. H. Yu, D. B. Chin, B. C. Kang, "Proposal for Standard Parameter System of Architecture Object" Proceedings of Society of CAD/CAM Engineers Conference, pp. 245-252, 2011 

  7. E. B. Lee,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BIM Library for Classification System and Property Information"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2011 

  8. H. Ok, S. J. Kim, M. B. Seo,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Proceedings of Korea Computer Congress 2013, pp. 25-27, 2013 

  9. OmniClass, http://www.omniclass.org, April, 2014 

  10. US Army Corps of Engineers, "Construction 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COBIE)", 2007 

  11. buildingSMART International, "IFD Library", http://www.ifd-inc.org, May, 2014 

  12. Veteran Affairs, "VA Object Element Matrix Version 1", http://www.cfm.va.gov/til/bim/BIMGuide/downloads/oemf.xls, April, 2014 

  13. C. W. Jo, "A Study on Developing Standard Framework for Implementing Open BIM", Ph. D.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12 

  14. CPIC, "Uniclass2", CPIC Web Site, http://www.cpic.org.uk/uniclass, April, 2014 

  15. CPIC, "The BIM Gateway", CPIC Web Site, http://www.cpic.org.uk/uniclass/the-bim-gateway, April, 2014 

  16. buiildingSMART International Model Support Group, "Industry Foundation Classes IFC4" buildingSMART Web Site, http://www.buildingsmart-tech.org/ifc/IFC4/final/html/index.htm, May,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