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혈구의 산란빔 측정과 마이크로 세포 분석 바이오칩 제작
The Scattering Beam Measurement of the RBC and the Fabrication of the Micro Cell Biochip 원문보기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의학물리, v.25 no.2, 2014년, pp.116 - 121  

변인수 (영남대학교 의공학과) ,  권기진 (영남이공대학 의료기기과) ,  이준하 (영남대학교 의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본문은 Bio-MEMS 공정으로 제작한 마이크로 세포 분석 바이오칩을 사용하여 적혈구의 광학적 특성을 전압으로 측정한 실험이다. Bio-MEMS 공정을 이용하여 세포의 원활한 이동과 측정 분석에 사용되는 글라스에 채널 패턴 에칭을 위하여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와 산화완충식각(BOE: buffered oxide etchant) 공정 조건, 세포 분석과 정보 전달에 사용되는 광섬유의 에칭을 위하여 산화완충식각 공정 조건, 세포나 유체를 칩과 외부의 전달 등에 사용되는 글라스의 홀을 위하여 전기화학방전(ECD: electro chemical discharge) 공정 조건, 글라스 접합을 위한 자외선반응접합(UVSA: ultraviolet sensitive adhesives) 공정 조건을 정립하였다. 또한 유체나 세포의 흐름 제어를 위한 라미나 흐름 조건, 적혈구세포에 대한 산란빔 파형을 측정하였다. 적혈구 실험을 통하여 출력 광섬유의 각도에 따른 산란빔이 출력측의 광섬유각도가 $0^{\circ}$일 때 약 17 V, 각도가 $5^{\circ}$일 때 약 10 V, 각도가 $10^{\circ}$일 때 약 6 V, 각도가 $15^{\circ}$일 때 약 4 V의 전압(Vpp)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마이크로 세포 분석 바이오칩 제작의 소형화, 단순화, 공정신간 단축, 정량화하였고 적혈구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을 측정함으로써 의공학(biomedical), 바이오칩공학(biochip), 반도체공학(semiconductor),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등의 응용과학 분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xt future, The bio technology will be a rapidly developing. This paper is the scattering beam measurement of the red blood cell (RBC) and the fabrication of the micro cell biochip using the bio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Bio-MEMS) process technology. The Major process method of Bio-MEMS te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적혈구의 광학적 특성 분석과 마이크로 세포 분석 바이오칩 제작에 관한 논문이다. 바이오칩 제작은 Bio-MEMS 공정 기술로 제작하여 적혈구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11) 싱글모드 광섬유는 전체 지름이 50 μm, 코어 지름이 9 μm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이란? 글라스 에칭은 Bio-MEMS 공정의 포토리소그래피와 산화완충식각 방법으로 에칭하였다.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은 특정한 감광액(PR: Photoresist)에 마스크 패턴을 사용하여 자외선(UV: ultraviolent)을 선택적으로 노광함으로써 마스크 패턴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감광액은 포지티브(positive)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반응접합 방법의 원리는? 제작한 패턴 글라스와 커버 글라스는 자외선 반응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자외선 반응접합 원리는 접합액에 자외선을 노광하면 접합액의 화학적인 변화에 의하여 경화되는 원리이다.
Bio-MEMS란? 바이오칩 제작은 Bio-MEMS 공정 기술로 제작하여 적혈구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Bio-MEMS는 바이오와 멤즈의 합성어로서 체내외의 생체적인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하며 유전자 재조합과 세포분리 및 분석, 유전, 성장, 제어, 물질대사에 적용하는 바이오칩 기술로서 소형 및 휴대용으로 제작 시 언제 어디서나 진단하여 치료가 가능한 융합기술 분야이다.1) Bio-MEMS 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글라스 패턴 에칭을 위한 포토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와 산화완충식각(BOE: buffered oxide etchant),2) 광섬유 글래딩 에칭을 위한 산화완충식각,3) 글라스 홀을 위한 전기화학방전(ECD: electro chemical discharge),4) 글라스 접합을 위한 자외선반응접합(UVSA: ultraviolet sensitive adhesives)5) 공정으로 제작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체와 세포의 흐름 제어를 위한 라미나 흐름 조절6,7)과 적혈구에 대한 광학적 산란빔 파형8,9) 측정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2020 year bio economic opening. Science and technology 375:42-45, 1599-7340 (2000) 

  2. Jing XM, Chen D, Fang DM, Huang C, Liu JQ: Multilayer microstructure fabrication by combining bulk silicon micromachining and UV-LIGA technology. Microelectronics J 38:120-124 (2007) 

  3. Bu MI, T Melvin, GJ Ensell: A new masking technology for deep glass etching and its microfluidic application. Sensors and Actuators A 115:476-482 (2004) 

  4. Hu CY, Lo SL, Li CM, Kuan WH: Treat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wastewater by electro coagulation flotation process with surfactant. J Hazardous Mater 120:15-20 (2005) 

  5. 정안목, 전의식, 김철호: A study on the metal-glass bonding using ultra- sonic. J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10(2):June (2011) 

  6. Zbigniew D, Paul R, Harry C: Flow cytometry. Academic press (2nd):part A-B (1995) 

  7. David PS, Christopher TC, Stephen CJ, Michael R: Microchip flow cytometry using electro kinetic focusing. Analytical Chemistry 71(19):4173-4177 (1999) 

  8. Kim S, Williams RT, Lee HK, Midori M: Turner size characterization of magnetic cell sorting micro beads using flow field flow fractionation and photon correlation spectroscopy. J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 194:248-253 (1999) 

  9. Daniel S, Young AM, Gray ML, Senturia SD: A micro fabricated flow chamber for optical measurements in fluids. IEEE: 219-224 (1993) 

  10. Yoo DS, Sim KS: Track distribution of recoil protons in PN-3 dosimeters etched in NaOH solution.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2):129-139 (1991) 

  11. Lee BY, Yoon HG, Hyun KS, Kwon YH, Yun IG: Investigation of manufacturing variations of planar InP/InGaAs avalanche photodiodes for optical receivers. Microelectronics J 35:635-640 (2004) 

  12. Al-Mufti R, Hambley H, Albaiges G, Lees C, Nicolaides KH: Increased fetal erythroblast in women who subsequently develop preeclampsia. Hum Reprod 15:1624-1628 (2000) 

  13. 신동오, 홍성언, 이병용, 이명자: The construction of solid state detector system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diode and its application.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1(1):91-95 (1990) 

  14. Jian J, Lili C, Chengrong S, Fu XZ: A study of the effect of PTFE electret on fibroblast cell cycle with flow cytometry (FCM). Proceedings of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ets:171-173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