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후 여성의 낙상예방행위 예측모형
A Predictive Model of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5, 2014년, pp.525 - 533  

장현정 (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opose and test a predictive model that would explain and predict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health belief model was the theoretical basis to aid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fall prevention program. Methods: Data for 421 postme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낙상예방행위 모형 검증은 아직 보고된 적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골다공증 예방행위 모형검증 연구와 낙상 또는 골절예방행위와 관련한 단변량 연구와 비교 논의하고자 한다. 낙상예방에 대한 기대요인이 클수록 낙상예방행위를 잘 실천하도록 직접 영향을 미쳤다.
  • 이러한 건강신념과 골절/ 낙상예방행위는 대상자의 학력과 낙상이나 골절에 대한 지식에 의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8,10-12,16] 이를 수정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이 증가하는 폐경 후 여성에게 낙상예방행위 예측모형을 적용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관련 요인들간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평가하여, 폐경 후 여성의 낙상예방을 위한 건강행위 실천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중재를 제공하는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변수간 관련성만을 보고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대상자의 낙상예방행위를 도모할 때 건강신념과 함께 개인의 배경특성을 포함한 수정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건강신념모형의 이론적 주장을 지지한 것이다. 따라서, 낙상예방행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건강신념 뿐 아니라 지식을 포함한 수정가능한 요인에 대한 사전 평가가 우선 필요하고[5-7], 낙상예방 행위를 동기화 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낙상예방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을 향상시키는 중재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수정된 건강신념모형[14,15]에 바탕을 두고 폐경 후 여성의 낙상예방행위를 설명하는 영향요인을 종합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고,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수정된 건강신념모형에 근거하여 65세 미만의 자연폐경을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낙상예방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낙상예방행위 예측모형을 구축하고 요인간의 경로와 영향력을 파악하는 모형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폐경 후 여성의 건강신념은 기대요인과 위협요인 모두 낙상예방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수정요인은 건강신념을 통해 낙상예방 행위를 간접적으로 설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항에 있는 골절을 낙상으로 바꾸어, ‘낙상’ 예방행위를 얼마나 잘 실천하고 있는지 평가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성 골절을 초래할수 있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관리 전략을 수립하고자 건강신 념모형에 근거한 낙상예방행위 예측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수정요인이 낙상예방에 대한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과,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은 낙상예방행위 실천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수정요인은 건강신념을 통해 간접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 가설모형을 설정하였다(Figure2). 낙상예방행위에 대한 건강신념 변수는 낙상예방에 대한 유익성과 자기효능감이 높고 장애성이 낮을수록 낙상예방행위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골절/낙상예방행위를 실천하는 연구[8,16]를 바탕으로 상대적 유익성(장애성 대비 유익성이 크다고 지각하는 것), 자기효능감, 건강동기를 기대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 후 여성이 낙상으로 인한 골절 위험에 노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폐경 후 여성은 노화로 인한 신체 기관의 기능 감퇴와 여성 호르 몬의 변화로 골밀도 감소가 진행되므로 낙상으로 인한 골절 위험에 노출된다. 미국과 유럽에서 50세 이상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은약 30%, 한국에서는 37.
낙상은 무엇을 통해 예방이 가능한가? 낙상은 낙상률이 높은 시설노인, 입원노인 및 재가노인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낙상을 초래하는 상당수의 위험요인과 선행요인을 사정하고 낙상위험 요인을 낮추기 위한 교육, 생활습관 변화 및 안전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예방 가능한 것으로 관점이 바뀌고 있다 [5-7]. 폐경 후 여성은 10년 이내에 노년기로 전환되기 때문에 낙상 조기예방 전략을 실천해야 하는 최적의 대상자이므로, 이들을 위한 간호연구와 실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낙상예방행위 실천을 위한 건강신념모형의 기본 전제는 무엇인가? 이에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을 위한 낙상예방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수정된 건강신념모형[14,15]을 바탕으로 대상자의 수정요인, 기대요인, 위협요인을 포함한 낙상예방 행위 예측모형의 이론적 기틀을 구축하였다(Figure 1). 건강신념모 형의 기본 전제는 건강행위 수행은 질병 조기발견이나 예방 전략에 대한 개인의 신념이나 인식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다. 개인이 예방적 건강행위를 수행하기 위해서 현재의 행동에 위협을 느껴야 하고 (지각된 민감성과 심각성), 특정 변화에 비용 면에서 수용할 만하다면 보다 가치있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하며(지각된 유익성), 행동에 장애가 되는 것을(지각된 장애성) 극복하기 위한 자신감 및 건강하고자 하는 동기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Osteoporosis & musculoskeletal disorders [Internet]. Nyon, CH: Author; 2011 [cited 2012 January 10]. Available from: http://www.iofbonehealth.org/osteoporosis-musculoskeletal-disorders.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3. Ahn S, Kim Y, Chun N, Lee SH. Incidence of osteoporosis and falls and predictors of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4):237-247.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4.237 

  4. Brenneman SK, Barrett-Connor E, Sajjan S, Markson LE, Siris ES. Impact of recent fractur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006;21(6):809-816. http://dx.doi.org/10.1359/jbmr.060301 

  5. Hill K, Schwarz J.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falls in older people. Internal Medicine Journal. 2004;34(9-10):557-564. http://dx.doi.org/10.1111/j.1445-5994.2004.00668.x 

  6. Rubenstein LZ, Josephson KR. Fal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What does the evidence show? The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2006;90(5):807-824. http://dx.doi.org/10.1016/j.mcna.2006.05.013 

  7. Gillespie LD, Robertson MC, Gillespie WJ, Sherrington C, Gates S, Clemson LM, et al.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falls in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2;9:CD007146.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7146.pub3 

  8. Moon ES, Lee ES.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prevention behaviors of osteoporotic fracture in patients receiving osteoporosis treatm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2):147-156.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2.147 

  9. Doheny MO, Sedlak CA, Estok PJ, Zeller R.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DXA T-scores in men and women 50 years of age and older. Orthopaedic Nursing. 2007;26(4):243-250. http://dx.doi.org/10.1097/01.NOR.0000284654.68215.de 

  10. Sedlak CA, Doheny MO, Estok PJ, Zeller RA, Winchell J. DXA, health beliefs, and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07;19(5):742-756. http://dx.doi.org/10.1177/0898264307304303 

  11. Kwon MS. Relations among knowledge, fear and efficacy of fall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21(2):139-147. http://dx.doi.org/10.12799/jkachn.2010.21.2.139 

  12. Jung D. A prediction model of fear of falling in older adults living in a continuing-care retirement community (CCRC) in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1):243-258. 

  13. Chang CM, Kang HS.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in the elderly those who experienced a fall or not.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4;7(1):48-57. 

  14. Rosenstock IM, Strecher VJ, Becker MH.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8;15(2):175-183. 

  15. Champion VL, Skinner CS. The health belief model. In: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editor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8. p. 45-65. 

  16. Hur JY, Kim HJ. Relationship of risk factors, knowledge and attitude to falls in elderly in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9;11(1):38-50. 

  17. Kempen GI, van Haastregt JC, McKee KJ, Delbaere K, Zijlstra GA. Socio-demographic, health-related and psychosocial correlates of fear of falling and avoidance of activity in community-living older persons who avoid activity due to fear of falling. BMC Public Health. 2009;9:170. http://dx.doi.org/10.1186/1471-2458-9-170 

  18. Kim G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0. 

  19. Currie L. Fall and injury prevention. In: Hughes RG, edit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2008. 

  20. Hur JH, Lim SK, Lee DH. Development of the Korean Falls Efficacy Scale (FES-K) for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0;49(3):193-201. 

  21. Ahn S. Osteoporosis and fall prevention project for postmenopausal women. Paper presented at: 2014 Aging in America Conference; 2014 March 11-15; Manchester Grand Hyatt, San Diego, CA. 

  22. Kim KK, Horan M, Gendler P, Patel MK. Osteoporosis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knowledge tests. In: Redman BK, editor. Measurement tools in patient education.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3. p. 364-375. 

  23. Lee SH. Prediction mod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 in middle aged wome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6. 

  24. Tideiksaar R. Falls in older people: Prevention and management. 3rd ed. Baltimore, MD: Health Professions Press; 2002. 

  25. Ahn S, Kim H, So H, Song R. Factors influencing fear of falling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4):344-352. http://dx.doi.org/10.4069/kjwhn.2009.15.4.344 

  26. Kim YH. Relations among fall efficacy, perception of fall risk and fall prevention behavior in the frail elderly at hom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7):3383-3389. 

  27. Hwang SY, Shin SJ. Predictors of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elderly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3;13(2):76-85. 

  28. Park YJ, Lee SJ, Shin NM, Kang HC, Kim SH, Kim T, et al. Structural model for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in postmenopausal women: Focused on their own BMD awarenes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5):527-538. 

  29. Boo S. Body mass index and weight loss in overweight and obese Korean women: The mediating role of body weight perception. Asian Nursing Research. 2013;7(4):191-1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