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 발달지지를 위한 간호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Developmental Support Competency Scale for Nurses Caring for Preterm Infa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6, 2016년, pp.793 - 803  

김정순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신희선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evelopmental care has been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component for the development and health promotion of preterm infants. However, research on how to assess developmental nursing competency has not been studied as expected.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evaluate a new scale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국내에서는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에 대한 실무 적용과 평가가 미흡한 상태로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역량에 대한 현상 확인과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혼종모형을 활용한 개념분석을 통해 발달지지간호역량의 주요개념 및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용적이고 체계화된 간호사의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발달지지간호역량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가 다소 미흡한 시점에서 체계적인 개념분석과정을 통해 속성을 확인함으로 발달지지간호역량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비판적 사고, 상호작용, 전문성 개발, 부모지지, 환경지지, 파트너십 등 6개 요인은 추후 발달지지간호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가이드 및 프로토콜 개발 과정에서 개념적 틀로 참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발달지지간호역량은 미숙아의 최적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미숙아를 간호하는 간호사가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인 실무능력으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발달지지간호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신뢰도와 구성 타당도 검증과정을 통해 총 19문항의 4점 Likert type 척도로 비판적 사고, 상호작용, 전문성 개발, 부모지지, 환경지지, 그리고 파트너십 등 6개 하부영역으로 구성된 자가보고형식의 도구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개발된 도구는 신뢰도와 구성 타당도 검증과정을 통해 총 19문항의 4점 Likert type 척도로 비판적 사고, 상호작용, 전문성 개발, 부모지지, 환경지지, 그리고 파트너십 등 6개 하부영역으로 구성된 자가보고형식의 도구이다.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실무가 미흡하고, 발달지지간호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도구가 없는 상태에서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역량에 대한 속성을 확인하고 도구를 개발 및 평가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발달지지간호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이론적 근거 및 평가지표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미숙아 발달지지에 대한 간호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집단비교법 타당도(known-groups validity) 검증을 위해 선행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미숙아 발달지지간호와 관련된 NIDCAP의 내용을 포함한 직무훈련 및 교육경험이 있는 그룹[9,16], 결혼 및 출산 경험이 있는 그룹[28,29]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발달지지간호 역량이 높을 것으로 가정하여 두 그룹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차이를 확인한 결과 발달지지간호 내용을 포함한 직무교육 및 프로그램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집단(t=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IDCAP이란 무엇인가? 통합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신생아 발달지지간호 및 사정 프로그램인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NIDCAP)은 미숙아를 위한 개별맞춤형 발달지지간호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의료진의 발달지지에 대한 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 훈련 프로그램이다. 이는 미숙아 행동단서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해석능력, 신경계 발달증진을 위한 간호기술, 발달을 지지할 수 있는 환경관리 등의 주요 핵심내용을 포함하여 간호사의 전문지식과 간호기술 뿐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와 연합, 자기이해 및 성숙 등 내적성찰에 대한 역량을 향상 시키도록 하고 있다[9,10].
간호역량이란 무엇인가? 한편, 실무현장에서 직위에 따라 적절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식, 기술, 태도, 그리고 재능 등이 통합되는 내적 자질인 간호역량(nursing competency)은 1990년대 간호사의 임상역량향상을 위한 실제적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11,12]. 이 용어는 초기에는 경험의 본질을 지식, 기술로 측정하는 기술 중심적 속성을 강조하였지만 최근에는 태도, 동기, 자기이해, 수용력 등 인간중심적 속성을 강조하는 추세로 변화하였다[13].
NIDCAP은 어떤 핵심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가? 통합이론을 토대로 개발된 신생아 발달지지간호 및 사정 프로그램인 Newbor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and Assessment Program (NIDCAP)은 미숙아를 위한 개별맞춤형 발달지지간호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의료진의 발달지지에 대한 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 훈련 프로그램이다. 이는 미숙아 행동단서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해석능력, 신경계 발달증진을 위한 간호기술, 발달을 지지할 수 있는 환경관리 등의 주요 핵심내용을 포함하여 간호사의 전문지식과 간호기술 뿐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와 연합, 자기이해 및 성숙 등 내적성찰에 대한 역량을 향상 시키도록 하고 있다[9,10]. 이 프로그램은 발달지지간호의 패러다임을 업무중심에서 관계중심으로, 일률적인 프로토콜을 따르는 반복적 업무보다는 직관적 사고에 의한 의사결정 및 창의적 업무중심으로 변화시켰으며[9], 발달지지간호역량에 대한 인식과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lencowe H, Cousens S, Oestergaard MZ, Chou D, Moller AB, Narwal R, et al. National, regional, and worldwide estimates of preterm birth rates in the year 2010 with time trends since 1990 for selected countries: A systematic analysis and implications. The Lancet. 2012;379(9832):2162-2172. http://dx.doi.org/10.1016/s0140-6736(12)60820-4 

  2. Statistics Korea. Connective analysis for birth data of infant death: 2005-2009 [Internet]. Daejeon: Author; 2011 [cited 2016 January 1].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aSeq248859&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0. 

  3. Han YJ. Infant and maternal mortality survey in 2002-2003.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4. Report No.: Policy Report 2004-55. 

  4. Roberts G, Anderson PJ, Davis N, De Luca C, Cheong J, Doyle LW.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geographic cohorts of 8-year-old children born extremely preterm or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 the 1990s.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2011;53(1):55-60. http://dx.doi.org/10.1111/j.1469-8749.2010.03779.x 

  5. Browne JV. Developmental care for high-risk newborns: Emerging science, clinical application, and continuity from newborn intensive care unit to community. Clinics in Perinatology. 2011;38(4):719-729. http://dx.doi.org/10.1016/j.clp.2011.08.003 

  6. Delobel-Ayoub M, Kaminski M, Marret S, Burguet A, Marchand L, N'Guyen S, et al. Behavioral outcome at 3 years of age in very preterm infants: The EPIPAGE study. Pediatrics. 2006;117(6):1996-2005. http://dx.doi.org/10.1542/peds.2005-2310 

  7. Als H. Toward a synactive theory of development: Promise for the assessment and support of infant individualit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982;3(4):229-243. http://dx.doi.org/10.1002/1097-0355(198224)3:4 3.0.CO;2-H 

  8. Kim J, Shin H. Concept analysis of developmental care for preterm infants: Hybrid model.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 (4):350-358. http://dx.doi.org/10.4094/chnr.2014.20.4.350 

  9. Smith K, Buehler D, Hedlund R, Kosta S, Als H. NIDCAP nursery certification program (NNCP): A guide to preparation,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NIDCAP nursery certification. Boston, MA: NIDCAP Federation International; 2011. p.1-23. 

  10. Laudert S, Liu WF, Blackington S, Perkins B, Martin S, Macmillan-York E, et al. Implementing potentially better practices to support the neurodevelopment of infants in the NICU. Journal of Perinatology. 2007;27(Suppl 2):S75-S93. http://dx.doi.org/10.1038/sj.jp.7211843 

  11. Cowan DT, Norman I, Coopamah VP. Competence in nursing practice: A controversial concept-A focused review of literature.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007;15(1):20-26. http://dx.doi.org/10.1016/j.aaen.2006.11.002 

  12. Campbell B, Mackay G. Continuing competence: An Ontario nursing regulatory program that supports nurses and employers.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1;25(2):22-30. 

  13. Axley L. Competency: A concept analysis. Nursing Forum. 2008;43(4):214-222. http://dx.doi.org/10.1111/j.1744-6198.2008.00115.x 

  14. National Association of Neonatal Nurses. Developmental care selfassessment [Internet]. Chicago, IL: Author; 2008 [cited 2016 June 15]. Available from: http://nann.org/uploads/Education/Dev_Care_Specialist_self-assessment_ test-FINAL_10-19-10.pdf. 

  15. Toth JC. Development of the basic knowledge assessment tool (BKAT) for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 NICU-BKAT3, its uses, and effect on staff nurses.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007;21(4):342-348. http://dx.doi.org/10.1097/01.JPN.0000299792.31914.5a 

  16. Altimier L, Kenner C, Damus K. The wee care neuroprotective NICU program (Wee Care): The effect of a comprehensive developmental care training program on seven neuroprotective core measures for family-centered developmental care of premature neonates.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5;15(1):6-16. http://dx.doi.org/10.1053/j.nainr.2015.01.006 

  17. Bang KS, Park JS, Kim JY, Park JY, An HS, Yun BH. Literature review on nursing intervention for premature infa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3; 17(1):49-61. 

  18. Park KO, Lee YY. Developing a performance appraisal tool fo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2):267-276.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2.267 

  19. Schwartz-Barcott D, Kim HS.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qi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CA: W.B. Saunders; 2000. p. 129-159. 

  20.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Paju: Soomoonsa; 2009. p. 1-789. 

  21. Son HM, Koh MH, Kim CM, Moon JH.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6):988-997. 

  22. Dilorio CK. Measurement in health behavior: Methods for research and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5. p. 1-306. 

  23. Coughlin M, Gibbins S, Hoath S. Core measures for developmentally supportive ca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Theory, precedence and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0): 2239-2248.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9.05052.x 

  24. Reid T, Freer Y. Developmentally focused nursing care. In: Boxwell G, editor. Neonatal intensive care nursing.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2010. p. 16-39. 

  25. Ware JE, Snow KK, Kosinski M, Gandek B. SF-36 health survey: Manual and interpretation guide. Boston, MA: New England Medical Center; 1993. p. 1-238. 

  26. Fayers PM, Machin D. Quality of life: The assessment, analysis and reporting of patient-reported outcomes. 3rd ed. Chichester, UK: Wiley-Blackwell; 2016. p. 1-626. 

  27. Ware JE Jr., Gandek B. Methods for testing data quality, scaling assumptions, and reliability: The IQOLA project approach. International Quality of Life Assessment.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8;51(11):945-952. http://dx.doi.org/10.1016/S0895-4356(98)00085-7 

  28. Ha NS, Choi J. An analysis of nursing competency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3):286-294.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3.286 

  29. Chang YH, Cho YS, Kwak MJ. A study of factors related nursing competency in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7-19. 

  30. Takase M, Teraoka S. Development of the holistic nursing competence scale. Nursing & Health Sciences. 2011;13(4):396-403.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1.00631.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