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녀양육에 대한 국내 간호학분야 연구논문 분석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on Child Rearing in Korea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4, 2014년, pp.264 - 274  

이동원 (경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권인수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학분야에서 수행된 양육에 대한 연구논문을 양육의 속성과 지식체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추후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와 간호실무의 방향을 설정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KoreaMed, 한국학술정보,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과학기술학회 마을, 한국교욱학술정보원의 5개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20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개념을 양육의 속성과 지식체 유형별(기술적, 설명적, 처방적 지식)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설계는 실험연구가 27.3%, 비실험연구가 72.7%였고, 연구대상자는 양육자로는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36.0%), 피양육자로는 신생아가 가장 많았다(29.6%). 양육속성별로는 양육에 대한 반응 영역이 가장 많았고(49.9%), 양육지식 영역이 가장 적었다(2.2%). 양육속성의 하위영역별로는 양육에 대한 반응 영역에서는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효능감 양육태도 등의 순이었고, 양육실제 영역에서는 애착, 부모-자녀 상호작용, 양육행동/양육실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성장/발달/행동 영역에서는 영아의 성장과 발달, 행동/건강 문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식체 유형별로는 설명적 지식이 가장 많았고(55.2%), 처방적 지식(30.0%), 기술적 지식(14.9%)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지식체가 개발되었으나 처방적 지식의 개발이 미흡하며, 발달단계별 양육과 어머니 외의 다른 양육자 대상 연구가 부족하였고, 양육의 실제적인 측면보다는 양육에 대한 반응에 관한 연구가 더 많았다. 따라서 양육의 공동 책임자인 아버지와 대리 양육자 대상의 연구, 아동의 발달 단계별 건강을 위한 아동간호학의 차별화된 지식 개발 연구, 양육실제를 유도하는 처방적 지식을 개발하는 연구와 아동양육의 국가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아동양육정책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pers on child rearing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and nursing practice directions for child rearing. Methods: An on-line search via 5 web sites yielded 201 research papers. The analysis of key concepts was based on the attributes of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 학술지 게재논문과 간호학 분야 학위논문 중 가족 양육자의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논문을 양육의 속성과 지식체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추후 아동양육에 대한 연구와 간호실무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가 국내 간호학 학술지에 소개되기 시작한 1973년부터 2013년까지 간호학 학술지 게재논문과 학위논문 중 가족양육자의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논문을 양육속성과 지식체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추후 아동양육에 대한 연구와 간호실무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 간호학회지의 게재 논문과 간호학 분야 학위논문 중 가족양육자의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수행된 가족 양육자의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아동양육에 대한 지식체 개발의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아동양육에 대한 연구와 간호실무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분야에서 수행된 가족 양육자의 자녀양육에 대한 논문을 Kim 등(2004)의 지식체 유형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이용하여 아동양육에 대한 지식체 개발 현황을 분석하고, 추후 아동양육에 대한 연구와 간호실무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육의 질이 아동에게 매우 중요한 이유는? 아동의 성장발달과 건강의 유지증진은 출생 이전의 생물학적, 유전적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출생 후의 물리적, 사회적, 정서적 양육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양육의 질은 아동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육의 결과는 부모와 자녀에게 성장과 만족을 가져오지만,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의 경우 아동으로 하여금 정상적인 신체발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거나 정서적 결핍을 초래하기도 한다(Lee, 1998).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의 경우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아동의 성장발달과 건강의 유지증진은 출생 이전의 생물학적, 유전적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출생 후의 물리적, 사회적, 정서적 양육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양육의 질은 아동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육의 결과는 부모와 자녀에게 성장과 만족을 가져오지만,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의 경우 아동으로 하여금 정상적인 신체발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거나 정서적 결핍을 초래하기도 한다(Lee, 1998). 따뜻하고 지지적인 양육은 긍정적인 인지, 행동, 감정, 신체 결과와 관련되는 반면, 엄격하고 학대적이며 정서적으로 방임하는 양육은 아동기와 성인기에서의 신체적, 정서적, 정신적, 행동적 건강문제와 연관되며, 이러한 양육은 아동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결과들의 20-50%를 설명한다(Waylen & Stewart-Brown, 2009).
양육 혹은 양육에 대한 다면적인 속성들은 무엇이 있는가? 양육이란 ‘아동을 한 인간으로 기르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가 자녀를 보살피는 활동이고, 아동의 성장발달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며, 불변의 형태가 아니어서 시간, 공간, 대상에 따라 변하면서 노력과 정성을 필요로 한다(Lee, 1998). 이러한 양육 혹은 양육에 대한 부모역할은 다양한 속성을 가지고 있어서 여러 학자들(Bigner, 1985; Kim, 2002; Kim & Han, 2009; Lee, 1992; Lee, 1998; Sim, Seo, & Kwon, 1998)이 제시한 속성들을 종합하면 애정결속, 신체적 돌보기, 훈육과 교육, 질병 및 사고 예방, 성장발달 지지, 부모역할 획득과 양육에 대한 반응 등 양육의 대상자로서의 아동뿐만 아니라 양육자 자체에 관한 다양한 측면이 포함됨을 알 수 있다. 양육의 이러한 다면적인 속성은 적절한 양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아동을 위한 양육의 내용과 방법, 아동에게 나타나는 결과뿐만 아니라, 양육자의 양육능력과 양육에 따르는 반응 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igner, J. J. (1985). Parent-child relations. New York: Macmillan Publication Company. 

  2. Bryanton, J., Beck, C. T., & Montelpare, W. (2013). Postnatal parental education for optimizing infant general health and parent-infant relationships. The Cochrane Library, 11, 1-90.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4068.pub4 

  3. Dickoff, J., & James, P. (1968). A theory of theories: A position paper. Nursing Research, 17, 197-203. 

  4. Fagan, J., & Palm, G. (2004). Fathers and early childhood program. New York: Delmar Learning. 

  5. Han, K. J. (2000). Child-rearing & nursing role.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3(1), 95-101. 

  6. Kim, E. S., Kim, K. S., Kim, D. R., Kim, E. J., Sung, K. M., Shin, H. K., et al. (2004). Trends of nursing science inquiry in doctoral dissertation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34, 315-323. 

  7. Kim, J. S., Lim, J. Y., Kwon, I. S., Kim, T. I., Park, H. R., Ahn, H. Y., et al. (2011).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5-2009).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2), 100-110.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2.100 

  8. Kim, M. R., Park, Y. H., & Park, E. S. (2010). Research trends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from the perspective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4), 249-258.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4.249 

  9. Kim, M. Y., & Park, D. Y. (2009).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verbal abuse of infant's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4), 375-382.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4.375 

  10. Kim, S. A., & Han, Y. J. (2009).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tress, and knowledge on child rearing on his parenting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8(1), 55-64. 

  11. Kim, S. G. (2002). Concept analysis of the caretaking behavior fo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8(4), 414-421. 

  12. Kim, T. I., Kang, K. A., Goo, H. Y., Kwon, I. S., Kim, M. Y., Lee, S. Y., et al. (2009). Child health care: Infant-toddler health education. Paju: Yangseowon.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ivision of Chronic Disease Surveillance. (2008). 2007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Survey.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4.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2). The National Child Care Survey.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5. Kwon, I. S. (2013). Trend and perspectives of studies on paternal parenting in pediatric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9(2), 69-75. http://dx.doi.org/10.4094/chnr.2013.19.2.69 

  16. Kwon, I. S., Seo, Y. M., & Kim, J. Y. (2012). Trends in research on caregivers hospitalized children in Korea-focus on knowledge typ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8(3), 101-108.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3.101 

  17. Lee, G. J., Kang, Y. H., Gu, M. O., Kim, K. H., Kim, O. S., Seo, Y. O., et al. (2012). Analysis of Trends and Contents of Nursing Doctoral Dissertation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2), 302-309. http://dx.doi.org/10.4040/jkan.2012.42.2.302 

  18. Lee, H. J., Lee, S. A., Kim, M. H., Kim, Y. H., & Park, N. H. (2004). A study of parental knowledge and confidence in newborn car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0(3), 262-271. 

  19. Lee, S. Y. (1998). A concept analysis of the rearing.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4(1), 76-85. 

  20. Lee, Y. E. (1992).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act of an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primiparous mothers and enhance their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2(1), 81-115. 

  21. National Evidence 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 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2. Oh, J. A. (2007).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elf-efficacy in grandmothers raising infant and toddler.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0(1), 25-35. 

  23. Oh, J. A., & Lee, J. H. (2003).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related to the mother-child Interac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2), 149-161. 

  24. Paik, S. N., Kim, J. H., Wang, M. J., Sung, M. H., & Cho, K. J. (1996). The trend of nursing research in Korea on mother-child relationship.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1), 55-68. 

  25. Shin, H. S., Hyun, M. S., Ku, M. O., Cho, M. O., Kim, S. Y., Jeong, J. S., et. al. (2010).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 focused on research trends, intervention studies, and level of evidence in the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139-149.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139 

  26. Sim, Y. S., Seo, Y. M., & Kwon, I. S. (1998). Education needs of toddler's mother in child-caring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4(2), 231-244. 

  27. Waylen, A., & Stewart-Brown, S. (2009).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in early childhood: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focusing on change.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6(2), 198-207. 

  28. Won, M. R., Lee, S. H., Kim, H. K., Yoo, H. Y., & Park, J. U. (2012). Grandmothers' experience of child care with grandchildren: A grounded theory approach.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5(1), 39-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