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항만특성에 맞는 그린포트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AHP를 이용한 울산항 그린포트 정책 우선순위 개발
Study on establishing Green Port Policy in Korea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f Ulsan Green Port Policy by using AHP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38 no.5, 2014년, pp.549 - 559  

김태균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김환성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무역지수의 증가로 인한 해상운송 및 항만개발수요의 증가는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선박기인 대기오염, 특히 온실가스 배출규제의 강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국제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선박 및 항만기인 환경오염 저감을 통한 자국민의 후생증진을 위하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Green Port 정책의 시행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0년 녹색성장기본법을 재정하고 국가 Green Port 구축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각 항만별 그린포트 구축계획의 수립 및 이행을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오일허브 항만을 지향하는 울산항의 지속가능한 친환경 항만운영을 위한 울산항의 Green Port 정책방안의 수립에 있다. 이를 위해 울산항의 친환경 항만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외 해양선진국의 그린포트구축 사례분석과 선행연구 조사,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울산항 그린포트 구축을 위한 정책대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정책대안에 대하여 전문가 AHP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울산항에 도입 가능한 그린포트 구축 정책대안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울산항의 특성에 맞는 지속적인 그린포트 정책의 시행을 위하여 하드웨어 정책으로 LED 교체와 AMP의 구축, 그리고 소프트웨어 정책으로 항만환경관리부서의 신설이 최우선 정책대안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ing demand of maritime transportation and port development especially due to increased international trade resulted in a strengthening of regulat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mainly from ships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sponding to thes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 현재 해운항만분야의 국제기구 환경규제현황과 이에 따른 해외 선진 항만의 그린포트정책 추진현황 및 방향과 국내 항만과의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AHP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울산항에 도입 가능한 그린포트정책 구축방안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지속적인 친환경 항만운영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그린포트 정책방향에 대응할 수 있는 액체화물, 살적화물 및 컨테이너 화물을 취급하는 울산항만의 특성에 부합하는 친환경 항만구축방안의 도출을 통한 울산항 그린포트 정책연구의 갭(gap)을 줄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현재 해운항만분야의 국제기구 환경규제현황과 이에 따른 해외 선진 항만의 그린포트정책 추진현황 및 방향과 국내 항만과의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출한다.
  • 본 연구는 국제무역의 증가로 인한 해운 및 항만 수요에 대한 증가추세와 동반되어 발생한 항만환경문제에 대한 대응 정책인 그린( 는 에코)포트 정책의 국내외 항만들을 최신 정책 현황과 과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가 그린포트 구축정책의 방향과 현황, 그리고 문제점을 해외 선진항만 사례 및 국내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상운송 및 항만개발수요의 증가가 초래하는 것은? 국제무역지수의 증가로 인한 해상운송 및 항만개발수요의 증가는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선박기인 대기오염, 특히 온실가스 배출규제의 강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국제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선박 및 항만기인 환경오염 저감을 통한 자국민의 후생증진을 위하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Green Port 정책의 시행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해상운송 및 항만개발수요의 증가의 원인은? 국제무역지수의 증가로 인한 해상운송 및 항만개발수요의 증가는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선박기인 대기오염, 특히 온실가스 배출규제의 강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국제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선박 및 항만기인 환경오염 저감을 통한 자국민의 후생증진을 위하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Green Port 정책의 시행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온실가스 배출규제의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무엇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인가? 국제무역지수의 증가로 인한 해상운송 및 항만개발수요의 증가는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선박기인 대기오염, 특히 온실가스 배출규제의 강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국제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선박 및 항만기인 환경오염 저감을 통한 자국민의 후생증진을 위하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Green Port 정책의 시행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0년 녹색성장기본법을 재정하고 국가 Green Port 구축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각 항만별 그린포트 구축계획의 수립 및 이행을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오일허브 항만을 지향하는 울산항의 지속가능한 친환경 항만운영을 위한 울산항의 Green Port 정책방안의 수립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eong, K. H., Kim S. J. and Park H. S. (2005), A studies on the Air Pollutant Emission Rate calculation from vessels in the Ulsan Port, 2005 Spring Conference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pp. 111-118. 

  2. Choi, S. B. and Han, S. H. (201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n Eco-Ports in Korea,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Vol. 6, No. 4, pp. 461-481. 

  3. ESPO (2005), Review of European Performance in 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ESPO Environmental Survey 2004, Apr 2005. 

  4. ESPO (2010), ESPO-EcoPorts Port Environmental Review 2009, Executive Summary, Feb. 2010. 

  5. ESPO (2013), ESPO Port Performance Dashboard, May 2013. 

  6. Jeong, B. H. (2009), Green Port Management Policy Direction in the Green Growth Era - The Case of Gwangyang Port in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25, No. 3, pp. 361-384. 

  7. Jeong, J. S. (2011), Green Port Strategies and Priorities of Port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 Vol. 12, No. 2, pp. 221-247. 

  8. Han, C. H. (2011), Green Port Strategies for Reduction Air Pollution in Port of Incheo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27, No. 1, pp. 281-304. 

  9.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2009), The Statu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and ai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of the Port of Incheon, IDI research report No. 2009-19, p. 164. 

  10. Kim, H. D. and Shin Y. J. (2010), Alternative for Establishing a Green-Logistics System in Gwangyang Port,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26, No. 2, pp. 36-48. 

  11. Kim, S. C., Ryoo D. K, and Lee D. H. (2008), A Strategic Development of Incheon Port Authority Using SWOT/AHP Method,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2, No. 3, pp. 193-198. 

  12. Kunhwa and KMU (2011), A Strategic Development of Green Port Policy of Busan Port, p. 390. 

  13. Lam, J. S. L. and Theo Notteboom (2014), The Greening of Ports: A Comparison of Port Management Tools Used by Leading Ports in Asia and Europe, Transport Reviews, Vol. 34, No. 2, pp. 169-189. 

  14. Song, G. E. and Han C. H. (2007),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of Port Pollutio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23, No. 1, pp. 95-113. 

  15. Ulsan Port Authority(UPA) (2013), A Strategic Development of Green Port Policy of Ulsan Port, UPA, p. 395. 

  16. Ulsan Port Authority(UPA), http://www.upa.or.kr 

  17. Yeou, Y. H. and Ryoo D. K. (2013),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mprovement Factors of Tug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7, No. 5, pp. 559-5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